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a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on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of Female College Students

  • Jung-chul Heo (Dept. of Social Welfare, Kwangju Women's University)
  • 투고 : 2023.10.05
  • 심사 : 2023.11.06
  • 발행 : 2023.11.30

초록

이 논문에서 우리는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K여자대학교 7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의식성숙의 하위 요인 가운데 진로결정성, 진로관여성, 진로독립성, 진로성향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진로의사결정의 하위 요인 가운데 합리적 유형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 준다. 여대생들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으로 지역사회에 여러 기관들을 방문하여 진로에 필요한 자격증과 활동들을 알고 실질적으로 진로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그리고 대학에서는 현장 전문가들을 적극적으로 초청하여 그 직업이 추구하는 가치가 무엇이고 어떤 일을 하는지를 알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propose how the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effects the maturity of career consciousness and career decision-making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were 70 attending to K Women's College and pre-and post tests of the program were conducted to them. The results were presented: The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termination, career involvement, career independence, and career dispositionality and in particular, was significant in reasonable type as one of career decision making variables.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ndicate that the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To positively enhance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in the subjects, the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should encourage college women students to visit diverse institutes and organizations in their community to identify licenses and activities needed for career and be prepared for actual career. Colleges should actively invite related experts and give students opportunities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of and values pursued in their career.

키워드

I. Introduction

대입 입시준비로 인해 많은 대학생들이 고등학교 시절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의 삶의 가치를 명료화할 수 있는 기회를 얻지 못한다. 그리고 대학마저도 바람직한 진로를 결정할 수 있도록 가치에 기반한 교육과 적합한 정보제공이 부족한 실정이다[1-2]. 그러므로 진로가치를 탐색하여 자신과 맞는 직업을 대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매우 필요한 일이라 여겨진다[3-4]. 특히 진로선택과 진로 준비를 실질적으로 할 수 있는 대학시기에 진로가치를 명료화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가치 명료화 작업을 통해서 대학생들의 진로선택과 결정에 있어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보통의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가치가 명료화되어 있지 못하여 어떤 직업을 구해야 할지 분명한 의식 없이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대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가치 명료화가 부족하여 심한 갈등을 경험하며 시간을 낭비하는 경우가 많다. Schwab[5]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직업의 세계는 더욱더 불확실하며 급변하는 환경이므로 진로가치가 더욱더 강조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이 자신의 진로가치를 형성하여 자신의 진로가치와 부합하는 직업을 선택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진로가치 명료화에 대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가치 명료화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가치 명료화와 진로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보면, 초·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진로인식 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있다[6-8]. 이러한 선행연구는 대부분이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들이다. 아직까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들은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가치 명료화 프로그램이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고자 한다. 자신의 가치에 대한 구체적인 통찰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진로가치 명료화는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진로 가치를 이해하고 진로가치와 부합하는 직업을 선택하고 준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진로가치 명료화 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대생은 참여하지 않은 여대생보다 진로의식성숙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는가?

둘째,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대생은 참여하지 않은 여대생보다 진로의사결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는가?

