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orea's Trade Rules Analysis using Topic Modeling : from 2000 to 2022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한국 무역규범 연구동향 분석 : 2000년~2022년

  • 임병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경제전략연구본부) ;
  • 장정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경제전략연구본부) ;
  • 김태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경제전략연구본부) ;
  • 한하늘 (인하대학교, 정석물류통상연구원)
  • Received : 2022.11.30
  • Accepted : 2023.02.28
  • Published : 2023.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in issues and trends of Korean trade,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regarding trade rules. A total of 476 academic journal are analyzed using English keyword searched for 'Trade Rules' from 2000 to July 2022 in the Korean Journal Citation Index data base. The analysis methodology includes co-occurrence network and topic trend analysis which is a kind of text mining methods. The results shows that key words representing Korea's trade trend fall into four categories in which the number of research journals has rapidly increased, which are Topic 4 (Investment Treaty), Topic 7 (Trade Security), Topic 8 (China's Protectionism), and Topic 11 (Trade Settlement). The major background for these topics is the tens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reatening the existing international trade system. A detailed study for China's protectionism, changes in trade security system, and new investment agreements, and changes in payment methods will be the challenges in near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무역의 주요 이슈와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무역규범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분석자료로서 Korean Journal Citation Index 데이터베이스에서 2000년부터 2022년 7월까지 'Trade Rules'로 검색된 영문 키워드로 총 476개의 학술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동시발생네트워크와 텍스트마이닝 방법의 하나인 토픽트렌드 분석이 있다. 분석 결과, 최근 한국 무역을 대표하는 키워드는 연구 저널 수가 급증한 카테고리인 Topic 4(투자조약), Topic 7(무역안보), Topic 8(중국 보호무역주의), Topic 11(무역결제) 4가지로 나타났다. 이들 주제의 주요 배경은 기존의 국제무역 체제를 위협하는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마찰이며, 중국의 보호주의, 무역 안보 시스템의 변화, 새로운 투자 협정, 지불 방법의 변화에 대한 상세한 연구는 가까운 장래에 도전 과제가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근(2009), "UNCITRAL 중재규칙 개정과 국제투자중재," 「통상법률」, 제88권, 법무부, pp.40-63.
  2. 공수진(2014), "GPA 개정에 따른 FTA 정부조달규정의 개정 문제," 「국제경제법연구」, 제12권1호, 한국국제경제법학회, pp.1-30.
  3. 권현호(2014), "한-EU FTA 문화협력의정서의 통상법적 지위," 「국제경제법연구」, 제12권 3호, 한국국제경제법학회, pp.67-94.
  4. 권현호(2016), "중국의 통상환경 변화와 국제통상법의 과제 - 문화콘텐츠산업을 중심으로," 「國際去來와 法」, 제16권,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pp.43-68.
  5. 김다혜.김태균.손혁상.문경연(2018), "한국 ODA 사업의 정책일관성 연구: 영국, 네덜란드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동서연구」, 제30권 2호,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pp.141-171.
  6. 김민정(2013), "TBT협정의 해석과 적용에 따른 법적 쟁점 및 발전과제," 「통상법률」, 제111권, 법무부, pp.63-88.
  7. 김민정(2021), "국제통상 체제의 표준 규정 분석과 디지털무역 협정 시사점," 「국제통상연구」, 제26권 3호, 한국국제통상학회, pp.25-51. https://doi.org/10.23030/KATIS.2021.26.3.002
  8. 김상만(2014), "2013년 타결된 WTO "발리 패키지(the Bali Package)"에 대한 연구," 「가천법학」, 제7권 1호,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pp.23-46.
  9. 김승민(2017), "인터넷 제한조치 규제문제 관련 신무역규범의 논의동향과 시사점 : TPP협정의 국경간정보이동 및 데이터현지화 규정을 중심으로," 「국제법학회논총」, 제62권 2호, 대한국제법학회, pp.11-54.
  10. 김양희(2018) "USMCA는 미국 'TPP 양자화' 전략의 승리" 한겨레신문(검색일자: 2022.09.21., URL: www.hani.co.kr/arti/economy/marketing)
  11. 김여선(2006), "중국의 일방적 무역보복조치에 관한 연구," 「통상법률」, 제69권, 법무부, pp.57-78.
  12. 김여선(2019), "국제투자규범의 ISDS체제 개혁에 관한 연구," 「國際去來와 法」, 제26권,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pp.151-181.
  13. 김영호(2018), "Mega FTA가 e-비즈니스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9권 1호, 국제e-비즈니스학회, pp.173-186.
