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Giftedness Expression Mechanism of Young-sil Jang through Gagne's DMGT Model

Gagne의 DMGT 모형을 통한 장영실의 영재성 발현 기제 연구

  • Received : 2023.07.30
  • Accepted : 2023.08.29
  • Published : 2023.08.30

Abstract

This study uses Gagne's 'Differentiated Model of Giftedness and Talent (DMGT)' to collect and extract major life events of Jang Young-sil, and to investigate how giftedness was formed and developed in his life history, and what factors enabled him to demonstrate his talent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addition, based on the framework of Gagne's Differentiation Model for Giftedness and Talent(DMGT), we analyzed the mechanism of giftedness manifestation of Jang Young-sil and sought to explore the direction of gifted education based on this.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in Giftedness(G), it was found that Jang Young-sil had excellent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skills. Second, motivation, determination, self-management, and personality factors that constitute the inner catalyst(IC) of the individual have had an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giftedness. Third, it influenced the social environment and peer giftedness in environmental catalysis(EC). Fourth, the catalyst of chance or chance(C) was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Jang Young-sil's manifestation of giftedness. Fifth, informal learning and non-institutional formal learning in the developmental process(LP) influenced the manifestation of giftedness. In this way, the talent development factors of people such as Jang Young-sil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need to understand the manifestation mechanism of giftedness in the future, develop examination tools that can detect giftedness, and develop customized programs that can develop giftedness.