II. Related works

1. Career Value Clarification

가치명료화는 자신의 진로나 삶에 대해서 선택하려는 가치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다[9]. 가치 명료화는 자신의 사고, 감정, 행동을 통해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를 찾고 발달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과정이다[10]. 가치문제에 혼란과 갈등을 겪는 학생들이 가치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신념과 태도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통찰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을 가치명료화라고 한다[11]. 진로가치명료화란 학생들이 일상생활 중에서 진학, 전공선택, 진로선택, 취업 등 자신의 진로와 삶의 문제에 부딪쳤을 때 바람직하게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자신의 가치를 명료화 하는 과정이다[12].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은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진로가치를 확인, 탐색, 선택, 존중, 행동화 할 수 있도록 돕는 가치명료화 과정이라 할 수 있다[13]. 이상의 견해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진로 가치명료화란 진로 선택과 결정에 있어서 혼란과 갈등을 경험하는 학생들에게 스스로 자신이 가치 있게 여기는 것을 깨달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란 개인의 진로가치를 명료화시킬 목적으로 자신의 가치에 대한 사고와 감정, 행동을 단계적으로 통합하고 체계화시킨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2.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진로의식성숙이란 직업발달의 연속선상에서 개인이 도달한 위치라고 할 수 있으며, 진로의식성숙이 일어나는 진로계획, 진로탐색, 의사결정,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 등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개인의 진로의식성숙 정도라고 한다[14]. 진로의식성숙은 동일한 연령층의 학생들과 비교해서 상대적인 직업준비 정도이며, 진로의식성숙을 생애 발달단계 내에서 발달적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때 획득될 수 있는 것으로 보았다[15]. 진로의식성숙을 진로선택과 진로계획에서의 준비도라고 할 수 있으며[16], 자아와 직업세계에 대한 자세한 이해를 바탕으로 통합할 수 있는 준비 정도라고 하였다[17]. 즉 진로의식성숙은 같은 연령층의 학생들 사이에 상대적으로 진로준비를 얼마나 했는지를 가르키며[18], 자신과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자신의 진로를 더욱더 합리적으로 계획, 탐색, 선택, 결정하는 과정에서 같은 연령층의 학생들과 비교해서 진로 발달 수준의 정도가 어느 정도인가를 의미하는 것이다[19]. 그리고 진로의식성숙이란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대해 이해하면서, 다양한 직업에 대한 이해력을 높여 자신의 진로를 계획, 탐색, 결정하는 것으로 발달단계에 따른 진로준비 정도를 의미한다[20]. 김성길[21]은 진로의식성숙을 자신의 진로를 선택할 때 자신과 환경에 대해서 정확히 인식하고 진로를 결정하고 적응해 나가는 준비 정도라고 하였으며, 하위요인으로는 진로결정도, 진로참여도, 진로독립도, 진로준비도, 진로타협도로 구성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진로의식성숙을 자신의 자아와 다양한 직업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자신의 진로를 인식하고 계획하고 선택하는 과정에서 같은 연령층 사이에서 개인이 차지하는 상대적인 위치와 발달 정도를 의미하며, 진로의식성숙의 하위요인으로는 진로결정성, 진로관여성, 진로독립성, 진로성향성으로 구성하였다.

3. Career Decision-Making

진로의사결정이란 진로와 관련된 문제에서 가장 합리적이고 실현 가능한 대안을 선택하여 실행해 나가는 과정이다. 진로의사결정은 진로와 관련된 이론과 의사결정에 대한 개념과 과정을 통합하고 진로행동을 설명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22]. 진로의사결정은 학생의 중요한 진학과 취업을 하기 전에 자신이 계획했던 진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진로를 선택하고 실행에 옮길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23]. 특히 학생들은 어떤 선택이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지를 인식하는 바로 그 시점에 중요한 진로의사결정을 내리게 된다[24]. 그러므로 진로의사결정은 어떤 개인이 결정을 내릴 때 선호하는 접근 방식으로 의사결정의 순간에 정보를 어떻게 처리하고 결과에 어떻게 도달하는가를 이해하고 기술하기 위한 개념이며[25], 개인의 삶에서 중요한 의사결정을 할 때 사용하는 전략으로 의사결정 과제를 지각하고 반응하는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26]. 진로의사결정은 어떤 문제의 상황에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태도로 미래를 예측하여 자신의 행동을 선택하고 문제의 대안을 선택, 결정하는 과정이며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결정하는 것이다[27]. 그리고 Harren[28]은 의사결정을 할 때 합리적, 직관적, 의존적 유형으로 한다고 하였는데 각 유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합리적 유형은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환경에 대하여 정확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논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며 그 결정에 대한 책임을 지려고 한다. 둘째, 직관적 유형은 자신의 미래를 고려하지 않고 어떠한 정보탐색이나 대안들에 대한 평가도 없이 주로 상상과 현재의 감정에 따라 결정을 하는 것을 말한다. 셋째, 의존적 유형은 의사결정에 있어서 타인으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으며 수동적으로 의사결정을 하며 그 결정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으며 남의 탓, 환경 탓을 하는 경향이 많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진로의사결정을 자신의 진로와 관련하여 여러 가지 대안들 중에서 가장 합리적이고 실현 가능한 대안을 선택하여 실행해 나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의사결정 유형에는 합리적, 직관적, 의존적 방법이 있다.

