DOI QR코드

DOI QR Code

Online Network Analysis of the Impact of Local Market-based Communities on Regional Revitalization

시골장터 기반 로컬 커뮤니티가 지역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온라인 네트워크 분석

  • 박정선 (경상국립대학교, 아름다운마을연구소) ;
  • 박상혁 (경상국립대학교, 창업대학원 창업학과) ;
  • 오승희 (경상국립대학교, 아름다운마을연구소)
  • Received : 2023.11.20
  • Accepted : 2024.02.07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Purpose This paper examines the role of local market-based communities in driving regional revitalization, using detailed analysis of online networks. We aim to dissect a local community's communication network, highlighting members with high engagement levels and exploring their characteristics. Our goal is to identify the conditions that allow local community networks to grow independently and to demonstrate how the activation of these networks contributes to regional revitaliza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We employ a mixed-methods approach, combining social network analysis with statistical technique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online communication networks. Specifically, we use ANOVA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our findings, ensuring their reliability. To complement our quantitative data, we include qualitative insights from interviews, adding depth and context to our analysis. Findings Our results show that individuals with high centrality in the online network are crucial for maintaining active local communities. We find that leveraging local resources to create a supportive and adaptable environment is essential for the communities' sustainability and expansion. Importantly, our research draws a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vitality of local community networks and the broader process of regional revitalization. We argue that energizing local communities is an effective way to address the risk of regional decline. By integrating quantitative analysis with qualitative feedback,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local market-based communities as key drivers of regional development.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building vibrant, resourceful community networks to revitalize areas experiencing socio-economic challenges.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21S1A5B5A16078703)

