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촌활성화를 위한 전라남도 구례군의 농촌공간특성 및 모델 연구

A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Models for Rural Revitalization in Gurye-Gun, Jeollanamdo

  • Im, Hyo-Won (Department of Architec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Se-Yeon (Department of Architec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Ji-In (Department of Architec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Yun, Se-Eun (Department of Architec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Min-Seok (Department of Architec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3.12.11
  • 심사 : 2024.01.18
  • 발행 : 2024.02.25

초록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rural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rural revitalization policies and rural status. This study also aimed to explore ways to revitalize the agricultural-oriented rural economy and improve the settlement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spaces. Based on the results, we created a regional crop-specific agricultural space, planned concentration, farmland maintenance, and joint agricultural facilities to secure agricultural competitiveness. It also plans a walking-oriented settlement environment to create a safe and pleasant rural village. Finally,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land-use plan, a sub-concept rural spatial pla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was proposed, and the rural revitalization plan was studi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강섭, 김석규, 이상정, 농촌지역 공동주택 농가의 공간이용 행태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6(16), 2004.
  2. 김경미, '농촌다움'으로 농촌 공간의 의미 찾기, 한국농어민신문, 2022.08.09., https://www.agrinet.co.kr
  3. 김동현, 유럽형 지역경제 활성화 ICT 프로젝트: '스마트 빌리지(smart village)', NIA Special Report (2018-8), 한국정보화진흥원, 2018.
  4. 박신영 외 3인, 전남지역 치유농업 운영실태,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지, 2018.
  5. 박재범, 나건,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하여 특산물 지역브랜드로서의 역할, 한국디자인리서치, 2019.
  6. 석태문, 마을 영농을 통한 지역농업 활성화 가능성, 지역과 농업, (7), 2016.
  7. 심성철, 외국의 스마트농촌 사례: EU, 영국, 독일,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
  8. 엄성준, 김상범, 안필균, RURITAGE 사업 개념의 농촌생활권 도입 방안,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23(4), 2021.
  9. 여혜진, 모용원, 농촌마을공간관리를 위한 토지이용의 통합적 관리방안 연구, 건축공간연구원, 2022.
  10. 유창균, 농촌 시.군단위 중심가로의 보행환경 저해요인 및 개선방향 연구, 대학건축학회연합논문집, 25(2), 2023.
  11. 이상만, 우리가 기대하는 매력적인 농촌공간,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가, 경제정보센터 칼럼, 2023.02.
  12. 이재준, 이상문, 지속 가능한 농촌 발전을 위한 주민참여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38(3), 2003.
  13. 이차희 외 3인, 농촌다운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평가항목 개발 및 중요도 분석, 농촌계획, 25(2), 2019.
  14. 이희옥, 농촌지역의 난개발 방지를 위한 계획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충북연구원 연구보고서, 2020.
  15. 정도채, 김용욱, 김경인, 농촌 정주환경 개선을 위한 사회적 혁신정책 추진 방안, 한국농어촌경제연구원, 2018.
  16.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농어촌마을 발전모델 설계 및 세부디자인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2011.
  17. 한이철, 권인혜, 정학성, 농업전망 2023: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 2023.
  18. 황한철, 최수명, 농지이용계획의 합리적 책정을 위한 농지적성 평가기법의 개발, 농촌계획, 3(2), 1997.
  19. ENRD, Smart villages, EU Rural Review, (26), 2018.
  20. 국가공간정보포털, http://www.nsdi.go.kr
  21. 구례군청, https://www.gurye.go.kr
  22. 그린대로, https://www.greendaero.go.kr
  23. 통계청, https://kostat.go.kr
  24. KOSIS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