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분청사기 묘지(墓誌)

Buncheong Epitaph Tablets in the Lee Kun-Hee Collection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투고 : 2023.04.03
  • 심사 : 2023.05.22
  • 발행 : 2023.06.20

초록

'묘지(墓誌)'는 묘 안이나 그 언저리 땅에 묻힌 묘주(墓主) 및 묘에 대해 적은 기록으로 묘주의 생몰연대·가계·관직·공적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자기제(磁器製) 묘지는 유교적 예법을 지향했던 조선시대 정착된 대표적인 묘지로 조선 후기까지 유행하였다. 2021년 삼성그룹 고(故) 이건희 회장 유족은 국립중앙박물관에 9,797건 21,600여 점에 달하는 유물을 기증했다. 이 가운데 조선시대 분청사기는 658건 725점이며, 절대 편년 자료로서 중요한 분청사기 묘지 6건도 포함되어 있다. 이 글에서는 6건의 묘지 가운데 15세기 중반에 제작된 <'정통십삼년(正統十三年)'명(銘) 묘지일괄(墓誌一括)>(이하 건희59), <'정통십이년(正統十二年)'명(銘) 묘지(墓誌)>(이하 건희988), <'천순육년(天順六年)'명(銘) 묘지일괄(墓誌一括)>(이하 건희827), <'성화팔년(成化八年)'명(銘) 묘지일괄(墓誌一括)>(이하 건희882) 4건의 특징과 내용 및 이 묘지들 간의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소개하였다. '건희59'는 사간원 헌납을 지낸 이사징(李士澄)(?~?)의 처 영인(令人) 이씨(李氏)(1365~1448)의 묘지로 1448년(세종 30) 12월에 제작되었다. 형태는 네 옆면에 만곡이 있는 직육면체이며 윗면과 아랫면의 중심부에 원형의 구멍이 뚫려있다. 이 묘지는 묘주의 본관이 고령(高靈)이라는 점, 영인 이씨의 묘소가 경북 고령군에 위치한다는 점을 종합해볼 때 고령 사부리 분청사기 요지에서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건희988'은 전라도관찰사 금유(琴柔)(1379~1444)의 처 숙인(淑人) 정씨(鄭氏)(1380~1447)의 묘지이며 1448년(세종 30) 3월에 제작되었다. 형태는 원통형으로 글자를 새기기 위해 구획을 나누었고 백상감 기법으로 글자를 새겼다. 이 묘지와 동일한 내용의 유물로는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의 <분청사기상감사각묘지(粉靑沙器象嵌四角墓誌)> (보물)가 전하는데, '건희59'와 형태가 유사하다. 이 묘지에 등장하는 금유와 그의 처 숙인 정씨는 '건희 59'에 등장하는 금이성(琴以成)(1396~1461)의 부모로 두 묘지의 주인이 사돈 관계라는 점이 주목된다. '건희827'은 청하현감 금이성의 묘지로 1462년(세조 8) 3월에 제작되었고 총 3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 점의 묘지는 형태는 다르나 내용은 거의 동일하며, 묘주가 '건희988'과는 모자 관계, '건희59'와는 장모와 사위의 관계였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다. '건희882'는 조선 전기 공신 황중(黃中)(?~?)의 부친 황계우(黃繼祐)(1396~1472)의 묘지로서 1472년(성종 3) 제작되었고 각기 다른 형태의 3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묘지는 청화백자와 백자로 제작된 묘지들이 공존했던 시기에 만들어진 것이며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또한 묘지의 내용을 통해 14~15세기 향리의 지위 변동, 역관 출신으로 공신에 책록된 황중의 이야기 등 당시의 사회상도 엿볼 수 있다. 이 묘지들은 제작 연대가 15세기(1440~1470년대)로 조선 전기 분청사기 묘지의 제작 경향과 특징을 잘 보여준다. 또한 묘지의 주인은 관인(官人) 또는 그 처(妻)로서 이 묘지들은 본인과 주변 인물들의 정보를 풍부하게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당시의 사회상과 장례 문화 그리고 묘지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An epitaph tablet provides records on a tomb and its occupant and is buried under the mound or in the nearby ground. It contains information of the life of the deceased person, including the dates of birth and death, family relations, government positions, and official achievements. Porcelaneous epitaph tablets are a major type that was establish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 period that was focused on Confucian proprieties. This type of epitaph tablet enjoyed widespread popularity through the late Joseon era and became most common type. In 2021, the bereaved family of the late Samsung Group chairman Lee Kun-Hee made a gift of 9,797 items (some 21,600 pieces) t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mong them were 658 buncheong ware items (725 pieces), including six epitaph tablets holding significance as chronicles. This paper provides a comprehensive introduc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details of the our among these six epitaph tablets - namely, Buncheong Epitaph Tablet with Inlaid Inscription of "the Thirteenth Jeongtong Year" and Buncheong Wares (hereinafter, LKH 59), Buncheong Epitaph Tablet with Inlaid Inscription of "the Fifth Jeongtong Year" (LKH 988), Buncheong Epitaph Tablet with Inlaid Inscription of "the Sixth Cheonsun Year" and Buncheong Wares (LKH 827), and Buncheong Epitaph Tablet with Inlaid Inscription of "the Eighth Seonghwa Year" and Buncheong Wares (LKH 882) -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blets. LKH 59 was produced in December 1448 (the thirtie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jong) to commemorate Yeongin (a title conferred on the wife of an official of the senior or junior fourth court rank) Yi, the wife of Yi Sajing (dates unknown), who had served as third censor (heonnap) at the Saganwon (the Office of Censors.) It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curves on its four sides and holes pierced in the center of the top and bottom. Given that the local origin of the clan of the occupant is Goryeong and the tomb of Lady Yi is situated in Goryeong-gun in Gyeongsangbuk-do Province, this epitaph tablet is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at the buncheong kiln site in the Sabu-ri neighborhood of Goryeong. LKH 988 is the epitaph tablet of Sugin (a title conferred on the wife of an official of the junior third court rank) Jeong, the wife of Geum Yu (1379-1444), who served as the governor (gwanchalsa) of Jeolla-do Province. It was produced in March 1448 (the thirtie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jong). This cylindrical piece was divided into sections for inscriptions that were inlaid with white slip. Another tablet with the same inscription as this one is housed in the Amorepacific Museum of Art (Buncheong Epitaph Tablet with Inlaid Inscription), and it also displays a form similar to LKH 59. Geum Yu and his wife Sugin Jeong, who are featured in the inscription of LKH 988, are the parents of Geum Yiseong (1396-1461), who is the subject of in LKH 59. It is noteworthy that the subjects of this example and the one housed in the Amorepacific Museum of Art are in-laws. LKH was produced in March 1462 (the eigh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jo) to commemorate Geum Yi-seong, who served as the mayor (hyeongam) of the Cheongha district. It is comprised of a set of three tablets. The three all differ in form but are nearly identical in content. The inscriptions state that the owner of the tablets is the son of the subject of LKH 988 and the son-in-law of the subject of LKH 59. LKH 882 was produced in 1472 (the third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gjong) to commemorate the father of Hwang Jung (dates unknown), a meritorious subject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It is comprised of a set of three tablets, all with different forms. This set was produced at a time when epitaph tablets made of plain white porcelain coexisted with others painted with cobalt-blue underglaze, demonstrating the transition to a new era for epitaph tablets. The contents of the tablets provide a glimpse into Korean society in the fourteenth and fifteenth centuries, including a change in status for provincial officials. They also tell the story of Hwang, an interpreter who was later designated a meritorious subject. These epitaph tablets are dated to the fifteenth century (between 1440 and 1470s) and demonstrate the production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uncheong epitaph tablets of the first half of the Joseon Dynasty. The subjects of the tablets are government officials or their wives, and they contain rich information on the subjects and their relatives. Moreover, they contain significant historical value as a source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pitaph tablets and the social and funerary culture at the time.

