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rchival Science and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헌법적 관점의 기록학

  • 이영남 (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
  • Received : 2023.12.31
  • Accepted : 2024.01.23
  • Published : 2024.01.31

Abstract

Record & archives management is at the heart of archival science. We must be faithful to record & archives management. However, isn't there a paradox that arises the more faithful we are to record & archives management? The paradox is that 'being a responsible manager and efficiently managing records' is rather reduces the interest in the social existence of humans who create and use such records. Why do humans produce and use records? It may be because human beings have been living with the concept of records. The concept is 'the same as the design of thoughts'. There is no need to doubt this direction because as record & archives management develops, more valuable records are preserved more systematically, and they are been served with wider scope and appropriateness. However, if we observe this situation from a human point of view rather than record & archives management, we find that humans appearing in record & archives management are limited to the object of using records. If humans are perceived differently based on the hypothesis of reviewing from the ground up, we can encounter a unique contex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records or between records and humans. If it reaches the norm that human beings have dignity that cannot be transferred to anyone, have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and must live by enjoying freedom, equality, and social basic rights, in short, if human beings are recognized from a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we can newly recognize the social role and direction of records. The constitution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document basic human rights as the final norm and clarify that it is the duty of the state to guarantee and practice them. The social role of records from a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is the practice of records that proliferate basic human rights. The practice of archiving, which multiplies basic human rights, may also be a civic consciousness required of experts, bu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a professional way for archival studies. If record management is a two-lane round trip, it can be sai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record management and record practice, which multiplies basic human rights, is a pioneering four-lane round trip. This article examines the practice of archiving, which has been developed in and out of record & archives management, by clearly grasping the constitutional perspective from the perspective of archival studies, and examines the social role of archival studies in this context. The social role of archival studies is to provide new linguistic rules for archiving.

