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and Perception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Science Class Demonstration: Focus on Questioning and Feedback

과학 수업시연에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과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 발문 및 피드백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23.11.06
  • Accepted : 2023.12.25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 in science class demonstrations conducted b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Specifically, the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use of elements of verbal interaction and the progression of these interactions. Additionally, the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effective questioning and feedback an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oportions of the types of questioning and feedback positively perceiv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and of the types of questioning and feedback used during class demonstration. Toward this end, the study analyzed the science class demonstration videos and class evaluation sheets submitted by 38 fourth-year students at the S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generally use close-ended questions during science class demonstrations. Moreover, they predicted that students would primarily provide the correct responses and would not engage in extended interaction by providing immediate feedback for the responses of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 utilization of close-ended questions and immediate feedback in science class demonstrations more favorably than they did that of open-ended questions and delayed feedback. The study observe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ositive perception of specific types of questions and feedback and the use of such types in class demonstratio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end to engage in fragmented verbal interactions during science class demonstrations. They primarily use close-ended questions and immediate feedback. This tendency is seemingly related to their perception of questions and feedback. Therefore, education institutions for training pre-service teachers ne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reflecting on verbal interactions, which tend to involve close-ended questions and immediate feedback. Lastly, assessing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f questions and feedback is also necessary.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수업시연에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언어적 상호작용 요소의 사용 형태와 지속 형태 측면에서 살펴보는 데 있다. 더불어 초등 예비교사들이 가진 좋은 발문 및 피드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예비교사가 긍정적으로 인식한 발문 및 피드백 유형의 비율과 수업시연에 사용된 발문 및 피드백 유형의 비율 간의 관련성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S 교육대학교 4학년 38명이 제출한 과학 수업시연 동영상과 수업 평가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는 과학 수업시연에서 대체로 폐쇄적 발문을 사용하였고, 학생들이 주로 정답을 말할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학생의 응답에 대해 대부분 즉각적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상호작용을 길게 지속시키지 않았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는 과학 수업시연에서 폐쇄적 발문과 즉각적 피드백을 사용하는 것을 개방적 발문 및 지연적 피드백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초등 예비교사가 특정 유형의 발문과 피드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과 수업시연에 이를 사용하는 것 사이에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초등 예비교사는 과학 수업시연에서 폐쇄적 발문과 즉각적 피드백을 주로 사용하는 단편적인 언어적 상호작용을 이끄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그들이 가진 발문과 피드백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예비교사 교육 기관에서는 예비교사들이 수업에 사용하는 언어적 상호작용이 폐쇄적 발문과 즉각적 피드백에 치중되지 않도록 반성적으로 돌아보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예비교사가 가진 발문과 피드백에 대한 인식도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9). 초등학교 과학 5-1, 5-2, 6-1, 6-2 교사용 지도서.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국정도서편찬위원회.
  2. 김동현, 김효남(2011). 초등 과학영재 수업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145-1157. https://doi.org/10.14697/JKASE.2011.31.8.1145
  3. 김보라(2007). 동물 관찰 시 탐색-발견 중심의 교사 발문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및 그림 표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찬종, 이선경(2005). 과학교실의 수업담화와 사회-과학적 규범의 특징: 초임 과학교사의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2(3), 359-386.
  5. 김효창, 김경숙, 김선화, 이인숙, 김경태, 민동기, 배주한, 신형수, 이재홍, 차영주(2021). 혼자서 익히는 기초통계학: SPSS 26.0 버전. 서울: 마인드포럼.
  6. 나지연(2014). 초등학생의 열 현상 이해와 관련된 일상 경험의 역할과 특징.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남정희, 이순덕, 임재항, 문성배(2010). 멘토링을 통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수업에서의 교사,학생 상호작용 변화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953-970.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8.953
  8. 맹승호(2022). Data-Text 변형 담화의 측면에서 본 세 초등 예비교사의 모의수업 시연 사례의 비교. 초등과학교육, 41(1), 93-105.
  9. 박기용, 조자경(2010). 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교실 수업행동.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19-42. https://doi.org/10.24211/TJKTE.2010.27.1.19
  10. 안영돈, 임희준(2014). 초등 교사의 과학학습에 대한 신념과수업 내용, 방법, 환경 측면에서의 교수 실제에 관한 사례 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8(3), 555-568. https://doi.org/10.21796/JSE.2014.38.3.555
  11. 오필석, 이선경, 김찬종(2007). 지식 공유의 관점에서 본 과학 교실 담화의 사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4), 297-308.
  12. 이경민(2019). 과학활동에서 나타난 유치원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유형 분석. 한국유아교육연구, 21(2), 1-28.