  14. 김용의(2014), "Comparative Research on the Legal Nature of the L/C:with a Focus on the Revolving Standby L/C," 「법학논총」, 제31권 2호,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pp.401-420.
  15. 김유찬(2014), "한중 FTA와 양국의 조세문제," 「세무와 회계저널」, 제15권 6호, 한국세무학회, pp.183-206.
  16. 김윤근.박복재 (2017), 한국의 FTA 전자상거래규정 비교.분석, 통상정보연구, 제19권 2호, 한국통상정보학회, pp.25-44.
  17. 김인식(2022), "중국 불공정 무역관행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미중 무역분쟁의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한중사회과학연구」, 한중사회과학학회, 제20권 3호, pp.28-50.
  18. 김인호(2010), "국제물품매매계약상의 원상회복의무와 그 이행지에 기초한 국제재판관할권," 「인권과 정의」, 제408권, 대한변호사협회, pp.103-133.
  19. 김종칠(2015), "신용장 거래분석을 통한 거래의 특성 및 시사점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제40권 4호, 한국무역학회, pp.65-86.
  20. 김현정(2013), "TBT 협정상 라벨링 제도에 관한 연구- 수산물 라벨링을 중심으로 -," 「법학논집」, 제18권 1호,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pp.387-419.
  21. 김호철(2009), "통상법에서 시장접근 규범과 국내규제 규범간 구분: 한.미 FTA 제13장과 금융규제 자율성," 「통상법률」, 제85권, 법무부, pp.66-106.
  22. 김호철(2016), "WTO DDA 최근 협상 동향과 전망," 「통상법률」, 제127권, 법무부, pp.177-218. https://doi.org/10.36514/ITL.2016.127.127.007
  23. 남영숙(2009), "신흥원조공여국으로 부상하는 중국: 중국식 원조모델과 국제원조질서에의 시사점". 국제. 「지역연구」, 제18권 4호,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pp.37-64.
  24. 류창원(2017), "국제무역상 채권의 상계에 관한 비교연구 - 한국민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며 -," 「무역금융보험연구」, 제18권 3호, 한국무역보험학회, pp.221-258.
  25. 문돈(2017), "중국과 자유주의 무역질서: 중국, 보호주의, 그리고 WTO 분쟁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제33권 1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pp.93-129.
  26. 민한빛(2019), "최근 FTA 투자챕터 동향과 정책적 함의: CPTPP 가입검토를 중심으로," 「국제경제법연구」, 제17권 1호, 한국국제경제법학회, pp.149-181.
  27. 민한빛(2020), "디지털 교역과 통상규범:데이터무역 챕터 신설을 위한 시론," 「법제」, 제688권, 법제처, pp.59-96. https://doi.org/10.23028/MOLEG.2020.688..002
  28. 박언경(2021), "국제통상분쟁에서 안보예외조항의 법적 쟁점과 과제 - 러시아-통과운송 사건을 중심으로 -," 「EU연구」, 제58권,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pp.55-90.
  29. 박언경.서철원(2018), "전략물자수출관리법제 입법평가와 개선방안 - 대외무역법을 중심으로 -," 「국제경제법연구」, 제16권 1호, 한국국제경제법학회, pp.157-187.
  30. PARK JEONG JOON(2018), "국제통상체제에서 개발 패러다임의 전환에 대한 연구- GATT/WTO 다자체제에서 FTA 복수체제로 -," 「법학연구」, 제28권 2호,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pp.251-288.
  31. 박주섭.홍순구.김종원(2017),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과학기술동향 및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22권, 제4호, 한국산업정보학회, pp.19-28 https://doi.org/10.9723/JKSIIS.2017.22.4.019
  32. 박지은.이양기.김영림(2021), "TBT협정하의 탄소라벨링에 관한 충돌가능성 검토 -WTO 분쟁사례를 중심으로-," 「통상정보연구」, 제23권 2호, 한국통상정보학회, pp.159-178.
  33. 박효민(2022), "EU 탄소국경조정메커니즘(CBAM)의 WTO TBT 협정 합치성- 환경, 기술, 그리고 TBT협정 간 관계 모색 -," 「법제」, 제696권, 법제처, pp.221-252.
  34. 배연재(2014), "FTA를 통한 노동권 보호: 미국 FTA의 노동규정을 중심으로," 「통상법률」, 제117권, 법무부, pp.10-45.
  35. 백종현(2014), "한국의 FTA TBT 분야 이행 10년의 평가와 과제," 「KSA Policy Study 008 Issue 페이퍼」, 제2014-2호, 한국표준협회.
