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ocal Environmental Factors on Stress Among Single-Person Household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Young and Senior Single-Person Households-

1인가구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지역환경 요인 -청년 1인가구와 노년 1인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 진인화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
  • 전희정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국정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3.08.25
  • Accepted : 2024.01.12
  • Published : 2024.03.30

Abstract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local environmental factors on stress among young and senior single-person households. We analyzed the '2019 Community Health Survey' by employ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greater differences in stress factors between young single-and multi-person households than senior single-and multi-person households; Second, stress among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was mainly influenced by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while stress among senior single-person households was influenced by both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The results suggest that customized support at the local level is necessary in consideration of age-specific characteristics and stress vulnerabilities when promoting policies for the promotion of mental health among single-person households.

본 연구는 청년 1인가구와 노년 1인 가구를 중심으로 지역환경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는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지역환경을 사회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으로 구분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가구와 다인가구 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는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노년층에 비해 청년층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둘째, 청년 1인가구의 스트레스는 주로 물리적 환경요인의 영향을 받았으며, 노년 1인가구의 스트레스는 물리적 환경요인 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1인가구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정책을 실시함에 있어 연령별 특성과 고려한 지역수준의 지원이 제공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23R1A2C1004474).

References

  1. 강은나.이민홍, 2016,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16(4), 47-56. https://doi.org/10.23062/2016.04.5
  2. 강은택, 강정구.마강래, 2016, 1인 가구의 주관적 삶의 만족감에 관한 연구: 미혼 1인 가구와 기혼 1인 가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7(1), 3-23.
  3. 강지현, 2017, 1인 가구의 범죄피해에 관한 연구: 가구 유형별 범죄피해 영향요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형사정책 연구, 28(2), 287-320.
  4. 강현욱.박경민, 2012, 도시와 농촌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한국노년학, 32(1), 129-143.
  5. 강희경.김영미.이은주, 2009, 이웃환경 무질서와 청소년 우울간의 관계: 일상생활스트레스와 부정적 가족사건의 매개효과 연구. 청소년학연구, 16(10), 179-204.
  6. 고경봉, 박중규.김찬형, 스트레스반응척도의 개발,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39(4).
  7. 고용노동부, 2023. 고용노동지표.
  8. 김가원.황혜신, 2021, 노인 1인 가구의 연령대별 행복감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76(1), 45-70. https://doi.org/10.21194/10.21194/kjgsw.76.1.202103.45
  9. 김갑열.김윤옥, 2017, 주거환경의 안전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보, 71, 217-231.
  10. 김도희, 2021, 1인가구 시대 맞춤형 정책 추진을 위한 정부의 과제: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지방정부연구, 24(4), 1-28. https://doi.org/10.20484/klog.24.4.1
  11. 김동환, 2016, 1인 가구 특성이 주택입지 및 주택시설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 위계적 2차 모형 및 상호작용 모형을 중심으로, 주거환경, 14(4), 195-213.
  12. 김보경, 2017, 청년 1인가구 주거지의 공간적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Doctoral dissertation, 한양대학교).
  13. 김소연.서민숙.서영준, 2018, 1인가구원의 자살생각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조사(2013, 2015) 자료를 이용. 한국웰니스학회지, 13(3), 489-498. https://doi.org/10.21097/ksw.2018.08.13.3.489
  14. 김아린, 2018, 1인가구 청년의 건강행태, 식습관 및 심리적 건강이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7).
  15. 김영미, 2010, 이웃환경과 청소년의 가족환경스트레스, 학습된 무력감의 관계,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36, 232-262.
  16. 김영숙, 2020, 1인 가구원의 정신건강증 진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상담 및 가상동반자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인문사회 21,11(5), 849-862. https://doi.org/10.22143/HSS21.11.5.62
  17. 김옥연.문영기, 2009, 1인가구 주거실태 분석: 서울시 1인가구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7(2), 37-53.
  18. 김은경.박숙경, 2016, 우리나라 여성 1인가구와 다인가구 여성의 건강행태 및 질병이환율 비교: 2013 년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0(3), 483-494. https://doi.org/10.5932/JKPHN.2016.30.3.483
  19. 김정은, 2019, 남녀 1인가구가 차별적으로 인지하는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27(1), 73-101.
  20. 김정호.김원태.윤용환, 2013, 도시지역의 녹지경관 조망이 도시민의 스트레스 완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7(4), 516-523.
  21. 김지선, 2020, 서울시 주거빈곤 청년 1인 가구의 건강 문제와 대응 전략에 관한 질적 연구(Doctoral dissertation, 서울대학교 대학원).
  22. 김지영.전희정, 2021, 1인가구의 신체활동 결정요인,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6(2), 49.
