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학계열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영향 요인 탐색 : T 대학교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Factors Influencing Major Satisfaction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T University

  • 유현주 (한국공학대학교 성과관리인증센터)
  • You, Hyunjoo (Center for Educational Evaluation & Improvement, Tech University of Korea)
  • 투고 : 2023.10.17
  • 심사 : 2023.12.23
  • 발행 : 2024.01.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improve major satisfaction that can be applied by univers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major satisfaction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Korea-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K-NSSE) data involving 814 students from T University were used,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were applied. The main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are as follows. First,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factors include major-career relevance, college immersion, and positive academic sentiment. Second, depending on the grade,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 of major-career relevance in the lower grades, and the factors of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and college immersion in addition to major-career relevance in the upper grad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Third, the higher th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positive academic sentiment, and college immersion, including the major-career relevance, the higher the major satisfaction was found in the middle-class group with a score of BO or high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differences in influence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major satisfaction influencing factors that can be practiced in universities such as learning experien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은주.배상훈(2019). 공학계열 여학생의 교수 및 교우와의 상호작용 유형과 예측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8) 995-1022. 
  2. 김가영.손승희(2019). 전공-흥미 일치도와 전공 선택 동기에 따른 전공만족도의 차이 : 위탁직업과정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6(9), 299-322. 
  3. 김경미.김영기(2020). 치위생(학)과 남학생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3), 421-429. 
  4. 김계현.하혜숙(2000). 대학생의 학과(학부) 만족의 요인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1(1), 7-20. 
  5. 김민선.최보금(2016). 공학전공 신입생들의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고차원적 학습활동, 진로몰입 간의 성차모형 검증: 공학 흥미와 전공 및 학교만족도의 매개효과. 교육학연구, 54(1), 151-181. 
  6. 김영기(2022). 공학계열 대학생의 창의.융합역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전공교육만족도 요인.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17(3), 395-404. 
  7. 김옥분.김혜진(2016). 튜터링 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전공별 학습몰입 영향요인 분석. 교양교육연구, 11(2), 563-584. 
  8. 김진섭.이동엽(2014). 일부 경상지역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디지털융복합연구, 12(8), 389-396.  https://doi.org/10.14400/JDC.2014.12.8.389
  9. 김현순(2018). 대학생 진로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12), 251-262.  https://doi.org/10.5392/JKCA.2018.18.12.251
  10. 류인평.강동원.이재곤(2019). 대학생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전공만족, 전공몰입,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ourism Research, 44(3), 81-106.  https://doi.org/10.32780/ktidoi.2019.44.3.81
  11. 민혜리.홍성연(2009).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요구와 만족도에 근거한 공과대학 수업개선 방안 탐색. 공학교육연구, 12(4), 38-45.  https://doi.org/10.18108/JEER.2009.12.4.38
  12. 박미정.유하나(2018).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 :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공학계열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학교보건학회지, 31(1), 29-38.  https://doi.org/10.15434/KSSH.2018.31.1.29
  13. 박안숙.김혜경(2016).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및 전공만족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2), 511-519.  https://doi.org/10.5762/KAIS.2016.17.2.511
  14. 박효진.유은주.이화명(2020).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전공 만족도의 관계 :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 310-322.  https://doi.org/10.5392/JKCA.2020.20.02.310
  15. 송영명.유신복.김명주(2018). 대학생의 대학 몰입, 교수-학생 상호작용,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이 전공 및 교양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0), 977-995. 
  16. 송윤정.조규판(2015).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학습몰입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4), 355-374. 
  17. 신승옥(2017).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환경, 실습교과목 만족도 및 전공 만족도와의 융합적 관계. 융합정보논문지, 7(6), 19-24.  https://doi.org/10.22156/CS4SMB.2017.7.6.019
  18. 신승호.이정원.김창태(2020). 간호대학생의 전공 만족도가 전공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7), 136-145.  https://doi.org/10.5762/KAIS.2020.21.7.136
  19. 우선화(2012). 진로결정상태유형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 이상우.박기범(2019). 대학생의 특성과 학업 중도 탈락의 상관성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1), 1185-1210. 
  21. 이성룡 외(2019). 강원지역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전공몰입도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JKDAS), 21(4), 1841-1851. 
  22. 이학식.임지훈(2011). SPSS 18.0 매뉴얼. 집현재. 
  23. 전영미(2015). 공과대학생들의 학습 과정 분석에 기초한 학습지원 방안 연구 : 수도권 S대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8(1), 61-73.  https://doi.org/10.18108/JEER.2015.18.1.61
  24. 전현정.정혜원(2018). 청소년기 진로 관련 대화 상대 및 빈도에 따른 전공 선택 요인이 전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9(1), 265-294.  https://doi.org/10.14816/SKY.2018.29.1.265
  25. 진성희.성은모(2012). 고등교육에서 대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탐색 자기 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공학 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31(1), 1-18. 
  26. 최규환(2005). 관광교육 서비스 평가, 만족,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8(1), 135-152. 
  27. 최정아.이희원(2012). 공과대학 학생의 전공-진로 일치 여부에 따른 학업 성취, 태도 및 진로타협 양상 비교 분석: 서울대 학교 공과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5(2), 20-29.  https://doi.org/10.18108/JEER.2012.15.2.20
  28. 황순희(2021). 공과대학 여햑생의 전공만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탐색. 공학교육연구, 24(2), 29-40.  https://doi.org/10.18108/JEER.2021.24.2.29
  29. Ahmed, K.A., Sharif, N. & Ahmad, N.(2017).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career choices: empirical evidence from business students. Journal of Southeast Asian Research, 2017(2017), 1-15. 
  30. Baker, R.W. & Siryk, B.(1984).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31, 179-189.  https://doi.org/10.1037/0022-0167.31.2.179
  31. Hair, J. F. et al.(2010).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 Hall High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