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시대 목판재료 자작목(自作木)의 실체와 명칭 변화

The True Identity and Name Change of Jajak-mok, the Wood Species for Woodblock Printing in the Joseon Dynasty

  • 이운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무형유산학과)
  • LEE Uncheon (Dep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tudie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23.03.12
  • 심사 : 2023.05.11
  • 발행 : 2023.06.30

초록

조선시대 왕실 출판 과정에서 책판의 주요 수종으로 사용된 나무는 '자작목(自作木)'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명칭을 보면 껍질이 하얀 자작나무가 연상되지만, 문헌에 기록된 산지(産地)와 쓰임을 살펴보면 조선시대의 '자작목'은 우리가 알고 있는 자작나무와는 다른 나무로 추정된다. 본고는 조선시대 왕실 출판에 사용된 '자작목'이 실은 거제수나무이고,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껍질이 하얀 자작나무는 우리말 봇나무 즉 '화목(樺木)'이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더불어 조선시대 거제수나무를 지칭하던 '자작목'이 어떠한 연유로 껍질이 하얀 자작나무를 지칭하게 되었는지 살펴본다. 당시 일본에서는 '화(樺)'라는 글자를 산벚나무라는 의미로 사용하였는데, 18세기 중반에 일본의 백과전서류가 조선으로 들어오면서 지금의 자작나무를 의미하는 '화목'과 혼용되게 되었다. 더욱이 '화목'의 우리말인 '봇나무'와 산벚나무의 우리말인 '벗나무'는 발음마저 비슷하여, 이후 두 나무는 '벗나무'로 표기가 통일되었다. 그러던 것이 20세기에 들어 세 나무의 공식적인 명칭이 정리되었다. 1910년 대한제국농상공부고시와 1912년 조선총독부고시에 의하여 '화목'은 '자작나무'가 되었고, 이후 산벚나무를 뜻하는 '벗나무'는 '벚나무'가 되었다. 그리고 본래의 '자작목'에는 '거제수'라는 이름만이 남게 되었다. 오늘날 한자 사전에서는 '화(樺)'의 뜻을 '1. 벚나무 2. 자작나무'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여기서도 세 나무의 명칭이 혼용되었던 역사적 배경을 엿볼 수 있다.

In the royal publishing process of the Joseon Dynasty, the main species of wood used for woodblock printing was recorded as Jajak-mok. Although the name Jajak-mok may suggest Jajak-namu(white birch), it is presumed to refer to a different type of wood than Jajak-namu based on its recorded habitat and usage in historical document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at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term Jajak-mok referred to Geojesu-namu (Korean birch), while Jajak-namu was called Hwa-mok(樺木). Additionally, this paper explores how the term Jajakmok eventually became the name of white birch, Jajak-namu, used today. In the mid-18th century, Japan used the character 樺(hwa) to refer to Beot-namu(Sargent cherry). As Japanese encyclopedias entered Joseon, the term Hwa-mok began to refer to both Beot-namu and Jajak-namu, which is also called Bot-namu. Since the pronunciation of Boet-namu and Bot-namu are similar, the two trees were eventually unified under the name Boet-namu. In the 20th century, the official names of three trees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notifications issu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Commerce of the Korean Empire in 1910 and the Governor-General of Chosen in 1912, Hwa-mok(white birch) was renamed asJajak-namu. In 1968, Beot-namu(Sargent cherry) retained its original name, and Jajak-mok(Korean birch) was remained . In modern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the meaning of 樺(hwa) is listed as "1. Beot-namu(Sargent cherry), 2. Jajak-namu(white birch)." From this, we can infer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the names of these three trees were mixed up.

키워드

참고문헌

  1. 「高麗史」
  2. 「朝鮮王朝實錄」
  3. 「承政院日記」
  4. 「萬機要覽」
  5. 「新增東國輿地勝覽」
  6. 「東醫寶鑑」
  7. 「本草綱目」
  8. 「四聲通解」
  9. 「訓蒙字會」
  10. 「譯語類解」
  11. 「桑韓唱和塤篪集」
  12. 「五洲衍文長箋散稿」
  13. 「物名攷」(柳僖)
  14. 「和漢三才圖會」
  15. 「靑莊館全書」
  16. 「字典釋要」
  17. 「度支準折」
  18. 「璿源譜略修正儀軌」(1908)
  19. 「國朝寶鑑監印廳儀軌」(1909)
  20. 김진경, 2011, 「「桑韓唱和塤篪集」에 관한 연구」, 「한문고전연구」 23, 한국한문고전학회, p.243.
  21. 박상진, 2008, 「목판 제작에 사용된 목재」, 「동아시아의 목판인쇄」, 한국국학진흥원, p.382.
  22. 박상진, 2011, 「문화와 역사로 만나는 우리나무의 세계 2」, 김영사, p.413.
  23. 박재현 외, 2015, 「한글생활사 자료총서 명물기략」, 학고재, p.135.
  24. 서유구 著.김영.박순철 譯, 2010, 「임원경제지: 만학지」, 소와당, pp.116~118.
  25. 최공호, 2007, 「「조선왕조실록」의 궁인기록」, 「시각문화의 전통과 해석」, 예경, p.370.
  26. 하영삼.곽현숙, 2017, 「한국역대자전총서2. 자류주석」, 도서출판3, p.594.
  27. 朝鮮博物硏究會, 1943, 「朝鮮森林植物圖說」, pp.96~97, 102.
  28. 대한제국농상공부고시 제9호(1910.05.31.)
  29. 조선총독부고시 제18호(1912.09.02.)
  30.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누리집, http://waks.aks.ac.kr(검색일자: 2021.09.30.)
  31. 국가생물다양성정보공유체계 누리집, https://www.kbr.go.kr(검색일자: 2021.09.30.)
  3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누리집, https://kyu.snu.ac.kr(검색일자: 2023.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