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hysical therap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Sixty questionnaires from physical therapists treati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on physical therapy,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the assessment of pediatric and adolescent physical therapy.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ie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participants, and satisfaction. Differences between physical therapy participation difficulty, importance-ability of major aspects of pediatric and adolescent physical therapy, and therapy goal frequency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Results : 11 to 15 cases (66.7%) and one-on-one treatment (95.0%) were performed independently (95.0%). The main ages of the subjects were preschool and school, the diagnoses were brain lesions and developmental delay, and treatment was conducted for up to 20 years or older. Satisfaction with pediatric and adolescent physical therapy was high (70.0%), as was the intensity of work (71.7%). Neurodevelopmental therapy, gait training, and goal-directed rehabilitation were the main treatments, and Gross Motor Function Measures of 88 and 66, respectively, were used. Respondents said that current fee system is inadequate (66.1%) and appropriate fee system is needed. Conclusion : This study extensively investigated the content of and factors related to pediatric and adolescent physical therapy.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efforts to improve the expertise and continuity of pediatric and adolescent physical therapists and apply the latest treatment techniques are required.
목적 : 본 연구는 장애 소아 청소년을 치료 중인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 만족도, 수가 체계, 대상, 시행, 평가 활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서울 경기 지역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사 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 대상자, 만족도, 치료 시행 및 평가 활용 등을 조사하였다. 실태, 대상자, 만족도 등은 빈도 및 기초 통계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물리치료 참여도-난이도,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주요 요소의 중요도-본인의 능력, 주요 치료 목표-사용 빈도 차이는 대응 표본 T 검정을 통하여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과 :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실태는 대부분 독립된 공간(95.0%)에서 하루 11~15건(66.7%), 1대 1 치료(95.0%)로 진행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상자의 주요 연령은 학령기, 학령전기, 진단은 뇌병변, 발달지연이 많았으며 20대 이상까지 치료하였다.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 만족도는 높았으나(70.0%) 업무강도 역시 높았다(71.7%). 주요 치료법으로는 신경발달치료, 보행치료, 목표지향적 재활이 있으며, 평가는 대동작기능검사 88과 66, 대동작기능분류검사 사용이 많았다. 현 수가 체계는 부적합하다고 하였으며(66.1%), 적정 수가 체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와 관련된 광범위한 내용과 요소를 확인하였다. 현 실태조사연구를 바탕으로 소아 청소년 물리치료사의 전문성 및 지속성 향상, 최신 치료법 적용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