  36. 서민교(2008), "전자상거래에 관한 한.미 FTA의 평가와 향후 과제- KORUS-FTA 제15장을 중심으로 -," 「e-비즈니스연구」, 제9권 2호, 국제e-비즈니스학회, pp.87-110. https://doi.org/10.15719/GEBA.9.2.200806.87
  37. 서정민.노재연(2021), 한국의 FTA상 전자상거래 무역규범 유형화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23권 1호, 한국통상정보학회, pp.203-228.
  38. 서정민.한예은.김정연(2019),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한국의 기체결 RTA 비교 분석," 「국제경제법연구」, 제17권 3호, 한국국제경제법학회, pp.31-54.
  39. 손성문.신지연(2015), "중국과 주요 무역국가간 수산물 위생검역 분쟁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제16권 4호, 한국관세학회, pp.173-188.
  40. 손태우(2010), "국가안보(National Security)로 인한 미통상법의 변화와 WTO 규범과의 상충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제51권 4호,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pp.527-561.
  41. 신창섭.남기윤(2021),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국제연합협약 하에서 손해의 범위에 관한 연구 - 변호사비용의 포함 여부를 중심으로 -," 「고려법학」, 제103권,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pp.177-216.
  42. 안덕근.이효영(2010), "WTO 분쟁해결제도에서의 교차보복: 제도상 문제점 및 적용사례 분석," 「통상법률」, 제92권, 법무부, pp.11-42.
  43. 양기웅.이경은(2019), "유럽연합(EU)의 자유무역협정(FTAs)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연계에 관한 연구," 「국제정치연구」, 제22권 4호,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pp.173-191.
  44. 양대천.조현정.박성호(2015), "국제물품매매계약에서 매도인의 이행의무에 관한 비교연구 - CISG, 中國合同法, 한국 민법을 중심으로 -," 「경영경제」, 제48권 1호, 산업경영연구소, pp.67-97.
  45. 유병욱(2008), "국제상사분쟁에서 다수당사자중재의 논의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제33권 1호, 한국무역학회, pp.127-150.
  46. 유병욱(2012),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무역클레임과 중재제도에 관한 고찰," 「무역금융보험연구」, 제13권 3호, 한국무역보험학회, pp.251-278.
  47. 유예리(2012), "한-중 FTA 투자협정의 주요 쟁점 고찰," 「국제법학회논총」, 제57권 1호, 대한국제법학회, pp.119-156.
  48. 유예리(2016), "중국 WTO 가입의정서에 관한 일고찰 - 수출제한 규정을 중심으로 -," 「국제경제법연구」, 제14권 2호, 한국국제경제법학회, pp.41-66.
  49. 유지영(2016), "대북 제재 조치와 WTO/FTA 안보예외 조항의 합치성에 관한 연구. 국제. 「지역연구」, 제25권 2호, 한국지역학회 pp.1-30.
  50. 윤미경(2016), "한미FTA와 TPP협정의 비교분석을 통한 의약품 분야 국제통상규범에 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8권 4호, 한국통상정보학회, pp.165-193.
  51. 윤상철(2019),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의 디지털 무역과 무역보험," 「산업연구」, 제43권 2호, pp.73-90.
  52. 윤성욱(2018),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통상정책과 EU의 양면적 대응," 「유라시아연구」, 제15권 4호, 아시아유럽미래학회, pp.233-252. https://doi.org/10.31203/AEPA.2018.15.4.012
  53. 윤성욱.신지연(2021), "EU-중국 포괄적 투자협정 체결의 동상이몽," 「분쟁해결연구」, 제19권 3호,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pp.224-270. https://doi.org/10.16958/DRSR.2021.19.3.224
  54. 윤성혜(2015),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상 위생 및 식물위생 조치(SPS) 규정 이행에 관한 법적 쟁점 - 식품무역에 관한 규제를 중심으로 -," 「국제경제법연구」, 제13권 3호, 한국국제경제법학회, pp.83-113.
  55. 윤희영.곽일영(2020), 초록데이터를 활용한 국내외 FTA 연구동향: 2000-2020," 「무역학회지」, 제45권 5호, 한국무역학회, pp.37-53. https://doi.org/10.22659/KTRA.2020.45.5.37
  56. 이병문(2017), "국제물품매매계약상 물품의 계약적합성 의무에 관한 비교 연구," 「무역학회지」, 제42권 6호, 한국무역학회, pp.1-25. https://doi.org/10.22659/KTRA.2017.42.6.1
  57. 이숙종(2012), "EU와 중국의 對아프리카 ODA문화: 갈등과 협력 논쟁을 중심으로," 「지역연구」, 제21권 1호,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pp.57-90.
