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Child 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문정희 (수원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복지학과) ;
  • 김윤희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 송승민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
  • 김혜수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Received : 2023.08.08
  • Accepted : 2023.10.04
  • Published : 2023.10.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job stress among child care teachers and enhance the quality of child care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hild care teacher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60 childcare teachers in Gyeonggi-do, and 465 questionnaires were ultimately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dditionally, bo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Second, the direct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ignificant, and the direct effect of job stress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lso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ldcare teachers significantly influe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job stress. Conclusion/Implications: Therefore, providing an educational program to help childcare teachers enhance thei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foster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hildcare quality.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숙 (2014).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영신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강영철, 이철주 (2020). 어린이집 평가제도와 보육서비스 질 간의 비정합성에 대한 연구. 한국비교정부학보, 24(1), 135-156. https://doi.org/10.18397/kcgr.2020.24.1.135 
  3. 강유정 (2015).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사창의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4(3), 65-81. https://dx.doi.org/10.17643/KJCE.2015.24.3.04 
  4. 강유정, 김규태 (2016). 보육교사가 지각한 조직문화와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매개효과. 아동교육, 25(4), 77-92. http://dx.doi.org/10.17643/KJCE.2016.25.4.05 
  5. 강진 (2020). 중고등학생의 사회적지지와 긍정심리자본 간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지능과 일상적 스트레스의 매개 효과.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강혜신 (2019). 영유아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조직몰입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국립국어원 (2016. 10). 낙관성. 우리말샘. https://opendict.korean.go.kr/dictionary/view?sense_no=636224&viewType=confirm에서 2023년 6월 18일 인출 
  8. 권정해, 김판희 (2015).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효능감, 직무만족, 조직몰입간의 구조적 관계. 아동교육, 24(1), 81-98. 
  9. 김경란 (2021). 영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신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규태, 최경민 (2015). 초등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행복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열린교육연구, 23(2), 201-225. http://dx.doi.org/10.18230/tiye.2015.23.2.201 
  11. 김동현, 이선미 (2017).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행복감을 매개효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3), 231-254. http://dx.doi.org/10.22590/ecee.2017.21.3.231 
  12. 김리진, 홍연애 (2016).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55-74. https://doi.org/10.14698/jkcce.2013.9.4.055 
  13. 김병준 (2018).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검증, 인문사회 21, 9(1), 755-766. http://dx.doi.org/10.22143/HSS21.9.1.60 
  14. 김영숙, 정명선 (2014).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3), 1424-1435. http://dx.doi.org/10.5762/KAIS.2014.15.3.1424 
  15. 김옥경 (2019).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김은설 (2020). 유아교육.보육질적 수준 지표와 국제비교. 육아정책포럼, 66, 38-47. 
  17. 김의석, 김성원 (2013). 근무환경과 사회지지가 어린이집 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업무스트레스를 매개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24-41. 
  18. 김정근 (2021). 일반보육교사와 장애통합교사의 직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연구. 협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김지현 (2017). 중학교 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교사효능감, 조직몰입, 학교조직 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김태완, 최경민, 김규태 (2015). 중등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간의 관계: 행복감과 직무스트레스 대처 태도의 매개효과. 교육문화연구, 21(4), 211-240. https://doi.org/10.24159/joec.2015.21.4.11 
  21. 김하은 (2019).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성찰 지능을 매개효과로.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김현경 (2018).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7(3), 223-239. https://doi.org/10.17643/KJCE.2018.27.3.12 
  23. 김혜연, 남승규 (2018).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행복의 매개효과.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3), 553-561. http://dx.doi.org/10.21742/AJMAHS.2018.8.3.051 
  24. 김희정 (2019). 보육교사의 교직인성, 교수효능감, 교직 윤리의식, 교사 역할수행 간의 구조 분석.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남연희, 김강수, 한희창 (201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몰입 매개변수 중심으로. 코칭연구, 8(2), 59-77. 
  26. 노경섭 (2016).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SPSS & AMOS 21. 한빛아카데미. 
  27. 노진형, 박순선, 송미영, 진영미, 이경순 (2019). 영유아교사의 사회적자본, 긍정심리자본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3(2), 141-164. http://dx.doi.org/10.22590/ecee.2019.23.2.141 
  28. 문새은, 김효진 (2022).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 9(1), 57-81. http://dx.doi.org/10.23197/scece.2022.9.1.003 
  29. 문정희 (2015).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도와의 관계.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문정희 (2023). 보육교사의 자기성찰지능이 영유아권리존중보육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과심리적 소진의 순차적 매개효과. 수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문지혜, 김수향 (2015). 유아교육기관의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조직갈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4), 179-197. 
  32. 문홍실 (2017). 유아교사의 창의적 역량과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박권홍 (2012). 중소기업 근로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창의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기업교육연구, 14(1), 115-132. 
