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ystem Improvement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for the Preserv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Landscape Heritage

근현대 조경유산 보존을 위한 등록문화재 제도개선 방안 연구

  • KWON Yeji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KIM Minseon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 KIM Choongsik (Dept. of Heritag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Graduate School of Cultural Heritag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권예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김민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 김충식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 Received : 2023.02.16
  • Accepted : 2023.05.18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Efforts are being made internationally to pay attention to the landscape value of modern and contemporary heritage and to pass it on. However, in Korea, the registr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landscape heritage a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s insignificant. There has also been little discussion on ways to improve the system in this regard. This study sought ways to improve the registration criteria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system so that modern and contemporary landscaping heritage could be protected. Currently, the registration criteria for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re not stipulated for each type of heritage, but are stipulated as a single comprehensive standard. Registration criteria should be separately prepared so that the landscape value of the heritage can be reviewed. First, the registration criteria have an important value in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culture. Second, well-preserved landscaping reflects or characterizes the times. Lastly, it should be defined as related to the works of major artists or important figures or historical events. The classification system must match the studied building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detailed typ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landscape heritage should be specified. The major classification follows the building cultural property classification system, but parks and green spaces, squares, and gardens, which can be called a single landscape heritage, should be added to the middle classification. Landscaping heritage, such as gardens combined with building heritage, shall be specified in the subcategory based on building use.

국제적으로 근현대 유산의 조경적 가치에도 주목하고 이를 전승하기 위한 노력이 전개되고 있지만, 아직 우리나라는 근현대 조경유산의 등록문화재 등록이 미미한 실정이며 이와 관련한 제도개선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된 바가 거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근현대 조경유산도 법제도권 내에서 보호받고 그 가치가 조명될 수 있도록 등록문화재 제도의 등록기준과 분류체계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현재 등록문화재의 등록기준은 유산의 유형별로 규정되어 있지 않고 포괄적인 단일 기준으로 규정되어 있다. 유산의 조경적 가치가 검토될 수 있도록 등록기준이 별도로 마련되어야 한다. 영국과 일본의 유사 제도를 참조하여 등록기준은 첫째, 조경문화의 발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 둘째 시대를 반영하거나 특징짓는 조경이 잘 남아있는 것, 마지막으로 주요 작가의 작품, 중요한 인물 또는 역사적 사건과 관련된 것으로 규정되어야 한다. 분류체계는 기연구된 대분류-중분류-소분류의 건조물 문화재 분류체계와 정합성을 이루면서 근현대 조경유산의 세부 유형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야 한다. 대분류는 건조물 분류체계를 따르되 중분류에 단일 조경유산이라고 할 수 있는 공원 및 녹지, 광장, 정원이 추가되어야 한다. 건조물 유산과 결합된 정원 등의 조경유산은 건조물의 중분류를 토대로하여 소분류에 세부 유형이 명시되어야 한다. 이러한 분류체계는 향후 전수 조사되어야 할 등록 가능성이 있는 근현대조경유산의 분류 근거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조, 2014, 「근대 부산 대정공원에서 개최된 국낙원(菊樂園)의 구성과 홍보 전략」,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3), 한국전통조경학회.
  2. 길지혜.박희성, 2020, 「영국, 미국, 일본의 '역사적 도시공원' 보존 전략 사례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8(2), 한국조경학회.
  3. 김서린.김혜경.박미현, 2014, 「근대 사직공원의 형성과 변천」, 한국전통경학회지 32(4), 한국전통조경학회.
  4. 김진성, 2009, 「목포 "이훈동 정원"의 일본식 정원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한국전통조경학회.
  5. 신안준, 2015, 「등록문화재 제도의 현황과 개선방향」, 건축 59(4), 대한건축학회.
  6. 신웅주.이상선, 2014, 「근대 건축 등록문화재의 보존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6(1), 한국농촌건축학회.
  7. 이명우 외 7인, 2008,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조경학의 이해」, 기문당.
  8. 이명우 외 15인, 2011, 「조경계획」, 기문당.
  9. 이정수.양승희, 2015, 「근대 건축 및 시설물 문화유산 분류방안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9), 한국산학기술학회.
  10. 임승빈.주신하, 2002, 「조경계획.설계」, 보문당, p.6.
  11. 정상우.임초롱, 2018, 「근현대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법정책학적 연구」, 법학연구 21(1),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p.373.
  12. 정성희, 2016, 「1930년대 한국 주택 정원의 변화 양상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학전공 석사학위논문.
  1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한.중.일 명승 보존과 활용방안 논문집, pp.101~108.
  14. 국토교통부, 2019, 「조경설계기준」.
  15. 산업통상자원부, 2021, 「조경설계표준품셈」.
  16. 문화재청, 2013, 「근대문화유산 분류방안 연구」, pp.90, 127~128.
  17. 문화재청, 2014, 「선진국 문화재 보존.관리 규범 현황 및 내용에 관한 연구」, pp.75~93, 214, 262.
  18. 문화재청, 2021, 「전통조경 보존관리활용 기본계획 최종보고서」, pp.79~83.
  19. 文化庁文化財部記念物課, 2012, 近代の庭園.公園等に関する調査研究報告書, pp.17~23.
  20.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접속일: 2023. 1. 20.).
  21. 공원&정원, https://www.parksandgardens.org(접속일: 2021. 12. 20.).
  22. 문화재청, https://www.cha.go.kr(접속일: 2023. 1. 20.).
  23. 히스토릭 잉글랜드, https://historicengland.org.uk(접속일: 2021. 1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