4. Career Value Clarification and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의 진로의식성숙의 하위요인 가운데 진로결정성, 진로독립성, 진로성향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12][29]. 즉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경험한 고등학생들은 진로의식성숙에서 자신이 원하는 진로에 대해 확신을 가질 수 있는 진로결정성, 자신의 적성과 성격에 어울리는 진로를 선택하는 진로관여성, 남을 의존하는데서 벗어나 독립적으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는 진로독립성, 진로결정에 필요한 사전적인 이해와 준비를 할 수 있는 진로성향성 수준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김두울[30]도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고 하였는데, 특히 진로선택과 진로준비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선행연구들을 살펴 본 결과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은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를 독립적으로 선택하고 자신의 진로에 대한 확신을 갖고 준비하도록 도움으로써 진로의식성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 Career Value Clarific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진로의사결정 능력이 부분적으로 향상되었는데, 진로의사결정 유형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한 결과 합리적 유형에서 실험집단이 향상되었다[12]. 그러나 직관적 유형과 의존적 유형에서는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진로와 관련된 의사결정과정에서 즉흥적이거나 의존적이지 않고 자신의 가치관과 일치하는 진로선택을 합리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는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김승희[13]의 연구에서도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가치명료화 과정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진로의사결정 유형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는데, 합리적 유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는데, 직관적 유형과 의존적 유형에서는 통계적으로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하였다. 그런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진로의사결정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합리적 유형, 직관적 유형, 의존적 유형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31]. 이상의 선행연구 결과를 보면 진로가치 명료화 프로그램이 진로문제에 있어서 혼란과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자신의 가치관에 대해 구체적으로 통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함으로써 개인적으로는 만족스럽고 사회적으로는 책임감 있는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자기결정능력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II. The Proposed Scheme

1. Research Hypothesis

위와 같은 이론적 배경에서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는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일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고자 한다.

가설 1.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여대생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여대생보다 진로의식성숙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가설 2.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여대생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여대생보다 진로의사결정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2. Program Configuration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은 Raths, Harmin & Simon[9]의 가치명료화 과정 7단계를 근간으로 오태희[12]의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기초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재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목표 및 내용은 [표 1]과 같다.

Table 1.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CPTSCQ_2023_v28n11_191_t0001.png 이미지

3. Experimental Design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Pre test-Post test Group Design)로써 독립변인 실험집단에는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적용시켰고, 그에 따른 종속변인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의 점수 변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도식화하면 아래와 같다.

Table 2. Pre-post Experimental Design

CPTSCQ_2023_v28n11_191_t0002.png 이미지

Experimental group: Program progression, Control group: Do not proceed with the program

4. Subject of Study and Data Collection

2023년 3월 20일부터 6월 12일까지 총 10회기를 실시하였으며, K광역시 4년제 여자대학에 재학하는 학생 가운데,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를 밝힌 35명을 실험집단으로, 통제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 가운데 단순 무작위 추출법을 이용하여 35명을 선정하여 총 7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5. Research Tools

5.1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Measurement Tool

진로의식성숙을 측정하기 위해 Crites[15]가 제작한 CMI(Career Maturity Inventory)를 김원중[32]이 번안한 것을 본 연구의 특성에 맞게 39개 문항으로 재구성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진로의식성숙 척도는 진로결정성 10문항, 진로관여성 9문항, 진로독립성 10문항, 진로성향성 10문항의 4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Likert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의식성숙이 높음을 나타내며, 이 척도의 신뢰도(Cronbach α)값은 아래와 같다.

Table 3. Career Maturity Question numbers by factor of the scale

CPTSCQ_2023_v28n11_191_t0003.png 이미지

5.2 career Decision-Making Measurement Tool

진로의사결정 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Harren[28]이 개발한 진로의사결정척도(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ACDM)에 포함되어 있는 의사결정유형 검사를 이현림·김지영[33]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어떤 결정을 할 때 어떠한 방식으로 결정을 하는 가에 따라서 합리적, 직관적, 의존적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각에 10문항씩 총 3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Likert 5점 척도로 그 해당 유형의 점수가 높을수록 그 유형의 경향이 높음을 나타내며, 이 척도의 신뢰도(Cronbach α)값은 아래와 같다.

