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tterns of Subsistence Production in the Early Bronze Age in the Seoul/Gyeonggi Region

서울·경기지역 청동기시대 전기 생계자원(生計資源) 생산방식

  • LEE Minyoung (Digital Heritage Team,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민영 (국립문화재연구원 디지털문화재연구정보팀)
  • Received : 2022.03.31
  • Accepted : 2023.08.16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The subsistence economics of the early Bronze Age has focused on explaining the intensity of agricultural practices without sufficiently taking into account the diversity of production methods that may arise from cultural types or environmental factors. The problem appears to stem from paying insufficient attention to the question whether we should understand the transition from the Neolithic Age to the Bronze Age as continuous or discrete. This has hitherto blocked an avenue to investigate the gradual changes in subsistence resource production methods. Taking as its premise that changes in the production methods of subsistence resources in the Bronze Age have been continuous and gradual, this paper seeks to restore the production patterns of subsistence resources according to the variety of factors that may have influenced the early Bronze Age production method. With diverse cultural patterns and ecological spaces of the early Bronze Age being confirmed, the work of restoring the production methods of subsistence resources in a specific period is difficult to achieve with one or two stand-alone analyses. A more appropriate method would involve separating a number of different aspects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subsistence resources, analyzing and interpreting each, and in the final stage, synthesizing the analyses. The specific research method employed in this paper checked for compositional differences in stone production tools, functionally categorized according to a variety of factors that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roduction of subsistence resources: cultural-environmental factors and cultural patterns,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factors, soil productivity, and size of settle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or the early Bronze Age production pattern of subsistence resources in the Seoul and Gyeonggi regions, while no substantive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respect to cultural type,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location, the result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production tools according to settlement size and soil productivity. Also, with an increasing ratio of settlement size and total production soil, increases in hunting and armoring tools, woodworking tools, and harvesting tools were observed; on the other hand, when it came to the ratio of fishing tools, the opposite relationship was observed. While a correlation between settlement size or crop cultivation productivity and dependence on hunting or farming was expecte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settlement size and soil productivity ratios do not have mutu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The results thus illustrate that patterns of production differ according to a variety of factors, and no single factor is decisive in the adoption of subsistence resource production methods by a specific settlement. Therefore, the paper emphasizes the need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patterns of subsistence resources according to the variety of cultur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make up settlements in early Bronze Age society.

청동기시대 전기 생계경제는 문화유형,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해 발현될 수 있는 생산방식의 다양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채, 농경 수행의 강도를 설명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왔다. 이러한 상황은 신석기-청동기시대 이행을 얼마나 단절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이해할 것인가의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하지 않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인식은 생계자원 생산방식의 점진적인 변화를 탐색할 수 있는 경로를 차단해 왔다. 본고에서는 청동기시대 생계자원의 생산방식이 연속·점진적으로 변화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하면서, 청동기시대 전기 생산방식에 영향을 주었을 다양한 요소에 따른 생산자원 생산양상을 복원해보고자 하였다. 청동기시대 전기는 문화유형과 생태적소가 다양하게 확인되는바, 특정 시기의 생계자원 생산방식을 복원하는 작업은 단편적인 한두 가지 분석으로는 달성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생계자원 생산과 관련된 몇 가지 측면을 분리하여 분석·해석하고 종국에는 모두를 종합하는 것이 적절한 방법적 경로가 될 듯하다. 구체적인 연구 방법으로 생계자원 생산과 밀접한 연관을 지니는 문화·환경적 요소-문화유형, 지리·지형적 요소, 토양생산성, 취락규모-에 따라 기능상 분류된 석제 생산도구 구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경기 지역의 청동기시대 전기 생계자원 생산양상에 있어 문화유형과 지리·지형적 입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는 반면, 취락규모와 토양생산성에 따른 생산도구 구성의 차이에서는 통계적으로도 제법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취락규모와 종합생산토양 비율이 증가할수록 수렵·무구, 목가공구, 수확구가 증가하는 반면 어로구의 비율에 있어서는 그 반대의 양상이 관찰되었다. 취락규모나 작물재배의 생산성에 따른 수렵 혹은 농경에 대한 의존도 사이에 상관관계를 기대하게 하나, 취락규모와 토양생산성 비율 간의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상호 유의미한 관계로 해석되지 않았다. 즉, 이는 여러 요인에 따라 생산양상도 상이하며, 어느 단편적인 요소가 특정 취락의 생계자원의 생산방식을 채택하는데 결정적이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청동기시대 전기 사회에서의 취락을 구성하는 다양한 문화·환경적 요소에 따라 생계자원 생산양상 검토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범철, 2011a, 「쌀의 고고학: 한국 청동기시대 水稻作과 정치경제」, 서울: 민속원.
