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factors causing legislative failure of bills related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민주시민교육 관련 법안의 입법 실패 요인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4.01.22
  • Accepted : 2024.02.16
  • Published : 2024.02.28

Abstract

This study sought to explain the reasons why the civic education bill failed to be enacted as many as 13 times. What we discovered as a result of our research is, first, the absence of a legislative strategy by the minority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on this bills. The Citizenship Education Bill was a controversial bill with great potential for ideological conflict, and after the 19th National Assembly, this bill was promoted by a minority of a specific political party. The Democratic Party's sponsoring lawmakers did not use active legislative strategies, such as exerting influence within the party to have these bills adopted as the party's platform, or developing them into major pledges for the general and presidential elections. Second, there is a consistent passive response from civic groups as well as lawmakers who signed the bill in an unfavorable public opinion environment. During the legislative process, opposing opinions were overwhelming, including concerns about the spread of leftist ideology, waste of budget and organization, and violation of neutrality and fairness in education. In addition, the passive attitude of field teachers and civic groups, who should be in charge of civic education, also served as a background for the legislative failure. Third, due to a lack of sharing of reliable information on recent theoretical research and global policy trends among stakeholders, legislation through an agreement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failed.

본 연구는 시민교육법안이 무려 13차례나 걸쳐 입법에 실패하게 된 원인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발견한 사실은 첫째, 쟁점 법안에 대한 원내 소수파의 입법 전략 부재이다. 시민교육법안은 이념적 충돌 여지가 큰 쟁점 법안이었는데, 19대 이후 특정 정당의 원내 소수파만으로 추진되었다. 민주당의 발의 의원들은 이 법안이 당론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당내 영향력을 발휘하거나, 총선과 대선의 주요 공약으로 발전시키는 등의 적극적 입법 전략을 구사하지 않았다. 둘째, 불리한 여론 지형 속에서 법안 서명 의원들은 물론이고 시민단체의 일관된 소극적 대응이다. 입법 과정에서는 좌파이념의 확산에 대한 우려, 예산과 조직의 낭비, 교육의 중립성·공정성 침해 등 반대 의견이 압도하였다. 또한, 시민교육의 담당 주체이어야 할 현장 교사와 시민단체의 방관적 자세 또한 입법 실패의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이해관계자 사이에서 최근의 이론적 연구 및 세계의 정책 흐름 등에 대한 신뢰할만한 정보의 공유가 부족하여 여야 합의를 통한 입법화에 실패하게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민주시민교육과. (2018.11).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https://www.korea.kr/briefing/policyBriefingView.do?newsId=156308661#policyBriefing (검색일: 2023.01.12.). 
  2. 교육부 민주시민교육과-197. (2021.1.18.). 민주시민교육 시행계획. https://buseo.sen.go.kr > file > ND_fileDownload (검색일: 2023.01.10.). 
  3. 김정인, 황은희, 정희연& 윤세병(2017). 민주화운동 관련 역사교과서 분석 및 서술방향 연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https://www.kdemo.or.kr/dn?type=book&src=file_20221227091453.pdf&filename (검색일: 2023.01.02.). 
  4. 박상훈. (2020.12). 더 많은 입법이 우리 국회의 미래가 될 수 있을까. 국회미래연구원 연구보고서. https://www.nafi.re.kr/new/research.do?mode=download&articleNo=2505&attachNo=2830 (검색일: 2023.01.12.). 
  5. 선거연수원. (2017.11). 민주시민이 미래다. 서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6. 옥일남, 장원순, 이정우, 송선영, 이윤주&정은식. (2017). 학교 교육 과정을 통한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교육부. 
  7. 장근영.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아동.청소년의 민주시민역량 국제비교 및 지원체계개발 연구 총괄 보고서. https://lib.nypi.re.kr/pdfs/2011/35.pdf (검색일: 2023.01.12.). 
  8. 장은주, 심성보&박재영. (2016). 민주주의 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경상남도 교육연구정보원. 2016-56. 
  9. 허수미, 박상영, 임보아, 윤영채&김현우. (2022). 민주주의 관련 사회과 교과서 분석 및 서술 방향 연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10. Biesta, Gert J. J. 박은주 역. (2022). 학습을 넘어: 인간의 미래를 위한 민주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1. 김육훈. (2019).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현대사 집필 지침 탐색. 역사와 교육 통권18호. 
  12. 김정곤. (2020). 민주시민교육 제도화에 대한 심층적 이해: 제도화 추진주체의 관점에서. 연구방법논총 제5권제3호. 
  13. 김형렬, 유가현&정진리. (2020), 중.고등학교 도덕과 교과서에 나타난 민주시민상의 변천: 제3차 교육 과정부터 2015개정 교육 과정까지. 도덕윤리과 교육 통권69호. 