  23. 김진현, 2021, 청년 1인가구의 의료서비스 접근성이 주관적 건강상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6(2), 283-289. https://doi.org/10.21097/ksw.2021.05.16.2.283
  24. 김재익, 2013, 1인가구의 생애주기별 이질성과 공간적 분포 특성, 주택연구, 21(3), 63-81.
  25. 김태은.양세정, 2018, 청년층의 부채상환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소비자학연구, 29(6), 105-133. https://doi.org/10.35736/JCS.29.6.5
  26. 김현, 2000, 스트레스 index 도출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과학학회지, 4(2), 57-66.
  27. 권혁철.김형용, 2017, 홀로 살아야 행복한, 중년 남성의 삶: 4050 세대 1인 남성 가구의 사회적 관계와 주관적 행복감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4(3), 267-290. https://doi.org/10.46415/jss.2017.09.24.3.267
  28. 두미애, 2015, 성별에 따른 주관적 스트레스 정도와 건강관련습관 및 비만과의 연관성: 제 5 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 하여, 대한비만학회지, 24(3), 156-165.
  29. 문하늬.채철균.송나경, 2018,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도시연구, 19(2), 87-103. https://doi.org/10.23129/SEOULS.19.2.201806.87
  30. 박미선, 2017, 한국 주거불안계급의 특징과 양상: 1인 청년 가구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62, 110-140.
  31. 박보영.권호장.하미나.범은애, 2016, 부부가구와 1인가구 노인의 정신건강 비교: 성별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0(2), 195-205. https://doi.org/10.5932/JKPHN.2016.30.2.195
  32. 박수진.나주몽, 2015, 마을만들기 사업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매개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8(4), 31-51.
  33. 박지혜.장영은, 2022, 1인가구 청년의 주관적 건강 영향 요인: 성차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3(4), 2857-2872. https://doi.org/10.22143/HSS21.13.4.198
  34. 변금선, 2021, 서울 청년의 주거실태와 정책 과제, 국토, 27-34.
  35. 변미리, 신상영, 조권중.박민진, 2008, 서울의 1인가구 증가와 도시정책 수요연구,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1-213.
  36. 변미리, 2015, 도시에서 혼자 사는 것의 의미: 1인가구 현황 및 도시정책 수요,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3), 551-573.
  37. 서경현, 2006, 고령화 사회에서 한국인의 건강과 삶의 질,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2(5), 133-147.
  38. 서경현, 2007, 노년기 한국인의 스트레스, 스트레스硏究, 15(4), 271-278.
  39. 서수균.백지영.정영숙, 2012, 노인의 스트레스 및 삶의 의미성과 행복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3), 17-30.
  40. 서인균.이연실, 2014,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환경이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 비교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8(2), 371-400. https://doi.org/10.18398/KJLGAS.2014.28.2.371
  41. 성인지통계, 2022, 2022통계로 보는 1인가구.
  42. 손용진, 2010, 사회자본이 도시와 농어촌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인자녀 관계망 및 사회적 관계망을 중심으로, GRI연구논총, 12(3), 311-339.
  43. 손애리.김태경.류은정.오경재, 안동현, 2010, 서울시 지역주민의 인구.사회경제적 특성별 정신건강 실태 및 스트레스,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7(1), 71-80.
  44. 손희주.남궁미, 2018, 가구 생애 주기별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2016 년도 주거실태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0(1), 169-196.
  45. 송나경, 2020, 1인 가구의 세대별 특성과 우울 영향, 인문사회 21, 11(4), 405-420. https://doi.org/10.22143/HSS21.11.4.30
  46. 신미아, 2019,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건강행태 및 정신건강 비교: 국민건강영영조사자료분석(2013, 2015,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14(4), 11-23. https://doi.org/10.21097/ksw.2019.11.14.4.11
  47. 신미아, 2020, 성별에 따른 1인가구 성인의 자살생각 영향 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분석(2017),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9(6), 847-859.
  48. 신미아, 2021, 가구유형별 성인의 행복감 비교: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분석(2019), 한국웰니스학회지, 16(4), 277-284.
  49. 신상영, 2010, 1인가구 주거지의 공간적 분포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사례로, 국토계획, 45(4), 81-95.