Table 4. Career Decision-Making Question numbers by factor of the scale

CPTSCQ_2023_v28n11_191_t0004.png 이미지

6. Data Analysis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IBM SPSS Statistics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1)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 실시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의 동질성을 파악하기 위해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 척도의 사전결과를 독립표본 t 검증을 하였다.

2)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차이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의 사전·사후검사의 차이를 대응표본 t 검증을 하였다.

IV. Results

1. Comparison of pre-testing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1.1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Pre-inspection comparison

진로의식성숙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t-test를 실시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Table 5의 결과와 같이 사전검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진로의식성숙의 하위영역인 진로결정성, 진로관여성, 진로독립성, 진로성향성에 있어 p>.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동질적인 집단임이 검증되었다.

Table 5. Comparison of pre-testing of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scale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PTSCQ_2023_v28n11_191_t0005.png 이미지

1.2 Comparison of career decision-making pre-test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의사결정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t-test를 실시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Table 6의 결과와 같이 사전검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의사결정 하위요인의 합리적 유형, 직관적 유형, 의존적 유형에 있어서 p>.05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동질적인 집단임이 검증되었다.

Table 6. Comparison of pre-testing of career decision scale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PTSCQ_2023_v28n11_191_t0006.png 이미지

2. Comparison of pre- and post-testing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2.1 Comparison of pre- and post-examination of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결과값을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정규성 검정을 확인하기 위해 Shapiro-Wilk Test를 실시한 결과 P-Value(=.7543760576)값이 0.05보다 크므로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볼 수 있으며, 검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

Table 7의 검사 결과와 같이 실험집단의 진로의식성숙 하위영역 가운데 진로결정성, 진로관여성, 진로독립성, 진로성향성은 p<.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 가운데, 미래이력서 작성 및 발표를 통해서 자신이 진정으로 바라는 장래의 모습을 구체화하여 진로를 계획하고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기관방문인터뷰를 통해서 현장전문가에게 직접 그 직업이 추구하는 가치를 배울 수 있었으며, 그 진로에 필요한 자격증과 활동들이 무엇이 있는지를 자세히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선배초청, 전문가초청 특강을 통해서 그 진로에 대해서 막연하게만 생각하던 데서 그 직업이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하는 지를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어 학생들의 진로의식성숙을 향상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Table 7. Comparison of pre- and post-testing of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PTSCQ_2023_v28n11_191_t0007.png 이미지

2.2 Comparison of career decision-making pre- and post-test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의사결정의 사전·사후 결과값을 비교하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검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

Table 8의 검사 결과와 같이 실험집단의 진로의사결정 하위요인 중에서 합리적 유형은 p<.0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는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 중에서 MBTI 성격유형검사와 진로탐색 시간을 통해서 자신이 원하는 일과 성격이 맞는 것 같아 진로에 대한 선택의 확신을 갖도록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선배초청특강, 전문가초청특강을 통해서 실제 현장에서 하는 일을 자세히 알 수 있었고, 다양한 현장의 전문가들이 오셔서 필요한 자격증과 활동들을 가르쳐 주셔서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더욱더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알 수 있다. 하지만, 직관적, 의존적 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지만,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통해서 즉흥적으로 판단을 한다거나 남의 의견을 따라 결정하는 경향은 약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8. Comparison of pre- and post-testing of career decision-making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PTSCQ_2023_v28n11_191_t0008.png 이미지

