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상주 이부곡토성 유적의 보존 및 활용방안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lan of Sangju Yibugok Earthen Fortification Ruin

  • 장충희 (전북연구원 사회문화연구부)
  • 투고 : 2023.03.07
  • 심사 : 2023.05.15
  • 발행 : 2023.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활발한 조사 및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주 이부곡토성에 대한 보존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엔데믹의 전개가 현실화된 오늘날 지역역사문화자원을 통한 활용방안은 지역 활성화의 기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로 상주 이부곡토성의 역사적 가치를 검토하였다. 기존의 문헌자료 연구성과와 함께 최근의 고고학적 성과를 통해 상주 이부곡토성의 역사문화자원적 가치를 살피고, 그 활용에 있어 역사적 가치의 왜곡을 지양하였다. 다음으로는 활용의 주체인 수요층과 지역민 인식 분석을 방문객 통계자료와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하였다. 활용의 주체인 수요층과 지역민의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공감은 그 활용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마지막 4장에서는 앞서 제시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고대 산성 유적의 활용사례를 살피고 상주 이부곡토성에 대한 활용방안을 '공감'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산성 유적의 활용에 대하여 그 역사적 가치, 수요층과 대중의 공감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인구 감소로 인한 지역소멸 고위험 지역인 상주가 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안이 제시되어야 하며, 사벌국의 중심지라고 하는 역사문화적 정체성 확립과 다양한 활용방안을 통한 상주의 이미지 제고는 이에 대한 대안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looked at how to preserve and use the Yibugok earthen fortification ruin in Sangju, which has recently been actively investigated and researched. Now that the coronavirus pandemic has become a reality, a utilization plan using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can be the starting point for regional revitalization.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reviewed the historical value of the Sangju Yibugok earthen fortificati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value of the fortification was reviewed in recent archaeological achievements along with the results of existing literature research, and distortion in its utilization was avoided. Next,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the demand class and local residents, the subject of utilization, was conducted with visitor statistics and surveys. This is because empathy for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by the demand class and local residents, who are the main agents of utiliz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use of cultural assets.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presented above, the use cases of ancient fortification ruins were examined in the last chapter 4, and a utilization plan for the fortification was presented focusing on empath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the historical value of the use of the fortification ruins, the empathy of the demand class, and the public.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in Sangju, a high-risk area due to population decline, various measures must be proposed, and establishing historical and cultural identity at the center of Sabeolguk and enhancing its image through various utilization measures can be one of the alternativ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공주시지 편찬위원회, 2002, 「公州市誌- 제5편 문화」.
  2. 금강문화포럼, 2017, 「공산성의 어제와 오늘」.
  3. 문화재청 활용정책과, 2010, 「2010년 문화재 활용 우수사업 문화재 생생(生生) 사업 지원계획」, 문화재청.
  4. 문화재청 문화재활용국, 2011, 「2011 문화재 생생사업담당자 워크숍(2차) 자료집」.
  5. 浜松市, 2020, 「史跡 二俣城跡 及び 鳥羽山城跡 保存活用計画」.
  6. 상주박물관, 2012, 「사벌국 관련 문화유적 학술지표조사 보고서」.
  7. 상주박물관, 2021, 「상주 금흔리 이부곡토성 유적 문화재 학술발굴조사 약식보고서」.
  8. 상주시.상주산업대학교부설상주문화연구소, 1996, 「고대사벌국 관련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9. Rifkin, Jeremy, 2009, 「공감의 시대」, 민음사.
  10. 장충희, 2020, 「공주와 부여의 백제역사문화자원 가치제고를 통한 활용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재)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1999, 「상주 이부곡토성 시굴조사보고서」.
  12. 堀尾吉晴公共同研究会, 2021, 「堀尾吉晴公共同研究会 報告書」.
  13. 김봉근 외, 2021, 「음성 망이산성의 보존.정비 및 활용 방안」, 「중원문화연구」 29,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
  14. 右島和夫, 2020, 「日本古代主要文化圏の保存.整備と活用事例 - 群馬県地域における古墳の保存.整備と活用事例を通して」, 「영산강유역 마한문화권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15. 立石 堅志, 2021, 「特別史跡平城宮跡での古代行事再現-平城遷都1300年祭での事例について-」, 「歴史的脈絡に因む遺跡の活用-儀式. 行事の再現と地域間交流の再構築-令和2年度 遺跡整備.活用研究集会報告書」, 独立行政法人 国立文化財機構 奈良文化財研究所.
  16. 상주시의회 문화관광발전연구회, 2021, 「상주 문화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17. 안신원, 2018, 「지역문화의 정체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고고역사유적 활용방안 - 경기 하남 이성산성의 예를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 48, 인문콘텐츠학회.
  18. 엄성준.김상범.안필균, 2021, 「RURITAGE 사업 개념의 농촌생활권 도입 방안」, 「농촌건축」 23(4), 농촌건축학회.
  19. 윤성호, 2021, 「서울.경기지역 삼국시대 산성 정비와 진정성 유지 방안」, 「선사와 고대」 67, 한국고대학회.
  20. 이한용, 2017, 「덕진산성 보존과 활용의 기본방향」, 「百濟文化」 56,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1. 이형우, 1996, 「사벌국고」, 「사벌국관련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서」, 상주시.상주대학교상주문화연구소.
  22. 임수연, 2015, 「남한산성 '생생 문화재 사업'의 의의와 개선방안 연구」, 「문화콘텐츠연구」 6,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3. 장수남, 2022, 「'공산성 역사관' 사례를 통해 본 역사 전시관의 전시 기법과 활용 방법 연구」, 「百濟文化」 66,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4. 장충희, 2018, 「백제역사유적지구 활성화를 위한 활용방안 연구 - 공주 공산성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48, 인문콘텐츠학회.
  25. 장충희.라선정, 2020,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공주지역 세계유산 답사코스 및 프로그램 개발」, 「인문콘텐츠」 59, 인문콘텐츠학회
  26. 정재윤, 2014, 「후백제 도성 동고산성의 보존과 활용」, 「한국고대사연구」 74, 한국고대사학회.
  27. 정재윤, 2017,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세계유산 등재와 활용 방안」, 「고구려발해연구」 59, 고구려발해학회.
  28. 韓基汶, 2007, 「沙伐國의 成立과 展開」, 「文化史學」 27, 韓國文化史學會.
  29. 공주시 홈페이지, http://www.gongju.go.kr/(접속일: 2022.10.11.)
  30.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www.heritage.go.kr/main/?v=1664788279804(접속일: 2022.10.10.)
  31. 문화체육관광부 관광지식정보시스템, https://know.tour.go.kr/main/main.do(접속일: 2022.10.12.)
  32.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셈터 SNS분석 시각화자료, http://stat.mcst.go.kr/portal/main(접속일: 2022.10.6.)
  33. 백제문화제 공식 홈페이지, https://www.baekje.org/kor(접속일: 2022.10.10.)
  34. 빅카인즈, https://www.bigkinds.or.kr(접속일: 2022.10.10.)
  35. 질병관리청 홈페이지, https://www.kdca.go.kr(접속일: 2022.10.3.)
  36.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12., 「코로나19의 관광산업 영향과 대응 방안」.
  37.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1, 「코로나19에 따른 국내 여행 행태조사(2021년 3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