  50. 신서우.민소영, 2023, 1인 노인가구 우울에 미치는 지역환경 영향에 관한 다층모형분석: 수원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84, 75-114. https://doi.org/10.15300/jcw.2023.84.1.75
  51. 심종섭.박문수, 2021, 1인 가구 정책 수요와 정책 대안에 관한 연구-서울특별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부동산경영, 24, 81-101. https://doi.org/10.37642/JKREMR.2021.24.4
  52. 안지연.이성은, 2014, 직업분류 및 고용분류에 따른 스트레스, 우울증상, 의료기관 이용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2), 409-420.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409
  53. 유민, 이의연, 전정호.이종민, 2019, 대학생의 사회적 자본이 대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2), 483-501. https://doi.org/10.5392/JKCA.2019.19.12.483
  54. 이경영, 2019, 지역애착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32(4), 1-20. https://doi.org/10.36700/KRUMA.2019.12.32.4.1
  55. 이동성.남형권.이훈, 2019, 개인 및 지역. 환경요인이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신체건강과 정신건강 인식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32(4), 41-52. https://doi.org/10.36700/KRUMA.2019.12.32.4.41
  56. 이명진.최유정.이상수, 2014, 1인 가구의 현황과 사회적 함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7(1), 229-253.
  57. 이민아, 2021, 성별과 가구유형에 따른 노인의 사회적 교류: 누가 더 취약한가?, 한국인구학, 44(2), 1-22. https://doi.org/10.31693/KJPS.2021.06.44.2.1
  58. 이소영, 2022, 청년 1인가구의 생활환경과 삶의 질 연구, 인문사회 21, 13(5), 1017-1031. https://doi.org/10.22143/HSS21.13.5.71
  59. 이순미, 2018, 지방 중소도시 청년들의 다차원적 빈곤과 행복의 역설, 한국사회학, 52(4), 243-293. https://doi.org/10.21562/kjs.2018.11.52.4.243
  60. 이승훈.현명호, 2003, 회복환경의 스트레스 완화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3), 525-545.
  61. 이영균.최승인, 2016, 노인사회활동 참여 노인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2), 151-180.
  62. 이유진.김의준, 2015, 의료시설 접근성과 대중교통 접근성이 농촌 및 도시 지역 거주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일반화된 순서형 로짓 모형의 적용.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7(1), 65-87.
  63. 이지은.이경은, 2020, 주거환경만족도와 지역주민의 정주의도: 연령집단 간 비교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24(2), 57-86. https://doi.org/10.20484/klog.24.2.3
  64. 이재수.양재섭, 2013, 서울의 1인 가구 특성과 거주 밀집지역 분석을 통한 주택정책 방향 연구, 국토계획, 48(3), 181-193.
  65. 이재영.박진희.임윤택, 2012, 도시특성에 따른 공공자전거 이용특성 및 정책방향 연구, 국토계획, 47(3), 295-308.
  66. 이지은.강민성.이승종, 2014, 도시위험인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주민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8(2), 559-588.
  67. 이재영.박진희, 2015, 버스이용환경이 이용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전시를 사례로, 대한교통학회지, 33(6), 543-553. https://doi.org/10.7470/jkst.2015.33.6.543
  68. 이평숙, 이용미, 임지영, 황라일.박은영, 2004, 노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34(3), 477-484.
  69. 일요서울, 2023, 청년, '구직자' 아닌 '취포자' 시대로, https://www.ilyoseoul.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0704
  70. 임유나.조윤민.이태진, 2019, 청년층 의료이용 양상: 1인가구 청년과 동거 가구 청년 간 비교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9(3), 348-379. https://doi.org/10.15709/HSWR.2019.39.3.348
  71. 임은정, 2021,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 요인에 대한 문헌적 고찰, 주택도시연구, 11(3), 79-101. https://doi.org/10.26700/shuri.2021.12.11.3.79
  72. 장임숙, 2020, 1인가구의 젠더 특성과 정책방안, 지방정부연구, 24(1), 373-397. https://doi.org/10.20484/klog.24.1.17
  73. 전준형.박진아, 2020, 보행환경이 근린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조절효과 분석: 서울시 주거실태조사 2017 자료를 중심으로,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5(3), 29-42. https://doi.org/10.17208/jkpa.2020.06.55.3.29
  74. 전희진, 2021, 전라북도 1 인가구 지원방안 연구.
  75. 정경희.남상호.정은지.이지혜.이윤경.김정석.진미정, 2012, 가족구조 변화와 정책적 함의: 1인가구 증가현상과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76. 정유진.이세규, 2015, 도시의 물리적. 사회적 환경이 노인 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7(2), 75-94.
  77. 정은희.송나경, 2017, 지역사회 환경적 요인이 지역 자살률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2009-2015년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4(5), 638-647. https://doi.org/10.21086/ksles.2017.10.24.5.638
  78. 정현.전희정, 2019, 근린환경과 지역주민의 신체활동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신체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도시설계, 20(1), 91-110. https://doi.org/10.38195/judik.2019.02.20.1.91
  79. 정혜은, 2019, 1인 가구의 사회관계 만족도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다인 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28(1), 1-10. https://doi.org/10.5934/kjhe.2019.28.1.1
  80. 조미정.이명훈, 2015, 근린생활환경이 노후 공동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토계획, 50(4), 23-47.
