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라이다(LiDAR) 측량기법을 활용한 고분분포현황 조사

Survey on the distribution of ancient tombs using LiDAR measurement method

  • 심현철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신라고분발굴조사단)
  • SIM Hyeoncheol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e Heritage)
  • 투고 : 2023.09.21
  • 심사 : 2023.10.30
  • 발행 : 2023.12.30

초록

라이다(LiDAR) 측량을 활용한 문화재 조사·연구는 해외에서 이미 활성화되어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라이다 측량의 장점과 활용도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문화재 조사에 활용한 사례가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다. 다만, 주로 산성 조사에 한정되었고, 아직 고분 조사에는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않다. 이에 대체로 산지에 분포하여 아직 본격적인 조사는 물론이고 복원, 정비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삼국~통일신라시대의 고분군에 대해 라이다 측량을 통한 기초 데이터의 확보가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주 서악동 장산고분군과 충효동고분군 일대에 대한 라이다 측량을 실시하여 고분의 분포현황과 입지 양상 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미 정밀지표(측량)조사가 실시된 장산고분군에서는 기존 보고서의 지형도에 표기된 배치도만으로는 알 수 없었던 세밀한 지형정보와 분포양상을 추가로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일제강점기에 10기가 발굴된 이후 추가 조사가 이뤄진 적이 없는 충효동고분군에서는 기존 발굴 고분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였고, 조사되지 않은 고분의 현황과 잔존 양상 등 새로운 정보를 추가로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정보들은 고분군 자체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물론이고, 향후 고분군의 보존과 정비 부분에도 기초자료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산림지대라 접근이 쉽지 않거나, 관찰이 힘든 산지 고분군의 양상을 파악하는데 라이다 측량은 가장 효과적이다. 지표조사와 같은 실질적인 현지조사에 앞서 실시하여 사전조사 또는 예비조사로써 활용도 높은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고분 조사는 라이다 측량을 통해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사와 정비·활용 계획을 수립해 나갈 필요가 있다. 현재까지는 보통 산지에 위치하는 고분군에 대한 조사·연구 및 보존·정비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고분분포도 작성을 위한 정밀지표조사가 먼저 실시되는데, 이에 앞서 라이다 측량 데이터를 확보하여 활용한다면 더욱 효과적이고 정확도 높은 분포도 작성과 현황 파악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넓은 지역에 대한 현장 조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보 누락이나 오류도 상당 부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고분 조사에 있어 라이다 측량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기초 데이터를 축적해 나갈 필요가 있다.

Surveys and studies on cultural assets using LiDAR measurement are already active overseas. Recently, awareness of the advantages and availability of LiDAR measurement has increased in Korea, and cases of using it for surveys of cultural assets are gradually increasing. However, it is usually restricted to surveys of mountain fortresses and is not actively used for surveys of ancient tombs ye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mphasize the need to secure fundamental data from LiDAR measurement for the era from the Three Kingdoms to Unified Silla in which recovery, maintenance, etc., in addition to the actual surveys, are unfulfilled due to the sites being mainly distributed in mountainous areas. For this, LiDAR measurement was executed for the area of Jangsan Ancient Tombs and Chunghyo-dong Ancient Tombs in Seoak-dong, Gyeongju, to review the distribution and geographical conditions of ancient tombs. As a result, in the Jangsan Ancient Tombs, in which a precision archaeological (measurement) survey was already executed, detailed geographic information and distribution conditions could be additionally identified, which could not be known only with the layout indicated by the topographic map of the existing report. Also, in the Chunghyo-dong Ancient Tombs, in which an additional survey was not conducted after 10 tombs were fou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location of the ancient tombs initially excavated was accurately identified, and the status and additional information was acquired, such as on the conditions of ancient tombs not surveyed. Such information may also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the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of future ancient tombs in addition to the survey and study of the ancient tombs themselves. LiDAR measurement is most effective for identifying the condition of ancient tombs in mountainous areas where observation is difficult or access is limited due to the forest zone. It may be executed before on-site surveys, such as archaeological surveys, to secure data with high availability as prior surveys or pre-surve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fundamental data from LiDAR measurement in future surveys of ancient tombs and to establish a survey and maintenance/utilization plan based on this. To establish survey/study and preservation/maintenance measures for ancient tombs located in mountainous areas, a precision archaeological survey is currently executed to draw up a distribution chart of ancient tombs. If LiDAR measurement data is secured before this and used, a more effective and accurate distribution chart can be drawn up, and the actual conditions can be identified. Also, most omissions or errors in information can be prevented in on-site surveys of large reg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cumulate fundamental data by actively using LiDAR measurement in future surveys of ancient tomb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연구과제 '쪽샘지구 신라고분 학술연구'(NRICH-2305-B03F-1)로부터 지원을 받았다.