References

  1. 고세욱, 박상혁, 박정선, "사회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시니어기술창업교육 참여자들의 네트워크 활성화 사례 연구", 한국창업학회지, 제13권, 제5호, 2018, pp. 139-177. https://doi.org/10.24878/TKES.2018.13.5.139
  2. 곽기영, 소셜네트워크분석, 서울, 청람, 2014.
  3. 권정혜, 육설아, 우성범, 조현, "오프라인과 온라인 대인관계가 사회자본형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SNS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0권, 제2호, 2013, pp. 5-32.
  4. 김용학, 사회 연결망 이론, 개정판, 서울, 박영사, 2004.
  5. 김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제3판, 서울, 박영사, 2011.
  6. 김예란, 김용찬, 채영길, 백영민, 김유정, "공동체는 발명되어야 한다: 서울시 마을미디어 형성과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81권, 제1호, 2017, pp. 40-74. https://doi.org/10.46407/kjci.2017.02.81.40
  7. 김예진, 김영국, "로컬 커뮤니티 기반 관광마을 조성 사례 연구-영월 예밀촌 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제34권, 제4호, 2022, pp. 177-196. https://doi.org/10.21581/jts.2022.11.34.4.177
  8. 김현주, "지역 적응에 있어서 커뮤니케이션의 역할", 한국언론학보, 제27호, 가을호, 1992, pp. 155-182.
  9. 김현주,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와 조직 - 지방의회 의원들의 커뮤니케이션 행위를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제3권, 1994, pp. 67-91.
  10. 김형민, "네트워크 분석방법의 국제정치학적 적용: 군사무기 이전의 사회연결망 분석", 한국정치학회보, 제43권, 제1호, 2009, pp. 301-321. https://doi.org/10.18854/KPSR.2009.43.1.014
  11. 마상열, 김다영, "경남의 소멸위험지역 현황과 한계마을 사례로 본 과제", 경남발전, 제153호, 2020, pp. 38-46.
  12. 마스다 히로야, 지방소멸, 김정환(역), 서울, 와이즈베리, 2014.
  13. 문영주, 이종호, "온라인 커뮤니티 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만족과 커뮤니티 신뢰를 매개로", 정보시스템연구, 제16권, 제1호, 2007, pp. 23-45.
  14. 박병춘, "지역발전과 지역공동체-지역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모형 및 기본 정책 방향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제20권, 제2호, 2012, pp. 1-26.
  15. 박상혁, 김창완, 오승희, "개방형 혁신체계 구축을 위한 퍼실리테이터를 활용한 중소기업 집단문제해결 모형에 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제9권, 제5호, 2014, pp. 43-52.
  16. 박인권, "지역재생을 위한 지역공동체 주도 지역발전전략의 규범적 모형: SAGE전략",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4권, 제4호, 2012, pp. 1-26.
  17. 서영진, 지방자치와 지역 활성화, 파주, 나남출판, 1994.
  18. 손동원, 사회네트워크 분석(5판), 서울, 경문사, 2013.
  19. 송미령, 김정섭, 김광선, 박주영, "살기좋은 농촌만들기를 위한 정책 재편 방안(1/2차 연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 R-549, 2007.
  20. 유한별, 탁근주, 문정승, "한국 지방소멸 요인과 극복 방안에 관한 연구:머신러닝 방법을 통한 탐색", 지방정부연구, 제24권, 제4호, 2021, pp. 443-476. https://doi.org/10.20484/klog.24.4.18
  21. 이민규, 류상일, 이석표, 강형기, "지역활성화를 위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도입방안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3권, 제9호, 2013, pp. 130-142. https://doi.org/10.5392/JKCA.2013.13.09.130
  22. 이상호, "일자리 양극화와 지방소멸위기, 대안적 일자리 전략이 필요하다", 지역산업과 고용, 통권3호, 2022, pp. 8-21.
  23.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방법의 활용과 한계, 서울, 청람, 2018.
  24. 이승훈, 윤정현, 성상현,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기업가정신 분야 세계 연구 동향 분석". 한국창업학회지, 제14권, 제3호, 2019, pp. 72-93. https://doi.org/10.24878/TKES.2019.14.3.72
  25. 이영원, "지역공동체 의식이 지역사회 참여와 커뮤니케이션 채널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정치정보연구, 제19권, 제1호, 2016, pp. 389-415.
  26. 이우형, 석영철, 박준철,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망기술 탐색에 관한 연구 :차세대 이동통신분야를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제21권, 제4호, 2012, pp. 109-132. https://doi.org/10.5859/KAIS.2012.21.4.109
  27. 임관혁, "어촌지역 커뮤니티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도서연구, 제26권, 제2호, 2014, pp. 145-160.
  28. 임영언, 김일태, "커뮤니티 케어와 지역 활성화: 일본 사례", 인문사회21, 제12권, 제1호, 2021, pp. 403-416. https://doi.org/10.22143/HSS21.12.1.29
  29. 전정환, 커뮤니티 자본론, 서울, 클라우드나인, 2023.
  30. 조성오, 최재문, "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유형화 연구", 디자인융복합연구, 제12권, 제1호, 2013, pp. 159-176.
  31. 조윤숙,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협력이 사회적기업의 창업 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신대 캠퍼스 타운 창업팀 '낙과유수' 사례 연구", 사회적기업연구, 제14권, 제1호, 2021, pp. 57-74.
  32. 존 리비, 당신을 초대합니다, 서울, 천그루숲, 2021.
  33. 진호석, 박상혁, 박정선, "지식공유의 장을 통한 협력네트워크 활성화에 대한 연구: 비영리조직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정보시스템연구, 제26권, 제2호, 2017, pp. 85-105.
  34. 차미숙, 최예술, 조은주, "지방소멸 위기 대응 추진사례와 시사점", 국토이슈리포트, 제52호, 2022, 국토연구원
  35. 최은경, 설진아, "로컬 크리에이터들과 지역방송의 하이퍼로컬 협력방안을 위한 탐색 연구", 방송문화연구, 제33권, 제1호, 2021, pp. 125-160. https://doi.org/10.22854/SBC.2021.33.1.125
  36. 한주성, "청년창업자에 의한 지역재활성화 가능성 : 경상북도의 '도시청년 시골파견제'를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제56권, 제1호, 2021, pp. 67-80. https://doi.org/10.22776/KGS.2021.56.1.67
  37. 황명호, "사회물질성: 일상속의 기술 혁신 이론을 찾아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20, pp. 307-312.
  38. Ballesteros, E. R., and Ramirez, M. H., "Identity and community reflections on the development of mining heritage tourism in Southern Spain", Tourism Management, Vol. 28, No. 3, 2007, pp. 677-687. https://doi.org/10.1016/j.tourman.2006.03.001
  39. Choi, H. C., and Sirakaya, E., "Sustainability indicators for managing community tourism", Tourism Management, Vol. 27, No. 6, 2006, pp.1274-1289. https://doi.org/10.1016/j.tourman.2005.05.018
  40. Hsu, C-W., Wang, Knoke, D and Kuklinski, J. H., Network analysis, Newbury Park, CA, Sage, 1982.
  41. McKenna, K. Y. A., and Bargh. J. A., "Coming out in the age of Internet: Identity 'Demarginaliation' through virtual group particip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75, 1998, pp.681-694. https://doi.org/10.1037//0022-3514.75.3.681
  42. McMillan, W. and M. Chavis,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 14, 1986, pp.6-22. https://doi.org/10.1002/1520-6629(198601)14:1<6::AID-JCOP2290140103>3.0.CO;2-I
  43. Orlikowski, W. J., Sociomaterial Practices: Exploring Technology at Work, Organization Studies (Sage PublicationsSage UK:London), Vol. 28, Iss: 9, 2007, pp.1435-1448
  44. Scott, J., Social Network Analysis: a handbook, London, Sage, 2000.
  45. Wasserman, S. and Faust, K.,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