본 연구는 Gagné의 '영재성과 재능에 대한 차별화 모형(DMGT)'을 이용하여 장영실의 주요 생애 사건을 수집 및 추출하고 그의 생애사에서 영재성이 어떻게 형성되고 계발되었는지, 그가 과학 기술 분야에서 재능을 발휘할 수 있었던 요인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그의 역사 기록, 위인전, 학술지 등을 분석하는 질적 연구 방법 중 '내용 분석법'을 적용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Gagné의 영재성과 재능에 대한 차별화 모형(DMGT)의 틀에 기초하여 장영실의 영재성 발현기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재교육에서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 정리하면, 첫째, 영재성(G)에서는 장영실은 과학·기술 능력이 뛰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개인 내적 촉매(IC)를 구성하는 동기, 결단력, 자기관리, 성격 요인은 영재성 발달과정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환경적 촉매(EC)에서 사회적 환경 및 동료가 영재성을 발휘하는 것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우연 혹은 기회의 촉매(C)는 장영실이 영재성을 발현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이었다. 다섯째, 발달과정(LP)에서 비형식적 학습, 비제도적 형식적 학습이 영재성 발현에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이 장영실과 같은 인물의 재능발달 요인은 향후 영재성의 발현 기제를 이해하고 영재성을 발견할 수 있는 검사 도구, 영재성을 개발시킬 수 있는 맞춤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의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직(2013). 미국 영재교육법률의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말랜드 보고서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3(5), 649-669.
  2. 고진숙(2006). 하늘의 법칙을 찾아낸 조선의 과학자들. 서울: 한겨레출판.
  3. 곽지현(2009). 피아노 영재의 재능발달 영향 요인에 대한 개인적.시대적 비교. 순천향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권문희(2008). 초등 교과서에 수록된 위인 10인의 영재성 요소, 가정환경 부모양육 방식 특징에 대한 질적 분석.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기명(2011). 학문적 재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구조분석을 통한 Gagne의 DMGT모형 검증. 순천향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남훈(2014). Gagne의 DMGT모형을 통한 석주명의 영재성 발현 기제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명숙, 서혜애, 이미순, 전미란, 진석언, 한기순 역(2010). 영재교육과 재능계발. 서울: 시그마프레스.
  8. 김명희 역(1998). 다중지능이론의 실제. 서울: 양서원.
  9. 김성진(2008). 記錄文에 대한 想像的 接近의 일례-장영실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동양한문학연구, 27(1), 5-38.
  10. 김형광(2002). 인물로 보는 조선사. 서울: 시아출판사.
  11. 김혜란(2004). 장영실. 서울: 태서출판사.
  12. 남진아(2016). Gagne의 DMGT모형을 통한 이휘소의 영재성 발현 기제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대한인쇄문화협회(2003). 조선시대 갑인자 만든 이천. 서울: 대한인쇄문화협회.
  14. 돋움자리 역(2000). 초등학생을 위한 인물 사전. 서울: 시공주니어.
  15. 두은미(2018). Gagne의 DMGT모형을 통한 우장춘의 영재성 발현 기제 연구.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류숙희(2004). 백범 김구의 잠재능력 계발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문용린(2003). 기업인 정문술의 지적 능력 계발 과정에 과한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도덕심리 연구실.
  18. 박성래(1993). 역사 속 과학인물-물시계제작한 장영실. 과학과 기술, 26(8), 86-87.
  19. 서용석(2015). 김연아를 통해 본 스포츠영재의 영재성 발현에 관한 사례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송성수(2008). 조선시대 최고의 기술자, 장영실. 대한기계학회지, 48(11), 29-32.
  21. 안선모(2016). 궁금해요, 장영실. 서울: 풀빛.
  22. 안태진(2003). 다중 지능 이론의 관점에서 본 전혜린의 삶.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왕연중(1989). 발명왕 장영실의 소년시절. 발명특허, 14(4), 78-82.
  24. 이석호(2006). 조선사 길라잡이-다시 보는 조선왕조실록 ⑤ 세종 시대의 인물 1-조선 최고의 공학자 장영실(蔣英實). 역사 & 문화, 6, 6-11.
  25. 이수경(2013). 조선 후기 하가 김홍도의 영재성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2019). 최신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27. 이정규 역(2008). 영재성의 정의와 개념. 서울: 학지사.
  28. 장경채(2012). 장영실 관련 기록문에 대한 상상적 접근. 한국지역사회연구소, 66(1), 122-130.
  29. 장래혁(2016). 조선왕조 국가 과학자 장영실의 브레인 파워. 한국뇌과학연구원, 56(1), 22-25.
  30. 장래혁(2020). 조선 왕조 국가과학자 장영실. 한국뇌과학연구원, 80(1), 57-59.
  31. 전근아(2011). 홍난파의 지적계발과정 연구: 다중지능이론의 관점에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정은진(2009). 안익태의 지적능력 계발과정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정지아(2013). 조선 최고의 과학 기술자 장영실. 서울: 알에이치코리아.
  34. 조선사역사연구소(2016). 조선 최고의 과학자 장영실. 서울: Atto Book.
  35. 한국발명진흥회(2007). 발명위인 발명품-장영실. 한국발명진흥회, 32(6), 66-71.
  36. Cohn, S. J. (1981). What is gifednes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In A. H. Kramer (Ed.), Gifted children: Challenging their potential (pp. 33-45). New York: Trillium Press.
  37. Cohn, S. J. (1997). A model for a pluralistic view of giftedness and talent. Unpublished Paper Prepared for the United States Office of Education.
  38. Gagne, F. (1985). Giftedness and talent: Reexamining a reexamination of the definition. Gifted Child Quarterly, 29(3), 103-112. https://doi.org/10.1177/001698628502900302
  39. Gagne, F. (2004). Transforming gifts into talent: The DMGT as a developmental theory. High Ability Studies, 15(2), 119-148. https://doi.org/10.1080/1359813042000314682
  40.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41. Hollingworth, L. S. (1926). Gifted children: Their nature and nurture. New York: Macmillan.
  42. Hollingworth, L. S. (1942). Children above 180 IQ: Stanford-Binet orizin and development. New York: World block.
  43. Marland, S. (1972).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Report to the Congress of the United State by the U.S. Commissioner of Education, Washington, DC: U.S.
  44. Renzulli, J.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pp. 180-184.
  45. Renzulli, J. (2003). Conceptions of giftedness and its relationship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caprtal. In N. Colangelo, & G.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 New York: Allyn and Bacon.
  46. Renzulli, J. S., & Reis, S. M. (1991).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A comprehensive plan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roductivity. University of Conneticut, Storrs.
  47. Rowe, D. C. (1994). The limits of family influence: Genes, experience, and behavior. New York: Guilford.
  48. Rowe, D. C. (1997). Genetics, temperament, and personality. In R. Hogan, J. Johnson, & S. Briggs (Eds.), Handbook of personality psychology (pp. 367-386). New York: Academic.
  49. Scarr, S. (1992). Developmental theories for the 1990s: Development and individual differences. Developmental Psychology, 63, 1-19. https://doi.org/10.2307/1130897
  50. Scarr, S., & Carter-Saltzman, L. (1982). Genetics and intelligence.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human intelligence (pp. 792-896). Englan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Schwartz, L. L. (1994). Why give "gifts" to the gifted? Thousand Oaks: Corwin Press.
  52. Stankowski, W. M. (1978). Definition. In R. E. Clasen, & B. Robinson (Eds.), Simple gifts.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Extension.
  53. Taylor, C. W. (1978). How many types of giftedness can your program tolerat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2, 39-51. https://doi.org/10.1002/j.2162-6057.1978.tb00158.x
  54. Taylor, C. W., & Ellison, R. L. (1975). Moving toward working models in creativity: Utah creativity experience and insights. In I. A. Taylor & J. W. Getzels (Eds.), Perspectives in creativity (pp. 1-36). Chicago: Aldine.
  55. Terman, L. (1925).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a thousand gifts children,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 1).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56. Terman, L. M., & Oden, M. H. (1947).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 4. The gifted child grows up.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57. Terman, L. M., & Oden, M. H. (1959).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 5. The gifted group at midlife: Thirty-five years' follow-up of a superior group.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