  13. 이상균(2012).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사용된 교사의 과학적 질문유형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3), 287-296. https://doi.org/10.15523/JKSESE.2012.5.3.287
  14. 이화진, 장지은, 김희백(2013). 생물 예비교사들의 수업 실습에서 대화적 담화를 중심으로 나타난 수업 전문성. 생물교육, 41(2), 181-197. https://doi.org/10.15717/BIOEDU.2013.41.2.181
  15. 이희정(201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교과서의 발문 유형 및 적절성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전영석(2021). 과학 수업 시연에 나타난 초등학교 예비 교사들의 발문 유형 분석. 한국초등교육, 32(2), 223-238. https://doi.org/10.20972/KJEE.32.2.202106.223
  17. 정민수, 전미란, 채희권(2007). 과학영재 수업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본 교사의 발문과 피드백 사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81-892.
  18. 정정인, 김민혜, 강지혜(2009). 초등교사의 과학영재 수업에 대한 사례 연구: 발문과 피드백을 중심으로. 국제과학영재학회지, 3(2), 125-135.
  19. 정하나, 전영석(2023).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시연에 나타난 담화 유형 분석. 교사교육연구, 62(3), 227-242. https://doi.org/10.15812/TER.62.3.202309.227
  20. 정희경, 신동희(2021). Blosser의 과학 발문 분류 체계 적용의 제한점 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42(2), 221-244.
  21. 조은영, 한신(2015). 중학교 태양계 단원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의 교실담화 사례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9(1), 113-131. https://doi.org/10.21796/JSE.2015.39.1.113
  22. 조인희, 손연아, 김동렬(2012). 생물 예비교사의 과학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 시연에 나타난 질문 유형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6(2), 167-185. https://doi.org/10.21796/JSE.2012.36.2.167
  23. 최취임, 조민정, 여상인(2012). 초등 과학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발문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업 분석. 초등과학교육, 31(1), 57-70.
  24. Blosser, P. E. (2000). How to Ask the Right Questions. Arlington, Qirginia: NSTA press.
  25. Butler, D. L., & Winne, P. H. (1995). Feedback and self-regulated learning: A theoretical synthe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5(3), 245-281. https://doi.org/10.3102/00346543065003245
  26. Charlesworth, R., & Lind, K. K. (2007). Math & Science for Young Children. New York: Thomson Delmar Learning Corporation.
  27. Chin, C. (2007). Teacher questioning in science classrooms: Approaches that stimulate productive thin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6), 815-843. https://doi.org/10.1002/tea.20171
  28. Edwards, D., & Mercer, N. (1987). Common Knowledge: The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in the Classroom. London: Routledge.
  29. Gess-Newsome, J. (2015). A model of teacher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including PCK: Results of the thinking from the PCK Summit. In A. Berry, P. Friedrichsen, & J. Loughran (Eds.), Re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Education (pp. 28-42). London: Routledge.
  30. Hodson, D. (2014). Learning science, learning about science, doing science: Different goals demand different learning method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15), 2534-2553. https://doi.org/10.1080/09500693.2014.899722
  31. Kang, N. H. (2008). Learning to teach science: Personal epistemologies, teaching goals, and practices of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2), 478-498. https://doi.org/10.1016/j.tate.2007.01.002
  32. Magnusson, S., Krajcik, J., & Bro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rdrecht: Kluwer.
  33. Marzano, R. J., & Simms, J. A. (2017). 학생탐구 중심 수업과 질문 연속체 [Questioning Sequences in the Classroom] (정혜승, 정선영 역). 서울: 사회평론. (원서출판 2014)
  34. McNeill, K. L., & Pimentel, D. S. (2010). Scientific discourse in three urban classrooms: The role of the teacher in engaging high school students in argumentation. Science Education, 94(2), 203-229. https://doi.org/10.1002/sce.20364
  35. Mortimer, E., & Scott, P. (2003). Meaning Making In Secondary Science Classrooms. McGraw-Hill Education (UK).
  36.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5). 교사를 위한 과학 탐구 안내서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서울교육대학교 과학주머니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37. Pajares, M. F. (1992).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3), 307-332. https://doi.org/10.3102/00346543062003307
  38. Scott, P. H., Mortimer, E. F., & Aguiar, O. G. (2006). The tension between authoritative and dialogic discourse: A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meaning making interactions in high school science lessons. Science Education, 90(4), 605-631.
  39. Shute, V. J. (2008). Focus on formative feedback.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8(1), 153-189. https://doi.org/10.3102/00346543073137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