  2. 드레넌, 로버트[김범철 옮김], 2019, 「고고학을 위한 통계학」, 과천: 진인진.
  3. 이형원, 2009, 「청동기시대 취락구조와 사회조직」, 서울: 서경문화사.
  4. 프라이스, 더글러스[이희준 옮김], 2013, 「고고학의 방법과 실제」, 서울: 사회평론.
  5. Mignon, M. R.[김경택 옮김], 2006, 「고고학의 이론과 방법론」, 서울: 주류성출판사.
  6. 佐佐木高明, 1971, 「稻作以前」, NHKブックス, 147, 日本放送出版協會.
  7. 강동석, 2018, 「지석묘사회의 취락패턴과 복합화: GIS를 활용한 영산강중류역 취락패턴의 재구성」, 「한국고고학보」 109, 한국고고학회, pp.66~105.
  8. 강동석, 2020, 「강화도 지석묘 축조의 사회경제적 배경 검토」, 「韓國考古學報」 116, 한국고고학회, pp.39~65.
  9. 고민정.Martin Bale, 2009, 「청동기시대 후기 농경 집약화와 사회조직-진주 대평리유적을 중심으로-」, 「慶南硏究」 제1집, 경남연구원, pp.79~105.
  10. 고일홍, 2010, 「청동기시대 전기의 농경방식 재조명: 화전농경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韓國上古史學報」 67, 韓國上古史學會, pp.25~44.
  11. 곽승기, 2017, 「특정화합물 안정동위원소분석법을 이용한 청동기시대 중서부지방 생업 양상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95, pp.55~78.
  12. 김권구, 2001, 「영남지방 무문토기시대 마을의 특성과 지역별 전개양상」, 「한국 무문토기시대 연구의 새로운 성과와 과제」, 충남대학교박물관.
  13. 金度憲.李在熙, 2004, 「蔚山地域 靑銅器時代 聚落의 立地에 대한 檢討: 生業과 關聯하여」, 「嶺南考古學」 35, 嶺南考古學會, pp.11~35.
  14. 金賢峻, 1996, 「靑銅器時代 聚落의 立地條件을 통해서 본 生業 硏究: 出土遺物을 중심으로」, 漢陽大學校大學院 碩士學位論文.
  15. 김민구, 2012, 「식물자료를 이용한 농업연구: 몇 가지 이론적 고찰」, 「농업의 고고학」, 제36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 한국고고학회, pp.15~32.
  16. 김민구, 2020, 「작물유체로 본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사회」, 「청동기시대의 설정과 분기」, 특별전 <한국의 청동기문화 2020> 연계학술대회, 韓國靑銅器學會, pp.35~52.
  17. 김민구.권경숙, 2010, 「제주도 송국리문화의 석기조성과 생업경제: 호남지역과의 비교」, 「湖南考古學報」 36, 湖南考古學會, pp.63~95.
  18. 金範哲, 2006, 「중서부지역 靑銅器時代 水稻 生産의 政治經濟: 錦江 중.하류역 松菊里型 聚落體系의 위계성과 稻作集約化」, 「한국고고학보」 58, 한국고고학회, pp.40~65.
  19. 金範哲, 2020, 「청동기시대 前.中期 分期와 社會經濟的 變化에 대한 이해」, 「韓國靑銅器學報」 27, pp.4-19, 韓國靑銅器學會, pp.4~19. https://doi.org/10.15397/JKBC.2020.27.04.
  20. 김범철, 2021, 「남한 신석기-청동기시대 이행에 대한 맥락적 이해」, 「韓國新石器硏究」 41, 한국신석기학회, pp.1~23.
  21. 김범철, 2022, 「청동기시대 취락변천상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 세종특별자치시 유적을 중심으로」, 「湖西考古學」 51, 호서고고학회, pp.4~34.
  22. 金壯錫, 2001, 「흔암리유형 재고: 기원과 연대」, 「嶺南考古學」 28, 嶺南考古學會, pp.35~64.
  23. 박서현, 2016, 「호남지역 청동기시대 생업경제-취락과 생업도구의 분석을 중심으로-」, 「湖南考古學報」 53, 湖南考古學會, pp.26~45.
  24. 朴性姬, 2006, 「靑銅器時代 聚落類型에 대한 考察: 中西部地域遺蹟을 中心으로」, 「韓國上古史學報」 54, 韓國上古史會, pp.21~48.
  25. 朴性姬, 2015, 「청동기시대 취락의 공간적 분포와 지역권역」, 「고고학」 14-1, 중부고고학회, pp.5~43.