  58. 이종화.박순찬(2006), "Economic Implications of the EU Enlargement on the 3rd Country: The Case of Korea," 「유럽연구」, 제24권, 한국유럽학회, pp.211-227. https://doi.org/10.17052/JCES.2007.24..211
  59. 이주형(2021), "EU 디지털 무역규범의 변화와 시사점-국가의 '규제권한(Right to Regulate)'을 중심으로-," 「홍익법학」, 제22권 3호,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pp.209-238. https://doi.org/10.16960/JHLR.22.3.202109.209
  60. 이지석.김태명(2017), "전략물자 수출통제의 사적고찰 및 기호학적 분석," 「경영사연구」, 제32권 1호, 한국경영사학회, pp.5-24. https://doi.org/10.22629/KABH.2017.32.1.001
  61. 이찬송.윤순진(2010), "기후변화의 국제정치경제: 기후변화레짐 내 환경-무역 갈등,"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1권 3호, 서울행정학회, pp.163-193.
  62. 이한영(2008), "전자적 서비스무역에 관한 통상규범 : WTO 및 FTA의 성과," 「통상법률」, 제81권, 법무부, pp.119-146.
  63. 임병호.조정란(2021) RCEP 기국주의(旗國主義)의 수산분야 영향 분석," 「관세학회지」, 제22권 3호, 한국관세학회, pp. 155-174.
  64. 장은정(2020), "국제 통상환경 변화에 따른 중국 비관세장벽의 법적 문제점 및 대응방안," 「중국법연구」, 제41권, 한중법학회, 183-207.
  65. 장학수(2016), "WTO규범이 식량주권에 미치는 영향," 「통상법률」, 제128권, 법무부, pp.39-86. https://doi.org/10.36514/ITL.2016.128.128.003
  66. 정민정(2022), "미 트럼프 행정부의 남중국해 정책과 국제법의 관계," 「동북아법연구」, 제15권3호,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pp.687-722.
  67. 정인교(2016), "TPP 협정 상 신규도입 통상규범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제17권 3호, 한국관세학회, pp.85-100.
  68. 정인교.조정란.임병호.유정호(2019), 다자간 FTA의 식의약분야 최신 동향 분석 - USMCA, CPTPP 중심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 연구용역보고서
  69. 정장훈(2012), "국제환경협력 참여의 결정요인 - 생태계 보호를 위한 람사협약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21권 1호, 한국정책학회, pp.155-190.
  70. 정재환(2011), "전자무역계약에 적용되는 국제적인 사법규범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제49권, 한국무역상무학회, 435-459.
  71. 정찬모(2016), "지역, 지역주의와 아시아태평양공동체," 「법학연구」, 제19권 1호,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pp.1-27.
  72. 조영진(2009), "WTO 반덤핑 협정(Anti-Dumping Agreement)상 덤핑마진 산정 방식 관련 분쟁 사례 연구 - 제로잉(zeroing)을 중심으로 -," 「통상법률」, 제89권, 법무부, pp.123-169.
  73. 조영진(2013), "수출제한에 대한 WTO 체제에서의 법적 쟁점 연구 : 원자재에 대한 수출제한 조치 관련 최근 WTO 분쟁 및 WTO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국제경제법연구」, 제11권 1호, 한국국제경제법학회, pp.213-254.
  74. 최보영(2015) 한.중.일의 비관세장벽 완화를 위한 3국 협력방안: 규제적 조치를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15-12
  75. 최승환(2008), "북미관계의 개선이 남북경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법적 고찰," 「통상법률」, 제84권, 법무부, pp.10-40.
  76. 최승환(2012),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상의 분쟁해결절차규칙에 대한 법정책적 제언," 「경희법학」, 제47권 4호,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pp.3-43.
  77. 최철영(2011), "오바마 정부의 수출규제 및 대외경제제재관련 법제 개혁," 「미국헌법연구」, 제22권 3호, 미국헌법학회, pp.463-496.
  78. 한민정(2013), "한국의 TPP 참여전략에 관한 연구: 전자상거래를 중심으로," 「통상정보연구」, 제15권 1호, 한국통상정보학회, pp.309-330. https://doi.org/10.15798/KAICI.15.1.201303.309
  79. 한홍열(2005), "EU 확대와 제3국 보상문제," 「국제지역연구」, 제9권 2호, 국제지역학회, pp.84-107.
