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Freight Company Management Model based on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Freight Company and Consigned Vehicle Owners

화물자동차 회사와 위수탁차주의 인식차이에 기반한 화물자동차 운송회사 경영모델

  • 박두진 (동명대학교 항만물류시스템학과) ;
  • 김정이 (동명대학교 항만물류시스템학과)
  • Received : 2023.09.05
  • Accepted : 2023.09.30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This paper identifie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consignment system between the freight company and the consigned vehicle owners, derived factors that urgently need to improv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presented the basis for establishing a management model based on this. A management model based 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onsigned borrowers was established,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o conduct reliability, validit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ut of 58 questions, 56 of the total 65 questions showed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consignment system between trucking companies and consigned vehicle owners, and the questions were input as management model factors. As a result of conduc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using only recognition data, 5 hypotheses were adopted,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factor had no mediating effect. It can be analyzed that the appropriateness of the compensation system affects the improvement of each other's relationship, and the improvement of each other's relationship leads to the improvement of transportation services. However, since the mediating effect was rejected because it was not significant, this effect should not be exaggerated.

본 논문은 화물자동차 회사와 위수탁차주의 위수탁제에 대한 인식 차이를 확인하고, 인식차의 개선이 시급히 이뤄져야 할 인자를 도출, 이를 기반으로 한 경영모델 수립의 근거를 제시하였다. 위수탁차주의 인식 차이에 기반한 경영모델을 설정하고, 연구 가설을 설정하여 신뢰성과 타당성 및 확인적 요인분석 및 경로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58개의 설문 문항 중 화물자동차 회사와 위수탁 차주의 위수탁제에 대한 인식 차이가 나타난 항목은 전체 65개 문항 중 56개의 문항이고, 해당 문항을 경영 모델 인자로 투입, 분석자료는 위수탁차주의 인식 자료만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 분석과 경로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가설이 채택되었고, 인자가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보상체계의 적절성이 상호간의 관계 개선에 영향을 주고 상호간의 관계 개선이 운송서비스의 개선으로 연결되고 있다고 분석할 수 있다. 다만, 매개효과는 크지 않아서 기각되었기 때문에 이 효과를 과장해서 판단하지는 않아야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학년도 동명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과제번호 : 2022B050)

References

  1. 김수민.김문중.안재선(2018), 이마트에 대한 기존의 소비자 태도가 재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마케팅 믹스(7Ps)의 매개효과 -, 물류학회지, 제28권 제2호, 53-66.
  2. 김정이.박두진(2023),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국내 화물자동차회사의 경영모델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9집 제2호, 165-178. https://doi.org/10.38121/kpea.2023.6.39.2.165
  3. 박두진.김정이.이원동(2022), 국내 화물자동차 운송회사와 위수탁차주의 인식 비교,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8집 제4호, 119-137. https://doi.org/10.38121/kpea.2022.12.38.4.119
  4. 배희성.하명신(2017), 국제물류기업의 고객서비스와 기업성과 간의 관계분석, 국제상학, 제32권 제1호, 45-59.
  5. 이태형(2018), 화물자동차 안전운임제 도입과정 및 추진방향, KOTI 물류브리프, 제10집 제3호.
  6. 임동민(2012), 화물자동차운송시장의 운임과 운임격차의 요인분해, 경제발전연구, 한국경제발전학회, 제18권 제1호, 51-79.
  7. 임종석(2019), 위⋅수탁계약에서의 갈등요인과 해소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물류학회지, 제29집 제2호, 27-46
  8. 김계수(2010), AMOS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9. 신동선(2003), 화물자동차운송업의 현황과 정책방향.
  10. 이충기(2019), 조사통계분석, 대왕사
  11. 정승주(2010), 표준운임제 시범사업 실시를 위한 표준운임 재산정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12. 한국교통연구원(2019), 화물운송시장동향
  13. 한국교통연구원(2008), 화물운송산업 지입제도 개선방안 연구
  14. 화물운송연합회(2019), 화물운송연합회 내부 조사.
  15. Bagozzi, R. and Yi, Y(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s, 16, 74-94. https://doi.org/10.1007/BF02723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