  34. 박남심, 최영희, 송승민 (2019).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1) 75-89.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1.075 
  35. 박보겸, 이경님 (2019). 어린이집 조직건강성과 영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및 소진이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코칭연구, 12(5), 5-25. http://dx.doi.org/10.20325/KCA2019.12.5.25 
  36. 박선미, 정지현, 이유진 (2021).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3), 963-973. https://doi.org/10.22251/j1cci.2021.21.23.963 
  37. 박주은 (2017).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한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박지영, 한문성 (2018). 어린이집 교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경영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0(2), 591-615. 
  39. 박태준 (2016).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호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0. 보건복지부 (2016). 2016년 보육사업안내. 보건복지부. 
  41. 보건복지부 (2019). 어린이집 평가제를 위한 2019 어린이집 평가 매뉴얼. 보건복지부. 
  42. 서지영, 서영숙 (2002). 유아교사의 조직 헌신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프로그램의 질과 직무환경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2), 115-136. 
  43. 서현아 (2021). 유아교사의 인성과 직업적 웰빙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6(6), 109-126. http://dx.doi.org/10.20437/KOAECE26-6-05 
  44. 손민주 (2018). 보육교사가 지각한 조직공정성,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송지준 (2015).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46. 신혜영 (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7. 양기영 (2022).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양기영, 이신복 (2022).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스트레스를 통해 유아교사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문화기술의 융합, 8(1), 39-49. http://dx.doi.org/10.17703/JCCT.2022.8.1.39 
  49. 엄세진, 강현영 (2018). 영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이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8), 585-596. http://dx.doi.org/10.35873/ajmahs.2018.8.8.056 
  50. 엄혜미, 문윤지 (2020). 긍정심리자본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가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및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항공사 객실 승무원을 대상으로. 경영과정보연구, 39(2), 77-94. https://doi.org/10.29214/damis.2020.39.2.005 
  51. 오교선, 공인숙 (2016).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2(1), 187-202. http://dx.doi.org/10.14698/jkcce.2016.12.187 
  52. 원영미 (2015).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3. 유경숙 (2022). 보육교사의 조직 커뮤티케이션 만족과 교직 열정과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아동교육, 31(2), 171-186. http://dx.doi.org/10.17643/KJCE.2022.31.2.09 
  54. 유은실 (2022). 원장의 진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향유신념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협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5. 이선경, 이민희, 김경의 (2014).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행복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4), 661-680. 
  56. 이영미 (2013). 몬테소리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사회적지지,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7. 이영주, 최경 (2018).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도가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5(4), 53-70. http://dx.doi.org/10.22155/JFECE.25.4.53.70 
  58. 이예송 (2014). 보육교사 직무만족도의 교사효능감 및 조직몰입에 대한 관계.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9. 이윤서, 김세곤 (2018). 유아교사의 공감과 긍정심리자본이 유아에 대한 무례함 또는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공감과 긍정심리자본 간 심층행동의 조절효과. 교육연구, 3(1), 43-67. 
  60. 이은혜, 안지령 (2018). 영아전담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4), 219-238. http://dx.doi.org/10.22251/jlcci.2018.18.24.219 
  61. 이재도 (2021).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협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2. 이종각, 문수백 (2011). 보육교사가 지각한 보상인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4), 165-184. 
  63. 이종현 (2011). 엘리트 스포츠지도자의 조직문화와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의 관계. 코칭능력개발지, 13(1), 95-104. 
  64. 이학식, 임지훈 (2008).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7.0. 법문사. 
  65. 전갑선 (2011).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시설장의 지도성과 신뢰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6. 정명선 (2015). 감정노동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자율성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6(3), 121-138. https://doi.org/10.15703/kjc.16.3.201506.121 
  67. 정선아, 안소영, 박보영 (2023). 보육서비스 질 제고를 위한 어린이집 평가제의 방향 탐색: 구조에서 과정중심으로 패러다임 전환. 영유아교육과정연구, 13(3), 27-51. http://dx.doi.org/10.26834/ksycbc.2023.13.3.27 
  68. 정소라, 이경님 (2016).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1(4), 225-249. http://dx.doi.org/10.20437/KOAECE 21-4-10 
  69. 정숙희, 김익균 (2020).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행복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화연구, 26(3), 779-800. https://doi.org/10.24159/joec.2020.26.3.779 
  70. 정혜영, 김윤희 (2018).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9), 1087-1108. http://dx.doi.org/10.22251/jlcci.2018.18.19.1087 
  71. 조남예, 문재우 (2018).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 . 보육복지연구, 22(3), 67-89. http://dx.doi.org/10.22590/ecee.2018.22.3.67 
  72. 조완신 (2023). 보육교사의 직무배타성, 이직의도,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3. 조윤서 (2016).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4), 529-546. http://dx.doi.org/10.5762/KAIS.2016.17.4.529 
  74. 조한숙 (2016).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감사성향이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칼빈논단, 36, 491-518. 
