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ransitions and Site of temporary palace(Onyanghaenggung) according to the <Oncheonhaenggungdo>(1795)

<온천행궁도(溫泉行宮圖)>(1795)의 온양행궁지 추정 및 온양행궁 변천 고찰

  • LEE Jeongsoo (Dept. of Architec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Ilhwan (Dept. of General Education for Human Creativity, Hoseo University) ;
  • LEE Kyeongmi (Institute of Historic Architecture Technique in Seoul) ;
  • JI Wonku (Korea University) ;
  • CHOI Jaeseong (Dept. of Architec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3.06.15
  • Accepted : 2023.10.24
  • Published : 2023.12.30

Abstract

Onyanghaenggung Palace(temporary palace at Onyang) is a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that can substantially confirm the king's onhaeng(溫行) base on literature records such as <Ongungyeonggoedae(溫宮靈槐臺)>, <Oncheonhaenggungdo(溫泉行宮圖)> of 『Ongungsasil(溫宮事實)』『, Younggoedaegi(靈槐臺記)』and cultural property such as Yeonggoedae(靈槐臺) and Shinjeong Monument(神井碑). As the Onyang Tourist Hotel is located in the presumed site of the Onyanghaenggung Palace, even the identity of the Onyanghaenggung Palace site is being threatened without restoration effo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location of Onyanghaenggung Palace based on <Oncheonhaenggungdo> before the damag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achieve these purposes, records related to Onhaeng during successive kings' terms in the Joseon Dynasty are first reviewed, before changes in the architecture of Onyanghaenggung Palace that took place in the Joseon Dynasty and damage suffer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e summarized, and finally <Oncheonhaenggungdo>, <Eupji>, <Ancient Maps>, <Jijeokwondo> are reviewed. Based on these processes, the location of Onyanghaenggung Palace is estimated by comparing the current Onyang Tourist Hotel and the surrounding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the 1,758 cheok(尺) of 「Onyanggun eupji」 and 「Hoseo eupji」 are converted in Jucheok(周尺), the scope of Onyanghaenggung Palace is close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ite(垈) in Jijeokwondo(1914). Second, the streamlet leading to Oncheoncheon(溫泉川) from the southern side of Onyanggwan(溫陽館), the hot spring hole in use of <Distribution Map of Hot Spring(溫泉分布見取圖)>(1925, 1928), an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of the inner east gate(內東門), Bigak(碑閣), Sinjeong(神井) of <Oncheonhaenggungdo>, the building of Hermann Gustav Theodor Sander and the Copyright Commission's Onyang Hot Springs photograph can be estimated as the Onyanghaenggung Palace Hot-spring, namely Tangsil(湯室). Thir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o amusement park, the transfer and relocation of the Yeonggaedae site(a governmentowned property) was requested by Gyeongnam Railway Company, but Chungcheongnam-do denied transfer and relocation of the Yeonggaedae because of the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Onyang Hot Springs, so the government-owned Yeonggaedae Monument site were permanently preserved at the current location together with the hoe tree(Sophora japonica L.). Also, Yeonggoedae in <Tourists Attractions around Gyeongnam Railway in Joseon (朝鮮京南鐵道沿線名所交通図絵)> (1929) is shown to exist in its current loca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Shinjeong Monument Pavilion was moved to the front of Shinjeonggwan (神井館). Based on the circumference of Onyanghaenggung Palace, the location of Onyanghaenggung Palace Hot Spring (Tangsil) and Yeonggaedae Monument Pavilion, changes in roads and lots of l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modern period, as well as the location of Onyanghaenggung Palace and other major buildings, can be estimated to extend to the current Shimin-ro and Onyang Hot Spring Market.