  80. 허형도(2013), "한.미FTA 체결에 따른 한.미간 투자 환경의 변화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15권 4호, 한국통상정보학회, pp.217-242. https://doi.org/10.15798/KAICI.15.4.201312.217
  81. 황선훈(2019), "남북 지방간 교류협력의 일환으로서 도시자매결연과 법적 문제," 「공법학연구」, 제20권 2호, 한국비교공법학회, pp.95-122. https://doi.org/10.31779/PLJ.20.2.201905.004
  82. 황지현.김용일(2021), "디지털 무역규범의 국제적 논의에 관한 연구," 「융합정보논문지」, 제11권 10호, 중소기업융합학회, pp.93-100.
  83. Anderson, G., P. Galang, M. A. Gamba, L. Medina, and T. Zheng (2021), "How Have IMF Priorities Evolved? A Text Mining Approach". International Monetary Fund.
  84. Arun, R., Suresh, V., Veni Madhavan, C. E., & Murthy, N(2010), "On finding the natural number of topics with latent dirichlet allocation: Some observations. In Pacific-Asia conference on knowledge discovery and data mining" (pp. 391-402), "Springer, Berlin, Heidelberg.
  85. Blei, D(2012), "Probabilistic topic models", Communications of the ACM, 55(4), pp.77-84. https://doi.org/10.1145/2133806.2133826
  86. Blei, D. M., Ng, A. Y. and M. I. Jordan (200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3, 993-1022.
  87. Bombarda, P. and E. Gamberoni (2008), "Firm Heterogeneity, Rules of origin and Pules of Cumulation. " HEID Working Paper No: 09/2008.
  88. Cao J., T. Xia, J. Li, Y. Zhang and S. Tang (2009), "A density-based method for adaptive LDA model selection", Neurocomputing, 72(7-9), 1775-1781. https://doi.org/10.1016/j.neucom.2008.06.011
  89. Cosbey, A., S. Droege, C. Fischer, and C. Munnings (2019), "Developing Guidance for Implementing Border Carbon Adjustments: Lessons, Cautions, and Research Needs from the Literature", Review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Policy, 13(1), 3-22. https://doi.org/10.1093/reep/rey020
  90. Deveaud, R., E. San Juan and P. Bellot (2014), "Accurate and effective latent concept modeling for ad hoc information retrieval", Document numerique, 17(1), 61-84. https://doi.org/10.3166/dn.17.1.61-84
  91. Griffiths, T. L., and M. Steyvers, (2004), "Finding scientific topic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1(suppl_1), 5228-5235. https://doi.org/10.1073/pnas.0307752101
  92. Grun, B. and K. Hornik(2011), "Topic models: an R package for fitting topic models",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40 (13), 1-30. https://doi.org/10.18637/jss.v040.i13
  93. Lozano, S., L. Calzada-Infante, B. Adenso-Diaz, and S. Garcia (2019), "Complex network analysis of keywords co-occurrence in the recent efficiency analysis literature", Scientometrics, 120(2), 609-629. https://doi.org/10.1007/s11192-019-03132-w
  94. Maeng, Cheol-Kyu (2019), "A Study on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Transition from Rice Quota to Rice Tariffication under WTO Agricultural Agreements", The Journal of Korea Research Society for Customs, 20(4), 227-245.
  95. Mehling, M. A., H. Van Asselt, K. Das, S. Droege, and C. Verkuijl (2019), "Designing border carbon adjustments for enhanced climate action",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113(3), 433-481. https://doi.org/10.1017/ajil.2019.22
  96. Mihalyi, D. and A. Mate, (2019), "Text-Mining IMF Country Reports - An Original Dataset" Available at SSRN: https://ssrn.com/abstract=3268934 or http://dx.doi.org/10.2139/ssrn.3268934
  97. Su, H. N. and P. C. Lee(2010), "Mapping knowledge structure by keyword co-occurrence: A first look at journal papers in Technology Foresight". Scientometrics, 85(1), 65-79. https://doi.org/10.1007/s11192-010-0259-8
  98. WTO (2022), "World Tariff Profiles 2022", World Trade Organization. Available at https://www.wto.org/english/res_e/publications_e/world_tariff_profiles22_e.Htm
  99. Yuan, C., G. Li, S. Kamarthi, X. Jin and M. Moghaddam (2022), "Trends in intelligent manufacturing research: a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based review", Journal of Intelligent Manufacturing, 33, 425-439 https://doi.org/10.1007/s10845-021-01885-x
  100. Zhao, J. J., Y. Liu and Jong-Chul Lee (2020),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DI and Development of Foreign Trade in China: Focu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astal and Inland Regions",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22(4), 159-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