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ultural Heritage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구성주의 관점의 문화재 교수·학습 연구 - 문화재청 인증 문화재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

  • PARK Sanghye (Institute for History Textbooks Research, Dongguk University)
  • 박상혜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 Received : 2023.06.30
  • Accepted : 2023.10.24
  • Published : 2023.12.30

Abstract

Cultural heritage teaching and learning, which uses cultural heritage as educational content, has not been sufficiently analyzed and studied based on clear educational theories so far. Among educational theories, constructivism is a theory in which learning is a process of constructing learning contents determined by learners' individual experiences and interests, and the result is evaluated as a confirmation of whether or not they have the ability to carry out the process. Cultural heritage is a lively and interesting social and cultural product, and it is an educational content that has sufficient educational function and meaning for a textbook. It is considered to be a very meaningful study to apply the constructivist educational theory to the educational contents of cultural heritage with these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and the principles of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on a theoretical basis.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the current cultural heritage teaching and learning was analyzed and problems were derived.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teaching and learning is that the cultural heritag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should be learner-centere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 should be cognitive conflict,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 should be in the form of task solving,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cooperative. presented. In addition, an example of a program was presented to specifically show the actual state of teaching and learning of cultural asset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Cultural heritage teaching and learning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will be an opportunity to discover new meanings of cultural heritage that we have not yet found, and it will also serve as an opportunity to present and establish the direction of cultural heritage teaching and learning, which has been barren until now.

문화재를 교육내용으로 하는 문화재 교수·학습은 이제까지 체계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충분히 분석되고 연구되지 않았다. 교수·학습 이론 중 구성주의는 학습이란 학습자 개인의 경험과 흥미에 따라 정한 학습 내용을 스스로 구성해 나가는 과정이며, 그 결과는 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는가에 대한 확인으로 평가된다는 이론이다. 문화재는 생동감 있고 흥미로운 사회·문화적 산물로서 교육적 기능과 교재로서의 의미를 충분히 지니고 있는 교육내용이다. 이런 특징을 지닌 문화재라는 교육내용에 구성주의 이론을 적용해본다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연구라고 생각된다.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이론적 토대로 구성주의 교수·학습의 특성과 원리, 문화재의 특성과 구성주의적 문화재 교수·학습 원리를 살펴보았다. 또 구성주의 관점에서 현행 문화재 교수·학습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과정은 학습자 중심이어야 하며, 교수·학습 원리는 인지갈등이어야 하고, 교수·학습 내용은 과제해결 형태이어야 하며, 교수·학습 활동은 상호협동적이어야 한다는 문화재 교수·학습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구성주의 관점의 문화재 교수·학습의 실제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하나의 프로그램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구성주의 관점의 문화재 교수·학습 연구는 우리가 아직 찾지 못한 문화재의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는 기회가 될 것이며, 아울러 이제까지 체계적으로 연구되지 못했던 문화재 교수·학습의 방향을 제시하고 정립하는 계기가 되리라고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 1998. 「왜 구성주의인가?」, 문음사.
  2. 김대현, 2021, 「교육과정의 이해」, 학지사.
  3. 김용구, 2021, 「문화유산교육의 전개과정과 지역문화유산교육의 부상」, 「문화재」 51(2).
  4. 김용신, 1999, 「구성주의에 따른 사회과 현장학습방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은경, 2021, 「지역 고고유산 체험 교육의 활성화 방안과 전략」, 「문화재」 54(3).
  6. 김혜선, 2015, 「방과후학교에서 효율적 문화유산 교육방안 연구」 -초등학교 사회교과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 석사논문.
  7. 노경민, 2021, 「국제문화유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안 연구」 - '문화유산활용' 교육콘텐츠 적용을 중심으로 -, 「문화예술교육연구」 16(5).
  8. 문화재청, 2007, 「문화재 활용 가이드 북」.
  9. 문화재청.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07, 「청소년과 함께하는 세계유산」 한국어판.
  10. 문화재청, 2008, 「2008년도 문화유산교실수업프로그램 공모 우수작 재미있는 문화유산 수업」.
  11. 문화재청, 2009, 「2009년도 문화유산교실수업프로그램 공모 우수작 재미있는 문화유산 수업II」.
  12. 문화재청, 2020, 「문화재교육 프로그램 인증제 사전컨설팅 운영 보고서」.
  13. 문화재청, 2021, 「문화재교육 강사를 위한 교수법 가이드」.
  14. 문화재청.한국문화재정책연구원, 2021, 「문화재교육 실태조사」.
  15. 문화재청, 2021,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문화재 행정」.
  16. 문화재청, 2021, 「문화재교육 전문인력 양성 활성화 방안 연구」.
  17. 문화재청, 2021,「문화재교육 강사를 위한 교수법 가이드」.
  18. 박상혜, 2022, 「U.V.E.C.. 문화재교육 정립을 위한 문화재교육 목표 연구」, 「문화재」 55.
  19. 박선미, 1999.「지리과 수업의 구성주의적 접근」, 고려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 백영균 외 8인, 2021, 「스마트 시대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21. 박은희.김봉석, 2022, 「문화재 교육의 감성적 접근을 위한 방향 설정과 교육과정 재구성」, 「사회과교육」 62(2).
  22.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학 용어사전」, 하우동설.
  23. 성태제 외 12인, 2021, 「최신교육학개론」, 학지사.
  24. 송춘영, 2001, 「역사교육의 이론과 실제」, 형설출판사.
  25. 안대현.홍후조, 2021, 「문화재교육 활성화를 위한 중학교 역사교육과정기준 개발 방안 연구」, 「문화재」 54.
  26. 유네스코, 1972,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에 관한 협약(Conven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27. 이병희, 2001, 「문화재 학습의 의의」, 「청람사학」 4.
  28. 이현호, 2000, 「아동 질문을 중심으로 한 문화재 학습 내용요소 선정과 지도방안-청주시 "상당산성"을 사례로」, 한국교원대 석사학위논문.
  29. 임지혜, 2022, 「지역 공동체 기반 문화유산 활용의 교육적 의미」, 「교육문화연구」, 28(5).
  30. 장호수, 2014, 「새로 고쳐 쓴 문화재학 이론과 방법」, 백산자료원.
  31. 장혜자, 1999, 「역사학습의 구성주의적 접근」, 서울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2. 최상훈 외, 2012,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책과함께.
  33. 최연규, 2008, 「구성주의 교수.학습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최용규 외, 2006, 2005~2006년 문화재청 위탁 연구과제 답신 보고 「초.중학교 문화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사회과학교육연구소.
  35. 최연규, 2008, 「구성주의 교수학습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최용규, 2000, 「구성주의 학습을 위한 역사교과서 내용 구성 방안」, 「역사교육」 73.
  37. 한건수.감다원, 2021, 「초등학교 문화유산 교육의 현황과 방향 제언」, 「문화재」 54.
  38. 한국교원대학교 사회과학교육연구소, 2006, 「초.중학교 문화재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39. 한국문화재재단, 2016, 「2016년 문화유산 공교육 활성화 방안」.
  40. 황영선, 2008, 「역사교육내 구성주의 교수 -학습 접근 -토론학습 예시-」, 한국외국어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문화재보호법, 제2조.
  42. 문화재청 사이트(https://www.cha.go.kr/)
  43. 국가문화유산포털 사이트(http://www.heritage.go.kr/)
  44. 서울한양도성(https://seoulcitywall.seoul.go.kr/index.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