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서울형 강소기업 청년재직자의 조직만족도가 재직 희망 기간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f Young Employees on the Desired Period of Service: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 박기태 (서울지역 인적자원개발위원회)
  • 투고 : 2023.09.22
  • 심사 : 2023.10.17
  • 발행 : 2023.10.31

초록

본 연구는 조직만족도의 다양한 세부 차원이 서울지역 강소기업 청년재직자의 재직 희망 기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인적자원개발위원회가 2021년 실시한 「서울형 강소기업 청년 재직자 근로실태 및 직업훈련수요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N=292). 세부 만족도 중에서는 (1) 직무(업무수행)(p<.05)와 (2) 보상과 인정정책(p<.05)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직 희망 기간이 증가한다. 더불어 남녀 사이에 재직 희망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존재한다. 남성은 (1) 리더십(p<.1), (2) 직무(업무수행)(p<.01), (3) 보상과 인정정책(p<.05)이 재직 희망 기간의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 여성은 (1) 직무환경(p<.1)과 (2) 경력개발(p<.05)에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직 희망 기간이 증가할 가능성이 컸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년층의 장기재직을 유도함으로써 기업의 인적자원 유출을 막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organizational satisfaction affects the desired period of service in the current workplace among young employees. Among detailed organizational satisfaction variables with nine sub-categories, a level of satisfaction with (1) tasks and (2) compensation and recognition polic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sired period of service in the current workplace. In addition, there is gender difference in the determinants of the desired period of service in the current workplace. For male employees, (1) leadership, (2) tasks and (3) compensation and recognition policies positively affect the desired period of service in the current workplace. For female employees, (1) environment and (2) career and HR training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desired period of service in the current workplace. Using thes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implications that how company prevents the outflow of human resource by increasing the desired period of service of young employees.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시균, 김두순, 전병유, 박세정, 조민수, 이혜연, 김영달, 연보라, 박비곤, 남예지, 노동시장 동향 및 동학분석, 한국고용정보원, 2021.
  2. Topel, R. H. & Ward, M. P. Job Mobility and the Careers of Young Men.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107, No. 9, pp. 439-479, 1992.
  3. 박정현, 류숙진, 대졸 초기경력자의 이직의도와 이직행위.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pp. 853-871, 2008
  4. Cowin, Leanne, The effects of nurses' job satisfaction on retention: an Australian perspective. JONA: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32, No. 5, pp.283-291, 2002. https://doi.org/10.1097/00005110-200205000-00008
  5. Judge T. & Klinger, R. Job Satisfaction: Subjective Well-Being at Work. In: Eid, M. and Larsen, R., Eds., The Science of Subjective Well-Being, (pp. 393-413), Guilford Publications, New York, 2008.
  6. Judge, T.A. & Church, A.H, Job Satisfaction: Research and Practice. In C.L. Cooper & E.A Locke(eds.),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Linking Theory with Practice (pp. 166-198). Oxford, UK: Blackwell, 2000.
  7. Zhu, Y., A Review of Job Satisfaction. Asian Social Science Vol. 9, No. 1, pp. 293-298, 2013. https://doi.org/10.5539/ass.v9n1p293
  8. Hulin, Cl. L. & Judge, T.A. Job Attitudes. In W.C. Borman, D.R. Ilgen, & R.J. Klimoski (eds.), Handbook of Psychology: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p. 255-276, Hoboken, NJ: Wiley, 2003.
  9. Judge T. & Klinger, R. Job Satisfaction: Subjective Well-Being at Work. In: Eid, M. and Larsen, R., Eds., The Science of Subjective Well-Being, (pp. 393-413), Guilford Publications, New York, 2008.
  10. 엄동욱, 대졸 신입사원의 조기퇴사 실태와 원인: 기업 인적자원관리(HRM)에서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직업능력개발연구, Vol. 11, No. 8, pp. 267-260, 2008.
  11. Van Der Berg, Gerard J. A Structural Dynamic Analysis of Job Turnover and the Costs Associated with Moving to Another Job. The Economic Journal, Vol. 102, No. 414, pp. 1116-1133, 1992. https://doi.org/10.2307/2234380
  12. Burdett, Kenneth, A Theory of Employee Job Search and Quit Rates.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68, No. 1, pp. 212-220, 1978.
  13. Jovanovic, B., Job Matching and the Theory of Turnover.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87, No. 5, Part 1, pp. 972-990, 1979. https://doi.org/10.1086/260808
  14. 탁진국, 이동하, 박지현, 김현해 &정병석, 신입사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환경 변수에 관한 연구. 응용통계연구, Vol. 21, No. 3, pp. 469-484, 2008. https://doi.org/10.5351/KJAS.2008.21.3.469
  15. 김익기, 멕시코 노동자들의 근무희망 결정요인.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기타간행물. pp. 111-144, 1999
  16. 김익기, 노동자들의 근무 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기타간행물, 1998 
  17. 김효정, 김윤지 & 김명희, 근속연수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Vol. 14, No. 4, pp.510-515, 2014
  18. 박진아, 한재룡, & 신동열, 청년층 취업자의 직장 근속연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산업진흥연구, Vol. 1, No. 1, pp. 27-33, 2016 https://doi.org/10.21186/IPR.2016.1.1.027
  19. 김동규, 대졸 청년층의 눈높이가 첫직장 근속기간에 미치는 영향. 고용과 직업연구, Vol. 5, No. 2, pp.23-50, 2011
  20. 서울지역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서울형 강소기업 청년재직자 근로실태 및 훈련수요 조사, 2021
  21. 김은석, 청년근로자의 직무만족이 자발적 이직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7권 3호, pp. 47-64, 2014. https://doi.org/10.35149/jakpg.2014.24.1.004
  22. 원숙연, 여성이 인식하는 직무만족의 차원과 그 영향요인: 차별인식과 일-가정양립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Vol. 53, No. 3, pp. 57-81, 2015
  23. 남국현, 남녀 근로자의 근로환경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여성경제연구, Vol. 15, No. 4, pp. 51-72,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