V. Discussion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 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 결과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의식성숙의 하위요인 가운데 진로결정성, 진로관여성, 진로독립성, 진로성향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 중에서 ‘기관방문 인터뷰’를 통해서 자신이 희망하는 분야의 직업을 가진 현장전문가와 인터뷰를 나누면서 진로에 대한 현실감을 갖게 되었고, 이 진로 직업을 가지기 위해서 필요한 자격증을 알 수 있어서 진로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그리고 ‘미래이력서 작성 및 발표’활동을 통해서 미래에 무엇을 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했는데, 구체적으로 앞으로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할지 잘 알게 되었고, 진로에 도움이 되는 활동들을 미루지 않고 꼭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또한 ‘선배 초청 특강’ 및 ‘전문가초청 특강’을 통해서 다양한 진로에 대해서 자세히 알 수 있었으며, 관심있는 분야에 진출하기 위해서 무엇을 준비해야 되는지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진로의식성숙의 진로결정성, 진로관여성, 진로독립성, 진로성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는 오태희[12], 손영수[29], 김두울[30]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또한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은 여대생의 진로의사결정 하위 영역가운데 합리적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 가운데 ‘MBTI 성격유형검사와 진로탐색’활동을 통해서 어떤 학생은 자신의 성격유형이 자신의 진로와 맞는 유형이 나와서 자신의 진로선택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특히 ‘기관방문 인터뷰’ 활동을 통해서 현장전문가들이 알려주는 그 직업에 대한 최신 정보와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서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어서 자신의 진로를 합리적으로 선택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진로의사결정에서 합리적 유형의 증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지만, 직관적 유형, 의존적 유형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오태희[12], 김승희[13]의 연구와는 유사한 결과를 보였지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결과에서 합리적 유형, 직관적 유형, 의존적 유형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못했다는 이득금[31]의 연구와는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관방문 인터뷰’와 ‘현장 전문가 초청 특강’과 같이 현장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수록 합리적으로 진로의사결정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 직관적 유형, 의존적 유형에서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못했지만,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통해서 대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감정적으로, 의존적으로 결정하는 경향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는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이 여대생들의 전반적인 진로의식성숙과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따라서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을 통해서 대학생들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해주고, 자신의 성격과 적성에 맞는 직업을 찾도록 돕고, 자신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진로의 가치를 탐색하도록 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미래의 모습을 구체화하도록 진로를 계획하고 실행에 옮길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켜 주어야 한다.

VI. Conclusions

이상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시사점을 제시 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여대생의 진로의식성숙과 진로의사결정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으로 ‘기관방문 인터뷰’를 활성화하여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대학생들이 지역사회에 있는 현장의 전문가들을 방문하여 기관에 입사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자격증이 필요하고, 어떤 활동들을 해야 하며, 마음가짐은 어떻게 해야 되는지를 알고 자신과 어울리는 진로를 합리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 진로가치명료화 프로그램으로 대학에서 ‘선배초청 특강’, ‘전문가초청 특강’을 통해서 다양한 직업에 대한 최신 정보들을 듣게 하며, 그 직업이 구체적으로 무슨 일을 하는지를 배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의식성숙을 도울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적연구뿐만 아니라 질적연구를 병행하여 대상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성별을 남·여 균등하게 맞추어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의 대상자를 광주광역시 K 여대생으로 국한하였는데, 향후 연구에서는 지역적 확장을 통한 일반화의 노력이 요구된다.

ACKNOWLEDGEMENT

"This paper was supported by Research Funds of Kwangju Women's University in 2023(KWU23-029)“