기록학의 핵심에는 기록관리가 있다. 기록관리에 충실해야 한다. 그러나 기록관리에 충실할수록 발생하는 역설이 하나 있지 않을까. '책임있는 관리자가 되어, 관리적 차원에서 기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일'이 그런 기록을 만들고 이용하는 인간이라는 사회적 존재에 대한 관심은 오히려 축소시킨다는 역설. 인간은 왜 기록을 생산하고 이용하는가. 그것은 인간이란 존재가 특이하게도 기록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살아가는 존재이기 때문일 것이다. 개념은 '생각의 설계도 같은 것'이다. 기록관리가 발전할수록 가치 있는 기록이 더 많이, 보다 체계적으로 보존되며, 폭넓음과 유효적절함으로 서비스가 되는 것이어서 이 방향성을 의심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기록관리가 아닌 인간의 시선에서 이런 상황을 관찰하게 되면, 기록관리에 등장하는 인간은 기록을 이용하는 대상으로 제한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원점에서 재검토한다는 가설에 입각해 인간을 다르게 인식할 경우, 인간과 기록의 관계, 또는 기록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특이한 맥락을 접할 수 있다. 인간은 누구에게도 양도할 수 없는 존엄성을 지닌 존재,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가진 존재, 자유와 평등, 사회적 기본권을 향유하며 살아야 하는 존재라는 규범에까지 이르게 된다면, 요컨대, 헌법적 관점에서 인간을 인식한다면, 기록의 사회적 역할과 방향성에 대해 새롭게 인식할 수 있다. 국내외 헌법과 국내외 인권규범은 인간의 기본권을 최종 규범으로 문서화 하고 있으며, 이를 보장하고 실천하는 것이 국가의 의무임을 명확히 하고 있다. 헌법적 관점에서 기록의 역할은 인간의 기본권을 증식하는 기록실천이다. 또는 인간의 기본권을 옹호하고 지지하며 지원하는 일이다. 인간의 기본권을 증식하는 기록실천은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시민의식이기도 하겠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기록학의 직업적 통로가 될 수 있다. 기록관리가 2차선 왕복도로라고 한다면, 기록관리와 인간의 기본권을 증식하는 기록실천이 상호작용하는 것은 4차선 왕복도로를 개척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글은 헌법적 관점을 기록학의 관점으로 명확히 잡아, 그간 기록관리 안팎으로 전개된 인간의 기본권을 증식하는 기록실천을 점검하고, 이런 기조에서 기록학의 사회적 역할을 재검토한 글이다. 기록학의 사회적 역할에는 기록에 관한 새로운 언어적 규칙을 제공하는 것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건홍 (2011), 일상아카이브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 No 29.
  2. 김두식 (2011), 헌법의 풍경, 서울: 교양인.
  3. 김신석 (2017), 사회적 사건 기록화를 위한 기록개념의 재해석 : 416가족협의회 기록화 사례를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석사논문.
  4. 김영, 설문원 (2015), 구술생애사 기록을 통해 본 사회운동참여의 맥락: 밀양765kV 송전탑건설반대운동에 참여한 여성주민들의 구술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 Vol.0 No.44.
  5. 김영란 (2020), 김영란의 헌법 이야기: 인간의 권리를 위한 투쟁의 역사, 서울: 풀빛.
  6. 김정인 (2015), 민주주의를 향한 역사. 서울: 책과 함께.
  7. 김정인 (2017), 독립을 꿈꾸는 민주주의, 서울: 책과 함께.
  8. 박소진 (2021), 시니어 인지건강을 위한 사진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 한국외대 석사논문.
  9. 배은희, 설문원 (2023), 시민의 '기록자로서의 당사자성' 획득 과정 : 완월동 시민아키비스트 기록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23 No.1.
  10. 설문원 (2021), 기억의 기록학적 의미와 실천,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 No.67.
  11. 손동유 (2020), 민간 아카이브 활성화의 의미와 과제: 마을공동체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 No 65.
  12. 손동유 (2021), 민간 아카이브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모색,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 No 69.
  13. 신유림 (2019), 증평군 기록관은 증평을 닮았다, 한국기록관리학회,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 19 No1.
  14. 이경남. 이현정 (2020), 서사 기반 수집 실행지침의 설계와 개발절차: 서울기록원의 S-NAP을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 No.65.
  15. 이경래 (2022), 정동의 기록화: '4·16 기억저장소'를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 No 79.
  16. 이경래 (2021), 인류세 시대 '생태 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 No.68.
  17. 이도순 (2023), 기록자치 실현을 위한 기록교육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No.16.
  18. 이연창 (2021), 관계형 아카이브의 환경모형,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 No 69.
  19. 이연창 (2022), 관계형 아카이브의 플랫폼 연구, 명지대 박사논문.
  20. 이영남 (2019), 자살유족 기록작업의 방법과 의미,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 No.59.
  21. 이영남 외 (2018), 누구나 마을 아카이브, 수원: 더페이퍼.
  22. 이현정 (2014), 기록학 실천주의(Archival Activism)의 과제와 전망: 월가점령운동 기록화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 No.42.
  23. 임지훈 외 (2017),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한국기록학회, 기록학연구 No.51.
  24. 임지훈 (2019), 사건 아카이브의 개념과 특성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논문.
  25. 조민지.이은화.이영남 (2020), 관계성 기반 기록정보서비스 연구, 한국록학회, 기록학연구, No 66.
  26. 정지연 (2023), 애도의 아카이브 연구, 한신대 석사논문.
  27. 정혜신 (2018), 당신이 옳다, 서울: 해냄.
  28. 차병직.윤재왕.윤지영 (2016), 지금 다시, 헌법, 서울: 위즈덤하우스.
  29. 차성환 (1990), 19세기 방법론 논쟁과 막스 베버 현실탐구과학론, 현상과 인식, Vol.13, No.4.
  30. 청와대 (2018), 문재인 대통령 헌법개정안, 서울: 더휴먼.
  31. 한기철 (2011), 프랙티스: 허스트 교육이론의 재조명,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Vol.24 No.2.
  32. 한인섭 (2019), 100년의 역사, 서울: 푸른역사.
  33. 홍기빈 (2012), 살림/살이 경제학을 위하여.
  34. 홍기빈 (2023), 어나더 경제사1: 자본주의, 서울: 시월.
  35. Bunting, Madeleine (2020), Labours of love, The fortune(김승진, 2022, 사랑의 노동, 서울: 반비).
  36. Bortolotti, Dan (2010), Hope in Hell: Inside the World of Doctors Without Borders, Firefly Books Ltd(고은영. 정경옥, 2013, 인류의 절망을 치료하는 사람들: 국경없는의사회 사람들의 생생한 현장, 씨앗을뿌리는사람).
  37. Carr, Edward Hallett (2002), What is History?, Palgrave Macmillan(김택현, 2015, 역사란 무엇인가, 까치).
  38. Coles, Robert (1989), The Call of Stories, Houghton Mifflin Company.
  39. Dewey, John (1997), Experience And Education, Free Press(엄태동, 2019, 존 듀이의 경험과 교육, 박영스토리).
  40. Foucault, Michel (1969), L'archeologie du savoir, Gallimard(이정우, 2000, 지식의 고고학, 민음사).
  41. Foucault, Michel (1970), L'ordre du discours: Lecon inaugurale au College de France prononcee, Gallimard(허경, 2020, 담론의 질서, 세창출판사).
  42. Hoggard, Liz (2005), How to be Happy: Lessons from Making Slough Happy, BBC Books(이경아, 2006, 행복, 예담). 
  43. Gros, Frederic (1996), Michel foucault, Humensis(배세진, 2022, 미셸 푸코, 이학사).
  44. Jenkins, Keith (1991), Rethinking History, Taylor & Francis(최용찬, 1999,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혜안).
  45. Morley, David (1998), Healing Our World: Inside Doctors Without Borders in a Thiord World Crisis, McClelland & Stewart, Toromto(조준일, 2007, 국경없는 의사회, 파라북스).
  46. Rosenberg, Marshall B. (2015), Nonviolent Communication: A Language of Life: Life-Changing Tools for Healthy Relationships, Puddle Dancer Pr(캐서린 한, 2017, 비폭력대화, 한국NVC출판사).
  47. Schon, Donald (1984),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Basic Books(배을규, 2018, 전문가의 조건: 기술적 숙련가에서 성찰적 실천 가로).
  48. Seidman, Irving (2019),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Teachers College Press (박혜준 외, 2022,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49. Sen, Amartya (2001), Development as Freedom, Oxford University Press(김원기, 2013, 자유로서의 발전, 갈라파고스).
  50. Singer, Peter (1997), How are We to Live? : Ethics in an Age of Self-Interest (Paperback) Oxford Univ Pr(황경식 외, 2013, 실천윤리학, 연암서가).
  51. Singer, Peter (2011), Practical Ethics, Cambridge Univ Pr(노승영, 2023, 이렇게 살아도 괜찮은가. 시대의 창).
  52. Skovholt, Thomas M. (2011), The Resilient Practitioner : Burnout Prevention and Self-Care Strategies for Counselors, Therapists, Teachers, and Health Professionals, Routledge(유성경, 2003, 건강한 상담자만이 남을 도울 수 있다, 학지사).
  53. White, Michael (2011년), Narrative Practice: Continuing The Conversations, W. W. Norton & Company(김유숙 외, 2014, 내러티브 실천,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