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rticipation in Housework Among 30-Somethings: A Latent Class Analysis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30대의 가사노동 참여 유형화

  • Received : 2022.09.27
  • Accepted : 2023.08.23
  • Published : 2023.08.31

Abstract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hanging nature of housework by analyzing participation in domestic work among 30-somethings according to generational and life cycle characteristics. To this end, 2,687 men and women in their 30s were taken from the 2020 Family Status Survey data, and a latent class analysis was conducted to categorize their participation in housework.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overall non-participation (18.05%), overall participation (59.96%), and intensive cleaning participation (21.99%). Gender, employment status, family life cycle, and attitudes about gender rol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participation in housework. Men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overall non-participation group, while women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overall participation group. Individuals in the pre-formative period of the family life cycle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overall non-participation group, while those in the formative and expanding periods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overall participation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ender inequality in housework is common in the younger generation; the results also show that, in the same generation, individual participation in housework differs according to family life cycle.

본 연구의 목적은 세대적, 생애주기적으로 구분되는 특성을 보이는 30대의 가사노동 참여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가사노동의 속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0년 가족실태조사 자료에서 추출한 30대 남녀 2,687명의 가사노동 참여 여부를 유형화 지표로 잠재계층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 비참여형(18.05%), 전반적 참여형(59.96%), 청소 집중형(21.99%)의 3개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가사노동 참여 유형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성별, 취업상태, 가족생애주기, 성역할 태도가 유의하였다. 여자는 남자보다 청소집중 참여형보다 전반적 비참여형에 속할 확률이 낮았으며, 전반적 참여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가족생애주기에 따라서는 형성기 이전인 경우에 청소 집중 참여형보다 전반적 비참여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으며, 형성기, 확대기인 경우에는 청소 집중 참여형보다 전반적 참여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가사노동의 성불평등성이 젊은 세대인 30대에게도 유효함을 시사하며, 같은 세대 내에서도 가족생애주기에 따라 가사노동 참여 유형이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은주.김진욱(2016). 자녀연령과 계층적 요인이 영유아 자녀 직접돌봄시간 유형에 미치는 영향: 퍼지셋 이념형 분석의 활용. 보건사회연구, 36(4), 35-62. DOI : 10.15709/hswr.2016.36.4.35.
  2. 공세권.박인화.조애저.김진숙.장현섭(1987). 한국 가족구조의 변화: 가족생활주기 조사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인구보건연구원.
  3. 구소희.맹세호.조영일(2020). 3단계 접근법을 활용한 잠재계층모형의 추정. 인문사회21, 11(2), 29-44. DOI : 10.22143/HSS21.11.2.3.
  4. 김미영.김미란(2015). 기혼 무자녀 여성의 '가족실천'을 통해서 본 생애과정의 탈규범화. 젠더와 문화, 8(2), 33-69. DOI : 10.20992/gc.2015.12.8.2.33.
  5. 김선희(1991). 가사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전업주부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외숙.이기영(2015). 가사노동과 시간관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7. 남춘호(2015). 생애과정의 탈표준화에 대한 경험적 연구: 남성들의 성인이해 배열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9(1), 139-174. DOI : 10.33071/ssricb.39.1.201504.139.
  8. 배소영.반영환(2020). 밀레니얼 세대의 행태분석을 통한 가사노동서비스 연구.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 7(2), 107-116. DOI : 10.29056/jdaem.2020.06.02.
