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rpretation of Making Techniques through Surface Characteristic Analysis and Non-destructive Diagnosis for the Gilt-bronze Seated Buddha in Dangjin Sinamsa Temple, Korea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의 표면특성 분석과 비파괴 정밀진단을 통한 제작기술 해석

  • CHOI Ilkyu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YANG Hyeri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HAN Duru (World Heritage Institute Co. LTD.) ;
  • LEE Chan Hee (Dep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최일규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양혜리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 한두루 ((주)세계유산연구원 ) ;
  • 이찬희 (국립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22.12.23
  • Accepted : 2023.02.01
  • Published : 2023.03.30

Abstract

The Sinamsa Temple was built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a gilt-bronze seated Buddha is enshrined in Geungnakjeon hall in the precinct. Various damages occurred in the gilt layer of the Buddha, such as peeling of the gilt layer and deteriorating gloss. In the study, the conservation conditions of the inside and outside on the statue were accurately investigated, and the making technique was interpreted through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non-destructive diagnosis of the statue. As a result, it is estimated that gold-gilding layer is pure gold, coloration pigment of black is carbon, green is malachite, atacamite and verdigris, red is red lead and cinnabar, respectively. In the deterioration evaluation, peeling, cracking, break out and exfoliation of the gilt layer are confirmed as damages, but the conservation condition is relatively wholesome. However, the gloss of the gilt layer is calculated to be wider in the poorer part than the maintenance part. The ultrasonic velocity of the statue was calculated to be 1,230 to 3,987 (mean 2,608) m/s and showed a relatively wide range. In infrared thermography, peeling was not confirmed, and no special bonding marks were found. In endoscope, some biological damage and corrosion were observed on the surface of the internal metal, and sealed artifacts were identified. Manufacturing technique based on the study, it is considered that the gilt-bronze seated Buddha was cast at once, and the mold was inverted to inject molten metal.

당진 신암사는 고려 후기에 창건된 사찰이며, 경내의 극락전에는 금동여래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이 불상의 개금층은 박락과 광택이 저하되는 등 여러 손상이 발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재료학적 분석과 비파괴 진단을 통해 불상의 내부와 외부에 대한 보존상태를 정밀 검토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제작기법을 해석하였다. 이 결과, 개금층은 순금을 사용한 것으로 판단되며 안료에서 흑색은 먹, 녹색은 석록과 염화동 및 동록 등으로, 적색은 연단 또는 진사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손상도 평가 결과, 개금층의 벗겨짐, 균열, 탈락 및 박리 등이 확인되나 보존상태는 비교적 건전하다. 그러나 개금층의 광택은 유지부에 비해 저하부가 더 넓게 산출된다. 이 불상에 대한 초음파 속도측정 결과 1,230~3,987(평균 2,608)m/s로 비교적 넓은 범위를 보였으며, 적외선 열화상으로 박리는 확인되지 않았고 특별한 접합흔도 발견되지 않는다. 내시경 검사에서는 내부 소지금속의 부식과 생물학적 피해가 다소 관찰되었으며, 봉안된 복장물이 확인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제작기법을 검토한 결과, 이 금동여래좌상은 통주조로 제작하였으며 주형을 거꾸로 뒤집어 용탕을 주입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하, 2012, 「영주 숙수사지 출토 금동불상군의 제작기법 고찰」, 「신라문화」 40, pp.75~106.
  2. 문명대, 1983, 「고려후기 단아양식(신고전적양식)불상의 성립과 전개 -좌상을 중심으로」, 「고문화」 22, pp.33~71.
  3. 문명대, 2003, 「고신라의 황금불상고」, 「미술자료」 69, pp.5~21. https://doi.org/10.3406/inter.2003.1241
  4. 민병찬, 2016, 「금동반가사유상의 제작 방법 연구 - 국보 78, 국보 83호 반가사유상을 중심으로」, 「미술자료」 89, pp.191~213.
  5. 배고운.이상옥.범대건.정광용, 2018, 「보물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제작기법 및 납 원료 산지연구」, 「보존과학회지」 34(1), pp.59~67. https://doi.org/10.5840/swphilreview20183416
  6. 배정하, 2020,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동관음보살좌상의 시대 융합적 표현방식 -티베트 불교조각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동양예술」 48, pp.83~102. https://doi.org/10.19078/ea.2020.48.4
  7. 양혜리.최일규.이찬희, 2022, 「개금층 접착재료로서 옻과 캐슈의 과학적 특성 분석 및 보존관리방안 검토: 당진 신암사 금동여래좌상」, 「보존과학회지」 38(6), pp.736~752.
  8. 이찬희.전유근.조영훈.서만철, 2012, 「울산 반구대암각화의 손상도 및 사면안정성 평가」, 「보존과학회지」 28(2), pp.153~164. https://doi.org/10.12654/JCS.2012.28.2.153
  9. 이찬희.조영훈.전병규, 2015, 「마곡사 오층석탑 상륜부 금동보탑의 재질특성과 조성시기 해석」, 「백제문화」 52, pp.47~69.
  10. 전유근.이찬희, 2009, 「X-선 투과깊이 검증에 따른 벽화 안료의 정밀분석: 논산 쌍계사 대웅전」, 「보존과학회지」 27(3), pp.269~276.
  11. 조영훈.이찬희, 2011, 「석조문화유산의 손상지도 제작방법과 표면 및 3차원 손상율 평가기법」, 「보존과학회지」 27(3), pp.251~260.
  12. 한민수.홍종욱, 2003, 「고대 안료의 성분분석 연구 - 쌍계사 탱화 안료를 중심으로」, 「보존과학연구」 24, pp.131~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