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당·송대 항주지역의 관음신앙

Guanyin Faith in the Hangzhou Area during the Tang and Song Dynasties

  • 투고 : 2023.07.25
  • 심사 : 2023.09.15
  • 발행 : 2023.09.30

초록

이 논문에서는 인도의 관음신앙이 중국불교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항주지역 불교계를 중심으로 관음보살과 관련된 교의와 실천을 구조화하고, 이를 수용하는 방식에 대해 고찰했다. 항주지역은 운하를 활용한 상업과 해상무역으로 축적된 부로 인해 불교교단들도 크게 성장했으며, 특히 송대에 이르러 선종교단이 왕성했다. 항주 천태교단의 지의(天台智顗)는 관음 관련 경전에 대한 재해석을 바탕으로 『청관음경소(請觀音經疏)』를 저술하고, 천태교학과 관음사상을 융합하여 '청관음참법(請觀音懺法)'을 체계화했다. 또한 자운준식(慈雲遵式)은 관음참법을 대중들의 수준에 맞게 일상의 의례로 재생산한 '청관음참(請觀音懺)'을 정비했다. 북송대 항주지역의 선종 교단인 법안종(法眼宗)의 영명연수(永明延壽)는 그의 저술 『지각선사자행록(智覺禪師自行錄)』을 통해 관음신앙을 '108事'라는 일상의 작은 수행 안에 수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중국불교에서는 역사적으로 존재했던 승려를 보살의 화신으로 숭배하는 현상도 나타나는데, 십일면관음보살로 믿어졌던 남조 제량(濟涼)의 보지(寶誌)화상이 바로 그러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항주지역의 천태교단과 선종교단의 승려들은 이러한 신이승(神異僧)의 관음화현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대중들에게 인기 있는 관음신앙을 통해 신도들을 흡수하려 했던 송대 불교의 일면을 보여주는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will examine how the Avalokitesvara faith of India was restructured into the doctrines and practices related to the Sinicized version of the deity as Guanyin (觀音) Bodhisattva. Particular focus will be given to the Hangzhou area of China, when the Guanyin faith was still in the process of gaining establishment in China. In the Hangzhou area, Buddhist Orders grew significantly due to the wealth accumulated from commerce using canals and maritime trade, and the Chan (禪 typically known as Zen in English) Orders were particularly active during the Song Dynasty. Zhiyi (智顗), a prominent master from the Tiantai Order (天台宗), based his activities out of Hangzhou. He composed the text known as the Commentary on the Guanyin Petitioning Sutra (Qingguanyinjing-shu 請觀音經疏) based on a reinterpretation of a scripture related to Guanyin, and he systematized the Guanyin Repentance Ritual (Guanyin-chanfa 觀音懺法) by combining the Doctrines of Tiantai with the Guanyin faith. In addition, Ciyin Zunshi (慈雲遵式) reformulated that Guanyin Repentance Ritual into the Guanyin Petitioning Repentance Ritual (qing-guanyin-chan 請觀音懺) to make it into a common ritual that was more accessible to everyday people. The book, Records Regarding the Personal Conduct of the Chan Master Zhijue (zhijue-chanshi-zixing-lu 智覺禪師自行錄), which is written by Yongming Yanshou (永明延壽), a figure from the Fayan Order (法眼宗), one of the Chan Buddhist orders in the Hangzhou area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reveals the acceptance of the Guanyin faith as a daily practice within the 108 daily rituals (108事). In Chinese Buddhism, there were historical examples of monks being worshipped as incarnations of Guanyin Bodhisattva. An example of this includes iconography depicting Baozhi (寶誌), a figure from Jiliang (濟涼) who lived during the Southern Dynasties, as Ekādaśamukha (十一面觀音, Eleven-faced Guanyin Bodhisattva) in keeping with the belief that he was an incarnation of that deity. Monks of the Tiantai and Chan orders operating in the Hangzhou area actively utilized the transmission of Buddhist tales about Guanyin Bodhisattva as related to monks that exhibited miraculous powers (神異僧). This can be understood as a phenomenon demonstrating how Song Buddhism tried to attract more believers through the popularity of the Guanyin Faith.