  26. 朴淳發, 1999, 「欣岩里類型 形成過程 再檢討」, 「湖西考古學」 1, 湖西考古學會, pp.79~103.
  27. 서경, 2016, 「GIS를 이용한 한반도 중.남부지역 신석기시대 취락 입지 연구:초기 농경 확산과 취락 입지 변화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서울大學校大學院 考古美術史學科 碩士學位論文.
  28. 孫晙鎬, 2008, 「石器 組成比를 통해 본 靑銅器時代 生計와 社會經濟」, 「韓國靑銅器學報」 3, 韓國靑銅器學會, pp.36~61.
  29. 손준호, 2010, 「청동기시대 석기 생산 체계에 대한 초보적 검토」, 「湖南考古學報」 36, 湖南考古學會, pp.37~62.
  30. 孫晙鎬, 2019, 「청동기시대 석기 분류」, 「歷史學硏究」 74, 湖南史學會, pp.1~28.
  31. 宋滿榮, 2001, 「南韓地方 農耕文化形成期聚落의 構造와 變化」, 「韓國農耕文化의 形成」, 第25回 韓國考古學全國大會, 韓國考古學會, pp.75~108.
  32. 安承模, 2006, 「동아시아 정주취락과 농경출현의 상관관계: 한반도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韓國新石器硏究」 11, 韓國新石器學會, pp.25~54.
  33. 安在晧, 2000, 「韓國 農耕社會의 成立」, 「韓國考古學報」 43, 韓國考古學會, pp.41~66.
  34. 安在晧, 2006, 「靑銅器時代 聚落硏究」, 釜山大學校 博士學位論文.
  35. 안재호, 2010, 「한반도 청동기시대의 쟁점」, 청동기시대 마을풍경 특별전 학술심포지엄, 국립중앙박물관, pp.1~23.
  36. 윤호필, 2010, 「농경으로 본 청동기시대의 사회」, 「慶南硏究」 3, 慶南硏究院, pp.4~25.
  37. 李康承.朴淳發, 1995, 「新石器.靑銅器時代 遺蹟 調査」, 「屯山」, 忠南大學校博物館, pp.292~296.
  38. 李基星, 2001, 「無文土器時代 住居樣式의 變化: 忠南地方을 中心으로」, 「湖南考古學報」 14, 湖南考古學會, pp.119~152.
  39. 이기성, 2018, 「호서지방 원형점토대토기 문화의 석기 조성-석기-철기 전환의 전단계-」, 「韓國靑銅器學報」 22, 한국청동기학회, pp.94~119. https://doi.org/10.15397/JKBC.2018.22.94.
  40. 李白圭, 1974, 「京畿道 出土 無文土器 磨製石器: 토기편년을 중심으로」, 「考古學」 3, 韓國考古學會.
  41. 李淸圭, 1988, 「南韓地方 無文土器文化의 展開와 孔列土器文化의 位置」, 「韓國上古史學報」 1, 韓國上古史學會, pp.37~92.
  42. 李亨源, 2002, 「韓國 靑銅器時代 前期 中部地域 無文土器 編年 硏究」, 忠南大學校大學院 考古學科 碩士學位論文.
  43. 이홍종, 2008, 「호서지역의 고고환경」, 「湖西考古學」 19, 湖西考古學會, pp.4~29.
  44. 이홍종.허의행, 2010, 「청동기시대 전기취락의 입지와 생업환경」, 「한국고고학보」 74, 한국고고학회, pp.87~118.
  45. 千羨幸, 2005, 「한반도 돌대문토기의 형성과 전개」, 「韓國考古學報」 57, 韓國考古學會, pp.61~97.
  46. 千羨幸, 2007, 「無文土器時代 早期 設定과 時間的 範圍」, 「韓國靑銅器學報」 1, 韓國靑銅器學會, pp.4~27.
  47. 천선행, 2015, 「청동기시대 조기설정 재고」, 「湖南考古學報」 51, 湖南考古學會, pp.4~31.
  48. 許義行, 2013, 「湖西地域 靑銅器時代 前期 聚落 硏究」, 高麗大學校 文化財協同過程 博士學位論文.
  49. Chishlom, michae, 1968, Rural Settlement and Land Ues: An Essay on Location, London: Hutchinson, pp.156~157.
  50. Clarke, David, 1968, Analytical Archaeology, London: Methuen.
  51. Hodder and Orton, 1976, Spatial Analysis in archae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14~279.
  52. VIta-Finzi, C. and Higgs, E. S., 1970, Prehistoric economy in the mount carmel area of palestine: Site catchment analysis, Preceeding ofthe PrehistoricSociety 36, pp.1~37. https://doi.org/10.1017/S0079497X000130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