  75. 조한숙, 이성복 (2016).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 삶의 질 연구, 34(5), 69-82. http://dx.doi.org/10.7466/JKHMA.2016. 34.5.69 
  76. 조현익, 김우성, 김영기 (2002). 생활체육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 유효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41(3), 205-215. 
  77. 지미선(2021).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공감능력, 직무스트레스가 유아권리존중실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8. 지미선, 이신복 (2021). 유치원 교사의 공감 능력이 긍정심리자본을 통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문화기술의 융합, 7(1), 240-255. http://dx.doi.org/10/17703/JCCT.2021.7.1.240  10/17703/JCCT.2021.7.1.240
  79. 최규민, 안민영 (2022).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교수몰입 간의 관계: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의 조절 효과. 유아교육연구, 42(1), 267-288. https://doi.org/10.18023/kjece.2022.42.1.011 
  80. 최미란, 이세은, 이선임, 장경은 (2016). 보육교사가 지각한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성과 교사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9, 35-59. 
  81. 최석봉 (2018). 긍정심리자본과 혁신 행동간의 관계. 인적자원개발 연구, 21(2), 165-187. http://dx.doi.org/10.24991/KJHRD.2018.06.21.2.165 
  82. 최영순, 김현수, 이성희 (2020).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25(2), 163-180. https://doi:10.13049/kfwa.2020.25.2.3 
  83. 최윤경 (2017). 영유아 교육, 보육 질 모니터링의 국제동향 및 시사점. 유아정책 Brief, 60. 육아정책연구소. 
  84. 최재숙 (2015).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윤리적 책무성에 미치는 영향. 안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5. 탁정화 (2020). 유아교사의 마인드셋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다중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9(4), 133-160. http://doi.org/10.30761/ecoece.2020.19.4.133 
  86. 허혜경 (2021). 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경력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3), 787-812. http://dx.doi.org/10.22251/jlcci.2021.21.3.787 
  87. 홍부연 (2021). 어린이집 보육교사에 대한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 연구: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레질리언스 역량의 조절효과. 서울기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8.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89. 홍은영, 이소은 (2022). 원장의 코로나19 관리리더십이 영유아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리더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6(4), 7-31. https://doi.org/10.22590/ecee.2022.26.4.7 
  90. Allen, N. J. & Meyer, J. 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1), 1-18.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 
  91. Avey, J. B., Wernsing, T. S., & Luthans, F. (2008). Can positive employees help positive organization change?: Impact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emotions on relevant attitudes and behaviors. The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44(1), 48-70. https://doi.org/10.1177/0021886307311470 
  92.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93. Buchanan, B. (1974). Build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ocialization of managers in work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9(4), 533-546. https://doi.org/10.2307/2391809 
  94. Cole, K., Daly, A., & Mark, A. (2009). Good for the soul: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wellbeing and psychological capital. The Journal of Socio-Economics, 38(3), 464-474. https://doi.org/10.1016/j.socec.2008.10.004 
  95. Compton, W. C. (2005).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Wadsworth.
  96. Fukkink, R. G. & Lont, A. (2007). Does training matter? A meta-analysis and review of caregiver training studie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3), 294-311. https://doi.org/10.1016/j.ecresq.2007.04.005 
  97. Kanter, R. M. (1968). Commitment and social organization: A study of commitment mechanisms in utopian communiti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3, 499-517. https://doi.org/10.2307/2092438 
  98. Luthans, F. (2002). The need for and meaning of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3(6), 695-706. https://doi.org/10.1002/job.165 
  99. Luthans, F., Luthans, K. W., & Luthans, B. C. (2004).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yond human and social capital. Business Horizons, 47(1), 45-50. https://doi.org/doi:10.1016/j.bushor.2003.11.007 
  100. Luthans, F., Youssef, C. M., & Avolio, B. J. (2006). Psychological capital: Developing the human competitive edge. Oxford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93/acprof:oso/9780195187526.001.0001 
  101. Meyer, J. P. & Allen, N. J. (1991). A three-component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1), 61-89. https://doi.org/10.1016/1053-4822(91)90011-Z 
  102. Mowday, R. T., Porter, L. W., & Steers, R. M. (1982). Employee organization linkages: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Academic Press. 
  103. OECD (2019). Providing qualit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Results from the Starting Strong Survey 2018. OECD Publishing. 
  104. Peterson, C. (2000). The future of optimism. American Psychologist, 55(1), 44-55. https://doi.org/10.1037/0003-066x.55.1.44 
  105.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06. Reyes, P. (1992). Preliminary models of teac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Implication for reconstructing the workplace. Office of Educational Research and Improvement. 
  107. Seligman, M. E. P. (1998). Learned optimism. Pocket Books. 
  108.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