키워드

참고문헌

  1. 「高僧法顯傳」
  2. 「乾道四明圖經」
  3. 「大覺國師外集」
  4. 「咸涥臨安志」
  5. 「寶慶四明志」
  6. 「法華經顯應錄」
  7. 「智覺禪師自行錄」
  8. 「高僧傳」
  9. 「鎮州臨濟慧照禪師語錄」
  10. 「佛祖統紀」
  11. 「影印文淵閣四庫全書」
  12. 김한신, 「중국 중세 관음신앙의 민간사회 확산과정: 위진남북조.수당 시기 관음설화와 밀교의식의 보급을 중심으로」, 「중국고중세사연구」 39, 2016. https://doi.org/10.15840/amch.2016..39.003
  13. 워러슈 에리카, 「동아시아의 보타락가산(普陀洛伽山) 신앙 비교 연구: 바다를 통한 한중일 문화교류를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학위 논문, 2018.
  14. 윤기엽, 「보운의통(寶雲義通)의 생애를 통해서 본 고려.중국의 천태불교」, 「보조사상」 30, 2008. https://doi.org/10.22859/bojoss.2008.30..009
  15. 이정수, 「불공삼장(不空三藏)의 Avalokitesvara의 한역(漢譯)에 나타난 특징」, 「한국선학」 32, 2012. http://uci.or.kr/G704-001708.2012..32.003
  16. 차차석.서규리, 「관음보살의 천태선적 이해」, 「불교문예연구」 9, 2017. https://doi.org/10.35388/buddhi..9.201708.001
  17. 최선아, 「성지(聖地)의 형성과 존상(尊像)의 출현: 중국 보타산(普陀山)의 관음상(觀音像)을 중심으로」, 「미술사와 시각문화「 23, 2019. https://doi.org/10.22835/ahvc.2019..23.004
  18. 見宮治昭, 「インドの觀音像の展開─密教系觀音.變化觀音の成立を中心に」, 「佛教藝術」 262, 2002.
  19. 公维章, 「西夏时期敦煌的观音信仰」, 「泰山学院学报」 43, 2021.
  20. 徐一智, 「明代上天竺講寺觀音信仰之研究」, 「法光學壇」 7, 2003.
  21. 顏娟英, 「唐代十一面觀音圖像與信仰」, 「佛學研究中心學報」 11, 2006.
  22. 楊明璋, 「唐宋誌公神異傳說與中日十一面, 十二面觀音信仰」, 「漢學硏究」 36-1, 2018.
  23. 王翠玲, 「敦煌殘卷「觀音證驗賦」與永明延壽」, 「成大中文學報」 10, 2002.
  24. 劉田田, 「天台诸祖对「请观音经「的阐释与修习」, 「世界宗敎文化「 2021.
  25. 李利安, 「觀音信仰的淵源與傳播」 雲南: 宗教文化出版社, 2008.
  26. 印順法師, 「初期大乘佛教之起源與開展」 台北: 正聞出版社, 1981.
  27. 林國平, 「閩台民間信仰源流」 福州: 福建人民出版社, 2003.
  28. 蔣義斌, 「宋初天臺宗對「請觀音懺」的檢討」, 「法鼓佛學學報」 3, 2008.
  29. 趙娜, 「意指延伸与图式转化: 符号学视域下 「观音.猿.鹤图」研究」, 「美术大观」 5, 2019.
  30. 佐伯富, 「近世中國における觀音信仰」, 「塚本博士頌壽記念佛教史學論集」, 1960.
  31. 中華書局, 「宋元方志叢刊」 5, 北京: 中華書局, 2001.
  32. 陳玉女, 「觀音與海洋: 明代東南沿海的觀音信仰」, 「人間佛教學報藝文」 2, 2016.
  33. 崔峰, 「印度觀音信仰的中土改造」, 「平頂山學院學報」 28, 2013.
  34. 黄家庭, 「试析观音感应信仰的本土化及其现实品格」, 「法音」 5, 2021.
  35. 侯坤宏, 「觀音信仰的流傳與衍化」, 「人間佛敎」 10,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