온양행궁(溫陽行宮)은 <온궁영괴대(溫宮靈槐臺)>, 『온궁사실(溫宮事實)』<온천행궁도(溫泉行宮圖)>, 『영괴대기(靈槐臺記))』 등 문헌기록과 영괴대(靈槐臺)와 신정비(神井碑) 등 온행 유적 등을 통해 왕의 온행을 확인가능한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현재 온양행궁지로 추정되는 곳은 온양관광호텔이 입지하고 있어, 온양행궁 복원이 이루어지지 못한 채 그 정체성마저 위협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훼손 이전 『온궁사실』<온천행궁도>(1795)에 나타나는 온양행궁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조선시대 역대 왕들의 온행관련 기록을 고찰하고, 둘째 조선시대 온양행궁의 건축물 변화 및 일제강점기 훼손과정 등을 정리한 후, 셋째 <온천행궁도> 및 읍지, 고지도 그리고 지적원도 등을 현재 온양관광호텔 및 주변 지역 변화와 비교분석하여 온양행궁의 위치를 추정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온양군읍지」 및 「호서읍지」의 1,758척을 주척(周尺)으로 환산하면, 온양행궁의 범위는 지적원도(1914년)의 대(垈)로 표현된 부지 내측 둘레와 근접하고 있다. 둘째, 지적원도의 온양관 남측 잡(雜)으로부터 온천천으로 나가는 물길, <온천분포견취도(溫泉分布見取圖)>(1925, 1928)의 온천공, 그리고 <온천행궁도>의 내동문(內東門), 비각(碑閣), 신정(神井), 답도 등의 관계를 종합하면, 헤르만 산더(Hermann Gustav Theodor Sander, 1906) 및 한국저작권위원회 온양온천 사진의 건축물을 『온궁사실』<온천행궁도>의 온천(溫泉) 즉, 탕실(湯室)로 추정할 수 있다. 셋째, 경남철도회사가 온양행궁지 유원화(遊園化) 과정에서 관유재산인 영괴대 부지의 양도 및 이전(1927)을 요청하나 충청남도는 국유 영괴대기념비 및 영괴대를 괴수(회나무)를 함께 현 위치에 영구보존(1928) 하도록 한 기록과 <조선경남철도연선명소교통도회(朝鮮京南鐵道沿線名所交通図絵)>(1929)를 참고하면, 영괴대비각(靈槐臺碑閣)은 현 위치로 판단되며 신정비는 신정관(神井館) 전면으로 이건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온양행궁 둘레범위, 『온궁사실』<온천행궁도>의 온천(溫泉) 즉, 탕실(湯室) 및 영괴대 위치 등을 기초로, 일제강점기 및 근대기 필지변화, 그리고 최근 주변 유구 등의 자료를 종합하면, <온천행궁도> 온양행궁지의 범위 및 주요 건축물 위치는 현재의 시민로 및 온양온천시장까지 확대하여 추정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溫宮事實」, 서울대학교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https://kyudb.snu.ac.kr/book/view.do). 아산시, 「역주(譯註) 온궁사실(溫宮事實)」, 2009.2.
  2. 「靈槐臺記」, 서울대학교 규장각 원문검색서비스(https://kyudb.snu.ac.kr/book/view.do).
  3. <溫宮靈槐臺圖> 국립중앙박물관(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5920).
  4. 趙秀三, 「秋齋集」 8.溫井記. (한국고전번역원, https://www.itkc.or.kr).
  5. 南九萬, 「藥泉集」第二十八券 記, <溫陽溫泉北湯記>. (한국고전종합DB, https://db.itkc.or.kr/).
  6.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지리지종합정보 읍지속의 지도모음(http://kyujanggak.snu.ac.kr/) 「湖西邑誌」 온양, <1872년지방지도>溫陽郡地圖, <海東地圖>, <地乘>, <輿地圖>, <廣與圖>, <湖西地圖>.
  7. 국립민속박물관(https://www.nfm.go.kr/), 「宦遊帖」, <溫陽地圖>.
  8. 국사편찬위원회(https://db.history.go.kr/) 조선왕조실록, 국역비변사등록.
  9. 한국의 지식콘텐츠 구한국외교문서(https://www.krpia.co.kr/).
  10. 국가기록원 지적아카이브(https://theme.archives.go.kr/).
  11. 국립민속박물관(https://www.nfm.go.kr/).
  12. 국토지리정보원(https://www.ngii.go.kr/kor/main.do).
  13. 독립기념관(https://search.i815.or.kr/).
  14. 국립중앙박물관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문서(https://www.museum.go.kr/).
  15. 국립중앙도서관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https://nl.go.kr/).
  16. 서울역사아카이브(https://museum.seoul.go.kr/).
  17. 이종묵, 백성과 함께한 온양온천, 한국고전번역원(https://www.itkc.or.kr/).
  18. 아산시, 「온양행궁 국가지정등 타당성 조사보고서」, 2022.12.
  19. 牙山市, 「溫陽行宮 學術調査 및 復元基本計劃」, 2001.12.
  20. 아산시, 「출장결과보고서」, 2008.3.21., 2008.3.25., 2008.3.27.
  21. 朝鮮總督府地質調査所, 「朝鮮地質調査要報」第3卷, 忠淸南道溫陽溫泉調査報文, 1925, pp.83~92.
  22. 朝鮮總督府地質調査所, 「朝鮮地質調査要報」第8-1券, 忠淸南道牙山郡溫陽溫泉調査報文, 1928, pp.1~21.
  23. 「朝鮮古來の溫泉溫陽溫泉」, <神井館平面圖>, 昭和十四年九月(1939.9).
  24. 이왕무, 조선 후기 국왕의 溫幸 연구, -온행등록을 중심으로, 「장서각」 9, 2003.9. pp.45~77.
  25. 김선희, 조선의 행궁: 국왕의 행차를 중심으로, 「고궁문화」, 국립고궁박물관, 9, 2016.12., pp.111~145.
  26. 위영, 역사를 읽는 한 방법, 척(尺) 단위 이야기, 「기록인」, 국가기록원, 39, 2017, pp.58~65.
  27. 서동천, 일제강점기 요시다 하츠사부로(吉田初三郞) 조감도의 성격과 확산 배경에 관한 연구, 「동양예술」, 38, 한국동양예술학회, 2018.2., pp.94~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