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iving Conditions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by Life Cycle : An Analysi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Kimpo, South Korea

1인가구의 생애주기별 생활실태 및 생활만족도 : 김포시 1인가구를 중심으로

  • Kim, Jung Eun (Dep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University of Suwon) ;
  • Park, Jeongyun (Dept. of Psychology, Chung Ang University) ;
  • Seo, Jiwon (Division of Human Ecology,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
  • Song, Hyerim (Dept. of Child and Family Welfare, University of Ulsan)
  • 김정은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 박정윤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 서지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생활과학부) ;
  • 송혜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Received : 2023.06.15
  • Accepted : 2023.08.03
  • Published : 2023.08.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living conditions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according to their life cycl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October 2022, and respondents were single-person households from Kimpo, South Korea. The respondents were categorized to three groups namely, you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by life cycle, and items regarding their sociodemographic background, personal life, family relations, and life satisfaction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ke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life cycle in the respondents' diet, clothing, housing, financial and home management, self-care, and leisure life. Second, the variable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the life cycle with young adults showing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having a family member to care; living alone voluntarily, discrimination experience; community awareness; and ties with the local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s, it is clear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different needs and problems in each stage of life cycle. Thus, to reflect the different experiences and needs of single-person households by life cycle, tailored policy and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young, middle-aged, and older adult single-person households.

이 연구는 가족의 다양성 차원에서 1인가구의 보편화 현상에 주목하여, 김포시 1인가구 사례를 중심으로 1인가구의 생애주기별 생활실태 그리고 생활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조사는 김포시 거주 1인가구를 대상으로 2022년도 8-10월에 걸쳐 대면설문조사로 실시되었다. 생애주기별로 청년/중장년/노년기 1인가구로 집단을 구분하였고, 1인가구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개인생활 영역, 가족관계, 생활만족도 등의 문항을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자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통계, 생애주기별 생활실태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교차분석과 일원분산분석, 그리고 생활만족도에 영향 미치는 변수를 파악하기 위한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 먼저 1인가구의 식생활관리, 의류관리, 주거관리, 가정관리, 자기돌봄, 경제생활, 여가생활 등에서 생애주기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인가구의 생활만족도에 영향 미치는 변수로는 생애주기 즉 중노년기 보다 청년기일 경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또 돌보아야 하는 가족원의 존재, 1인가구 형성의 자발성, 차별경험, 지역사회 인지수준, 유대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1인가구가 생애주기별로 다른 욕구 그리고 문제를 가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의식주생활, 가정관리, 자기돌봄, 경제생활, 여가 등 생활의 여러 영역에서 생애주기별 1인가구의 경험과 어려움의 차이를 반영하여 맞춤형의 정책과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김포복지재단의 "김포시 1인가구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과제관리번호 2022-001) 연구용역에서 이루어진 조사결과를 활용한 것임.

References

  1. 강은나.이민홍(2016).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234, 47-56.
  2. 김정은.박정윤.서지원.송혜림(2022). [2022-01 연구보고서] 김포시 1인가구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김포복지재단. https://www.bestgcf.or.kr/bbs/board.php?bo_table=biznews&fq_id=5766.
  3. 권안나(2019). 울산광역시 1인가구 현황 및 가족정책 방향연구. 울산여성가족개발원.
  4. 김미숙.김안나(2020). 1인가구의 세대별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21(1), 15-31.
  5. 김성천.강남기.장지인(2020). 광명시 1인 가구 복지정책개발을 위한 실태조사 및 분석연구. 입법정책연구원.
  6. 김영란.주재선.정가원.배호중.선보영.최진희.김수진.이진숙(2021). 2020년 가족실태조사 분석 연구. 여성가족부 연구보고 2020-56. http://www.mogef.go.kr/mp/pcd/mp_pcd_s001d.do?mid=plc503&bbtSn=704891에서 2022.05 인출.
  7. 김재남(2021). 1인가구의 세대별 생활만족도에 관한 종단분석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논문지, 26(8), 187-196.
  8. 김혜영.선보영.진미정.사공은희(2007). 비혼 1인가구의 가족의식 및 생활실태조사. 서울 : 한국여성가족재단
  9. 노경혜(2021). 1인가구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 성남시 1인가구 포럼 자료집. https://www.makehope.org/wpcontent/themes/makehope/action/download.php?id=54838에서 2023.06 인출.
  10. 노경혜.이나련.황경란.임예슬(2018). 경기도 1인가구 삶의 질 연구. 수원: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11. 박미선.이재춘.김근용.이윤상.천현숙.조영하.야마네 사토코(2017).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정책 대응방안 연구. 세종: 국토연구원. https://library.krihs.re.kr/search/media/img/RPT000003614709?metsno=000000009796&fileid=M000000009796_FILE000001&type=down에서 2023.06 인출.
  12. 박영신.손주연.송옥란(2017). 성인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대처 : 자기효능감 수준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문화 및 사회문제, 23(22), 295-332. https://doi.org/10.20406/KJCS.2017.05.23.2.295
  13. 변미리.김석호.박민진.구서정(2019). 성남시 1인가구 정책수립을 위한 실태조사.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14. 서지원.양진운(2017). 1인가구의 생애주기별 성별 생활만족도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17년 추계학술대회 '1인가구 시대 가족자원경영학의 과제와 전략' 자료집. 290.
  15. 성미애.기쁘다(2022). 부모를 경제적으로 부양하는 미혼 1인가구 남성의 생활어려움과 관련된 가치 및 관계 변인. 가정과삶의질연구, 167, 75-86.
  16. 송나경(2021). 1인 가구의 세대별 특성과 우울 영향. 인문사회, 11(4), 405-420.
  17. 이명진.최유정.이상수(2014). 1인 가구의 현황과 사회적 함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27(1), 229-253.
  18. 이준희(2017). 중장년층의 가족특성, 노후인식, 사회적 지지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정순돌.이현희(2012). 가족특성과 노후준비의 관계 : 베이비붐 세대와 예비 노인 세대의 비교. 노인복지 연구, 58, 209-232.
  20. 정영금.윤소영(2018). 1인 가구의 세대별 여가행태 분석. 가족자원경영과정책, 22(4), 1-15. DOI : 10.22626/jkfrma.2018.22.4.001.
  21. 통계청(2021). 통계로 보는 1인가구. https://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download&bSeq=&aSeq=415446&ord=2에서 2023.06 인출.
  22. 통계청(2022a). 통계로 보는 1인가구. https://kostat.go.kr/boardDownload.es?bid=10820&list_no=422143&seq=1에서 2023.06 인출.
  23. 통계청(2022b). 인구총조사. https://kostat.go.kr/boardDownload.es?bid=12030&list_no=422663&seq=1에서 2023.06 인출.
  24. 통계청(2022c). 1인가구비율(시도/시/군/구).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YL21161&conn_path=I2에서 2023.06 인출.
  25. 허철회.정민영.이유리.임선미(2021). 구리시 1인 가구 정책 수립을 위한 실태조사 및 분석연구. 한국사회경제연구원.
  26. 홍승아.성민정.최진희.김진욱.김수진(2017). 1인가구 증가에 따른 가족정책 대응방안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7. 황경란.박소영.박수선.조성희.최성은(2021). 경기도 1인가구 실태조사 연구. 수원: 경기복지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