  81. 조미현.송재민, 2020, 서울 대도시권의 1인 가구 주거이동 및 유입지역 특성 분석: 직업과 주택 요인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5(4), 70-84. https://doi.org/10.17208/jkpa.2020.08.55.4.70
  82. 조은현.이동형, 2016, 노인들의 직업 유무에 따른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 연구, 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6133-6137.
  83. 채병주.황선재, 2021, 청년 1인가구의 사회경제적 이질성과 복지 영역 선호, 보건사회연구, 41(3), 248-268. https://doi.org/10.15709/HSWR.2021.41.3.248
  84. 최예나.김이수, 2015, 사회적 자본과 주민행복간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7(4), 53-78. https://doi.org/10.21026/JLGS.2015.27.4.53
  85. 최희용.서은혜.전희정, 2020, 도시의 사회적 다양성이 서울 시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다수준모형을 활용하여, 지역연구, 36(1), 69-88. https://doi.org/10.22669/KRSA.2020.36.1.069
  86. 최해경.김정은, 2018, 빈곤한 여성 독거노인의 노화 태도와 만성질환,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9(1), 275-293. https://doi.org/10.16881/jss.2018.01.29.1.275
  87. 코시스, 2022, 1인가구비율.
  88. 통계청, 2021. 「2021 통계로 보는 1인가구」.
  89. 하정화.김현희.박진아, 2014, 부산지역 1인가구 생활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1-223.
  90. 한수정.전희정, 2018, 공공임대아파트 거주자와 일반아파트 거주자의 정신건강 차이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56.
  91. 한은경.이유미, 2014, 여성에게 범죄불안감을 일으키는 주거지내 야간 골목길에서의 물리적 환경 요소 연구, 한국셉테드학회지, 5(2), 117-134.
  92. 한창수.장보형, 이자연, 안지혜, 임재형.양재원, 2012, 노인 자살에 미치는 지역적 위험요인 연구, 연구결과보고서, 1(1), 1-82.
  93. 황경란.박소영.박수선.조성희, 2022, 경기도 1인가구의 지역별 특성에 관한 연구.GRI 연구논총, 24(2), 65-91.
  94. 황명주.장용언, 2017, 취업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24(1), 113-136. https://doi.org/10.46415/jss.2017.03.24.1.113
  95. 황종남.오종묵, 2020, 대도시 거주지역 환경에 대한 만족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21(4), 143-155.
  96. Bourdieu, P., 1985, The forms of capital. In J. G. Richardson(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241-258, New York, NY: Greenwood Press.
  97. Choi, E. S., & Yun, S. N., 2004, A Study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Female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3(1), 59-69.
  98. Cohen. L. E. and Felson, M., 1979, "Social Change and Crime Rate Trends: A Routine Activity Approach,"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4, 588-608, Sage publication. https://doi.org/10.2307/2094589
  99.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S95-S120. https://doi.org/10.1086/228943
  100. Corburn, J., 2004, Confronting the challenges in reconnecting urban planning and public health,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4(4), 541-546. https://doi.org/10.2105/AJPH.94.4.541
  101. Ferlander, S., 2007, The importance of different forms of social capital for health. Acta sociologica, 50(2), 115-128. https://doi.org/10.1177/0001699307077654
  102. Glass, T. A., & Balfour, J. L., 2003, Neighborhoods, aging, and functional limitations, Neighborhoods and health, 1, 303-34. https://doi.org/10.1093/acprof:oso/9780195138382.003.0014
  103. Jin Yinhua, & Jun Hee-jung, 2021,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subjective mental health, Journal of governance studies, 16(3), 1-22. https://doi.org/10.16973/JGS.2021.16.3.001
  104. Kennedy, D. P., & Adolphs, R., 2011, Stress and the city. Nature, 474(7352), 452-453. https://doi.org/10.1038/474452a
  105.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06. Lederbogen, F., Kirsch, P., Haddad, L., Streit, F., Tost, H., Schuch, P., … & Meyer-Lindenberg, A., 2011, City living and urban upbringing affect neural social stress processing in humans, Nature, 474(7352), 498-501. https://doi.org/10.1038/nature10190
  107. Lee, M. S., & Suh, K. S., 2016, Anaysis on Management about the Intergenerational Homeshare by Senior-Young Student- Focusing on 4 Districts in Seoul, Korea.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25(3), 90-101.
  108. Van Orden, K., & Conwell, Y., 2011, Suicides in late life, Current psychiatry reports, 13, 234-241. https://doi.org/10.1007/s11920-011-0193-3
  109. Wolff, H. G., 1953, Stress and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