참고문헌

  1. J. Y. Kim, C. W. Hur and D. M. Kang, "College students's career belief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levels",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 32, No. 3, pp. 67-82, May 2023. DOI http://dx.doi.org/10.17643/KJCE. 
  2. J. Kim, "The Effecf of the Types of Occupational Values on Career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Master's degree]", Suwon: Univ. of Kyonggi, Feb 2020. 
  3. J. B. Cha, and H. E. Lee, "The Effect of Work Values and Learning Participation on Educational Satisfaction, Career Aspirations, and Student Loyalty",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Vol. 11, No. 3, pp. 21-39, Sept 2021. DOI http://dx.doi.org/10.35273/jec. 
  4. M. S. Park,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Factors on the Career Intention Decisions of th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 Vol. 10, No. 6, pp. 1333-1348, Dec 2019. DOI http://dx.doi.org/10.22143/HSS21.10.6.99 
  5. K. Schwab, "Shap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roadway Business, 2018. 
  6. N. C. Hyung "Development of Career Value Clarific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Adolescents in Schools [Doctoral degree]", Daegu: Univ. of Keimyung. Aug 2017. 
  7. Y. M. Kim, J. S. Yun and B. W. Kim, "An exploratory approach to developing an online self-clarification program in preparation for COVID-19 and beyond",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Vol. 33, No. 3, pp. 135-157, Sept 2020. DOI https://doi.org/10.32341/JCER. 
  8. E. Y. Na, "A study on the Effect of Career guidance program using Career Value cards on the pursuit of Occupational Value and Career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Incheon: Univ. of Gyeongin National Education, Feb 2020. 
  9. L. E. Raths, M. Harmin, and S. B. Simon, "Values and Teaching: working with values in the classroom", Columbus: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 1966. 
  10. B. P. Hall and M. Smith, "Value clarification as learing process: A handbook for religious educators", New York: Paulist Press, 1973. 
  11. H. Kirschenbaum,, "Advanced value clarification", Lajolla, CA: Univ. Associates Press, 1977. 
  12. T. H. O, "Effects of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and Decision-Making Abil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Gyeongsan: Univ. of Yeungnam, Aug 2002. 
  13. S. H. Kim, "The Effects of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Identities and Career Decision-Making Abilities [Master's degree]", Busan: Univ. of Kosin, Aug 2009. 
  14. D. E. .Super, "Vocational adjustment : Implementing a self-concept", Occupations, 30 : pp.88-92, 1951.  https://doi.org/10.1002/j.2164-5892.1951.tb02607.x
  15. J. O. Crites, "The career maturity inventory", Monterey CA: CTB. McGraw Hill, 1978. 
  16. W. D. Gribbons and P. R. Lohnes, "Relationship among measure of readiness for vocational plann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1 : pp.13-20, 1964.  https://doi.org/10.1037/h0044801
  17. K. B. Hoyt, "The school counselor and career education", Washington, D. C :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77. 
  18. M. A. Park, "The effects of career recogni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career maturity [Master's degree]", Gyeongsan: Univ. of Yeungnam, Feb 2005. 
  19. M. H. Kim, "The Effects of Activity-Oriented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Awareness Maturity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Gwangju: Univ. of Chonnam, Feb 2006. 
  20. T. G. Lee, "The Effects of e-careerportfolio Application Career Education Program on Career Awareness Maturity of Elementary Students [Master's degree]", Busan: Univ. of Dong-A. Aug 2009. 
  21. S. K. Kim, "The Effect of Career Reading Program on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of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degree]", Suwon: Univ. of Kyonggi. Feb 2017. 
  22. E. L. Tolbert, "Counseling for career development(2nd ed)", Boston: Houghton Mifflin, 1980. 
  23. J. H. Kim and S. B. Kim, "Effects of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Youth Welfare, Vol. 15, No. 3, pp. 23-42, Sept 2013. DOI : G704-002137.2013.15.3.013 
  24. S. M. Choi, "The Effect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Career Deci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ster's degree]", Pyeongtaek: Univ. of Pyeongtaek. Aug 2009. 
  25. S. H. Park, "The Influences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Types on Career Decis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Master's degree]", Busan: Univ. of Dong-Ai. Aug 2014. 
  26. M. S. Kim, "The Effects of Carrer Group Counseling Based Up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on Carrer Decision-Making, Career Self-Efficacy, and Carrer Maturity for College Students [Doctoral degree]", Busan: Univ. of Dong-Ai. Feb 2012. 
  27. S. J. Kim, "Impa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self-efficacy on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Doctoral degree]", Gangneung: Univ. of Catholic Kwangdong. Feb 2016. 
  28. V. A.. Harren, "A Model of Career Decision-Making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14, No. 2, pp. 119-133, 1979.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65-4
  29. Y. S. Son, "The Effect of the Program of Course Worthy Clearness in the realm of the High-School Student's Maturity of the Course-Consciousness and Ego-Perception [Master's degree]", Gyeongsan: Univ. of Yeungnam, Feb 2004. 
  30. D. U. Kim, "Development and Effect of Online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Based on Construction Career Theory -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sychotherapy - [Master's degree]", Seoul: Univ. of Dankook. Feb 2023. 
  31. D. K. Lee, "The Effects of Career Value Clarification Program on a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 Making Styles of University Students [Master's degree]", Daegu: Univ. of Daegu Catholic. Feb 2011. 
  32. W. J.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psycho-social variables [Master's degree]", Seoul: Univ. of Seoul National. Feb 1984. 
  33. H. R. Lee and J. Y. Kim,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Counseling Program on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Vol. 2, No. 2, pp.211-230. Dec 2001. DOI : http://www.riss.kr/link?id=A108280714 10828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