참고문헌

  1. 가경고고학연구소, 2020, 「예산산성」, pp.1~53.
  2. 경주사적관리사무소, 1981, 「경주지구 문화유적종합조사목록」, p.136.
  3.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1994, 「경주 서악지역 지표조사 보고서」, p.84.
  4.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21.08, 「함안 아라가야 추정 왕궁지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pp.1~52.
  5.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22.11, 「함안 가야리 유적 발굴조사 및 중장기 조사계획 학술자문회의」, pp.1~7.
  6.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22.07, 「함안 가야리 유적 시굴조사 약보고서」, pp.1~24.
  7.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22.12, 「함안 가야리 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pp.1~25.
  8.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1994, 「경주서악지역지표조사보고서」, pp.201~209.
  9.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011, 「경주 장산고분군 분포 및 측량조사보고서(상,하)」, pp.1~431.
  10.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21, 「부소산성 발굴조사 40주년 기념도서 扶蘇山城(1981~2002)」, pp.1~250.
  11.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22, 「扶蘇山城-종합학술연구보고서-」, pp.1~283.
  1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22.02, 「부여 부소산성 조사.연구의 새로운 시작」, 부소산성 발굴조사 40주년 기념 학술대회, pp.1~245.
  13.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22.02, 「부소산성 최신 조사성과와 정비.복원 그리고 활용」, 부소산성 발굴조사 40주년 기념 전문가 포럼, pp.1~110.
  14. 예산군.한얼문화유산연구원, 2015, 「산성근린공원 조성사업 문화재 지표조사 보고서-예산산성.덕산읍성」.
  15. 김종덕.권기구.이수인, 2012, 「라이다 센서 기술 동향 및 응용」, 「전자통신동향분석」 27(6), pp.135~143.
  16. 안형기 외, 2023, 「LiDAR를 활용한 예산산성의 고고학적 조사와 시각화 연구」, 「야외고고학」 46, 한국문화유산협회, pp.163~188.
  17. 이규성, 2021, 「원격탐사 원리와 방법」, 씨아이알.
  18. 주현승, 2017, 「지오인포매틱스」, 한국학술정보.
  19. 차순철, 2006, 「경주 서악동 석침총 발굴조사와 그 의의」, 「문물연구」10, 동아시아문물연구소, pp.133~150. https://doi.org/10.23117/JCR.2006.10.10.004
  20. 최인화, 2023, 「디지털고고학 개론 Introduction to Digital Archaeology」, 주류성, pp.95~97.
  21. 有光敎一, 1937, 「慶州忠孝里石室古墳調査報告」, 「昭和七年度 古蹟調査報告」 第二冊, 朝鮮古蹟硏究會, pp.201~209.
  22. 朝鮮總督府, 1916, 「朝鮮古蹟圖譜」 三.
  23.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 https://www.museum.go.kr/dryplate/search.do(접속일: 2023.09.01.)
  24. HistoricEngland 홈페이지, https://historicengland.org.uk/research/methods/airborne-remote-sensing/lidar/(접속일: 2023.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