키워드

참고문헌

  1. 「高麗史」
  2. 「管城黃氏世譜」(甲戌譜)
  3. 「驪州李氏文順公派世譜」(己巳譜)
  4. 「奉化琴氏世譜」(乙丑譜)
  5. 「星山李氏世譜-仁州公派」(丙寅譜)
  6. 「世宗實錄地理志」
  7. 「新增東國輿地勝覽」
  8. 「朝鮮王朝實錄」
  9. 趙鍾雲, 「氏族源流」, 보경문화사, 2013.
  10. (財)大東文化財硏究院, 「高靈 箕山里窯址-高靈 88올림픽高速道路 擴張區間(第14工區)內 遺跡 試.發掘調査報告(第III區域)」, 2012.
  11. (財)大東文化財硏究院, 「高靈 沙鳧里窯址-高靈 88올림픽高速道路 擴張區間(第14工區)內 遺跡 試.發掘調査報告(第II區域)」, 2012.
  12. 경기도박물관, 「경기 사대부의 삶과 격, 지석」, 2023.
  13. 고령군, 「고령군지」, 2022.
  14. 국립광주박물관, 「한국가마터 발굴현황 조사3-분청사기下」, 2022.
  15. 국립중앙박물관,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품 목록집 제7집: 분청사기」, 2022.
  16. 국립중앙박물관, 「삶과 죽음의 이야기, 조선 묘지명」, 2011.
  17. 국사편찬위원회, 「한반도의 흙, 도자기로 태어나다」, 2010.
  18. 김세진, 「朝鮮時代 磁器製 誌石의 變化와 特徵」, 「美術史學硏究」 272, 2011.
  19. 김영미, 「분청사기상감정통4년명김명리지석(粉靑沙器象嵌正統四年銘金明理誌石)에 대한 고찰」, 「포은학연구」 21, 2018.
  20. 서유리, 「國立中央博物館 所藏 慶南 山淸郡 長川里 陶片 紹介-양식적 특징과 생산시기 검토-」, 「美術資料」 93, 2018.
  21. 심경호, 「조선시대 여성 묘비에 관한 일 고찰」, 「한문학논집」 49, 2018.
  22. 전승창, 「15세기 위패형 자기묘지와 위패장식 고찰」, 「호암미술관 연구논문집」 4, 1999.
  23. 정양모, 「宣德十年銘 粉靑砂器墓誌」, 「美術資料」 7, 1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