  14. 김혜미. (2014.7). 교육과 민주시민 기르기. 새가정. 
  15. 김혜진. (2020).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과서 비교연구: 2015 개정 도덕과와 사회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도덕윤리과교육 제67호. 
  16. 김혜진&이슬기. (2022). 2015 개정 중학교 교육 과정의 민주시민교육 내용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9호. 
  17. 문우진. (2011). 다당제에서의 당파 표결과 정당 충성도: 17대 및 18대 전반 국회분석. 의정연구 17집2호. 
  18. 박구용. (2022). 민주시민교육으로서 세계시민교육.사회와 철학 제44집. 
  19. 박상영. (2020).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정치학 : 보수.진보 진영의 학교 민주시민교육 정책 분석(2003-2020). 시민교육연구 제52권3호. 
  20. 신두철. (2009).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체계와 제도화에 대한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 통권25호. 
  21. 신옥주. (2023.겨울). 포괄적 차별금지법의 제정을 위하여. 젠더 리뷰. 
  22. 장은주. (2019). 한국의 민주시민교육: 사회적 합의의 방향과 제도화의 과제. 시민과 세계 통권 34호. 
  23. 전진영. (2022). 제20대 국회 의원안의 입법성공 요인: 가결과 대안반영의 정치. 한국정당학회보 제21권제4호. 
  24. 정경호. (2020). Public Opinion and Senate Treaty Ratification. 분석과 대안 제4권제2호. 
  25. 정하윤. (2014).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제도화 과정과 쟁점. 미래정치연구 제4권제1호. 
  26. 조상식. (2019). '보이텔스바흐(Beutelsbach) 협약'과 그 쟁점에 대한 교육 이론적 검토. 교육철학연구 제41권제3호. 
  27. 조주현. (2013). 도덕과 교육에서 민주시민성의 위상과 과제. 도덕윤리과교육 제40호. 
  28. 조찬래. (2012). 민주시민교육.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보 13권2호. 
  29. 홍윤기. (2017). 한국에서 민주시민교육 기반구축의 가능성과 그 제약. 한국학논집 제67집. 
  30. 서준원. (2002). 민주시민 교육 현황과 문제점. 제3차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밝은정치시민연합 공동국제학술회의 자료집. 
  31. 심성은. (2017). 프랑스 학교 민주시민교육.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 세미나 자료집. 
  32. 전태국 (2018.12). 민주시민교육의 사회학.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33. 허영식. (2017). 독일 학교 민주시민교육. 한국민주시민교육학회 세미나 자료집. 
  34. 한병규. (2022년11월22일). 민주적이지 않은 민주시민교육이 문제. 한국교육신문. https://www.hangyo.com/news/article.html?no=97664#google_vignette(검색일: 2023.01.12.). 
  35. 닷 페이스. (2017년03월17일). "차별금지법 왜 지금 다시 이야기해야 하나" https://brunch.co.kr/@dotface/2 (검색일: 2023.01.12.). 
  36. Dalton, Russell J. (2008). The Good Citizen: How a Younger Generation Is Reshaping American Politics. Washington D.C. : CQ Press. 
  37. Faulks. Keith. (2000). Citizenship.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38. Kerr, David. (2000). Citizenship Education : An International Comparison: Qualifications & Curriculum Authority. 
  39. Westheimer, Joel. (2015). What kind of citizen? Educating Our Children for the Common Good. New York and London: Teachers College Press. 
  40. Agbaria, Ayman. (2016). Human Rights Education in Israel: Four Types of Good Citizenship. Journal of Social Science Education 15(2). 
  41. Banks. James A. (2008). Diversity, Group Identity, and Citizenship Education in a Global Age. Educational Researcher 37(3).
  42. Cohen, E. F. (2010). Jus tempus in the magna carta: the sovereignty of time in modern politics and Citizenship. Political Science & Politics 43(3). 
  43. Hoskins, Bryony, Michaela Saisana&Cynthia M. H. Villalba. (2015). Civic Competence of Youth in Europe: Measuring Cross National Variation Through the Creation of a Composite Indicator. Social Indicators Research 123(2) 
  44. Quinton, Mayne&Geissel, Brigitte. (2018). Don't Good Democracies Need "Good" Citizens? Citizen Dispositions and the Study of Democratic Quality. Politics and Governance 6(1). 
  45. Sant, Edda. (2019). Democratic Education: A Theoretical Review(2006-2017).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89(5). 
  46. EACEA(Education, Audiovisual and Culture Executive Agency). (2017). Citizenship Education at School in Europe. https://op.europa.eu/en/publication-detail/-/publication/6b50c5b0-d651-11e7-a506-01aa75ed71a1/language-en (검색일: 2023.01.05.). 
  47. Schulz(eds), Wolfram. (2016). Becoming Citizens in a Changing World. IEA International Civic and Citizenship Education Study. 2016 International Report. https://link.springer.com/book/10.1007/978-3-319-73963-2. (검색일 2023.12.27.). 
  48. Wolfram Schulz(et al.,) (2022). "Education for Citizenship in Times of Global Challenge." IEA International Civic and Citizenship Education Study 2022 International Report. https://research.acer.edu.au/civics/37/. (검색일 2023.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