  9. 배호중(2015). 맞벌이 가구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홑벌이 가구 남편과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1(4), 151-181.
  10. 서울특별시(2022). 2022년 도시정책지표 조사 결과보고서. 서울특별시.
  11. 서지원.기은광.고선강(2021). 한국 여성과 남성의 세대별 가사노동시간의 변화(1999-2019): 가정관리 및 가족돌봄 시간을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2), 53-78. DOI : 10.22626/jkfrma.2021.25.2.005.
  12. 설현수(2022). jamovi 통계프로그램의 이해와 활용(3판). 서울: 학지사.
  13. 손정민.김현수.이은희(2015). 에코붐 세대의 심리사회적기능궤적과 예측요인: 사회적 스트레스 관련변인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7(3), 27-53.
  14. 송태민.진달래(2013). 베이비붐 세대 및 에코 세대의 자살특성분석. 보건.복지 Issue & Focus, 180, 1-8. DOI : 10.23064/2013.03.180.
  15. 엄규숙.황석만(2019). 맞벌이 가구 가사 분담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현상과 인식, 43(2), 75-102. DOI : 10.46349/kjhss.2019.06.43.2.75.
  16. 은기수(2009).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 32(3), 145-171.
  17. 이기영.이연숙.김외숙.조희금(1996). 한일양국간 도시부부의 생활시간 비교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4), 145-161.
  18. 이순미(2014). 생애과정의 복합적 탈근대화와 가족화와 개인화의 이중적 과정: 1955-1974년 성인기 이행 배열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8(2), 67-106. DOI : 10.21562/kjs.2014.04.48.2.67.
  19. 이승미.이현아(2011). 맞벌이 임금근로자 남녀의 생활시간구조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9(5), 81-96.
  20. 이윤경(2021). 생애주기의 연령기준과 연령규범에 대한 인식. 보건복지포럼, 293, 39-54. DOI : 10.23062/2021.03.4.
  21. 이진숙.이윤석(2018). 성인이행기 남녀의 가사노동 시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여성연구, 98(3), 65-95. DOI : 10.33949/tws.2018.98.3.003.
  22. 이진숙.이윤석(2020). 출산 전후 부부의 가사노동 변화. 가족과 문화, 32(4), 155-188. DOI : 10.21478/family.32.4.202012.006.
  23. 이현아.김은정.김유경(2022). 가사노동과 돌봄 정책.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4. 이현아.김주희(2021). 세대별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연구: 베이비붐세대, X세대, Y세대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4), 71-86. DOI : 10.22626/jkfrma.2021.25.4.006.
  25. 장인수.우해봉(2017). 기혼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 차이의 영향요인 분석. 여성연구, 95(4), 41-72. DOI : 10.33949/tws.2017.4.002.
  26. 정영금(1989). 가사노동의 가치평가를 위한 방법론적 모색.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조미라.윤수경(2014). 한국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연구: 교육수준에 따른 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44, 5-30. DOI : 10.16975/kjfsw.2014.44.001.
  28. 중앙일보(2019.5.5). '밀레니얼 가족'이 사는 법 ①...음식, 해 먹지 않고 사 먹는다. http://www.joongang.co.kr/article/23459000#home.
  29. 통계청(2019). 2019년 생활시간조사지침서. 대전: 통계청.
  30. 통계청(2020.7.30.). 2019년 생활시간조사 결과. 보도자료.
  31. 통계청(2023.2.22.a). 2022년 인구동향조사 출산.사망통계(잠정). 보도자료.
  32. 통계청(2023.3.16.b). 2022년 혼인.이혼 통계. 보도자료.
  33. 허수연.김한성(2019).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 시간과 분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64, 5-29. DOI : 10.16975/kjfsw.2019.64.001.
  34. 홍세희.노연경(2013). 남자청소년의 온라인게임 이용시간 변화형태에 대한 잠재계층 추정 및 비행형태와의 관련성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4(4), 119-248.
  35. Becker, G. S.(1965).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The Economic Journal, 75(299), 493-517. DOI : 10.2307/2228949.
  36. Beutler, I. F. & Owen, A. J.(1980). A home production activity model.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9(1), 16-26. DOI : 10.1177/1077727X8000900102.
  37. Reid, M. G.(1934). Economics of household production.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38. Walker, K. E. & Woods, M. E.(1976). Time use: A measure of household production of family goods and services. Washington, DC: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