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in the Incantations of the Daesoon Faith: Focusing on Historical Facts

대순 신앙의 주문 변화 -고증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3.01.20
  • Accepted : 2023.03.08
  • Published : 2023.03.31

Abstract

Incantations are reflected in the fundamentals of the Daesoon faith system and are, thus, key to its understanding. Jeungsan, the yeonwon (fountainhead, 淵源) of the Daesoon faith, created new incantations or transformed existing ones that had been used in old religious traditions such as Buddhism and Daoism. However, there has been no in-depth academic research on Jeungsan's incantations until now. This study aims to academically clarify the incantatory archetypes of Jeungsan's incantations based on documents published until the 1970s. Jeungsan's incantations are then compared to those of Mugeuk-do (Limitless Dao) in the 1920s and Taegeuk-do (Great-Ultimate Dao) in the 1950s. Jeongsan's transformed incantations are analyzed through this process. Jeongsan reflected the faith system in Jeungsan's incantations during the period of Mugeuk-do. He transformed the incantations to achieve his goal and realize his wishes by arranging terms that referred to himself before the optative words of the incantations. Jeongsan made several changes to the incantations in the 1950s. First, the majority of incantations used in Mugeuk-do were discarded. This meant making partial changes to the faith system by reflecting awareness because the corresponding incantations were no longer necessary as the Degree Number calibrated by Jeungsan had been realized. Second, Jeongsan organized the incantations in use and institutionalized their instructions. This reflected the essential doctrinal system of the Daesoon faith, namely the completion of the true dharma by Jeongsan. Considering this doctrine, that is, the Fifty Year Holy Work (五十年工夫), the true dharma can be presumed to have been realized before the death of Jeongsan. Accordingly, the institutionalizing and organizing of the incantations were indispensable until the mid-to-late 1950s. Jeongsan, the founder of the Daesoon order, posited himself as the successor of religious orthodox lineage and as the figure who would complete the true dharma by realizing the Degree Number calibrated by Jeungsan. Therefore, Jeongsan interpreted Jeungsan's incantations to be a rough sketch of the Daesoon faith system that had been drawn for him in advance by Jeungsan. Accordingly, Jeongsan transformed Jeungsan's incantations and used them to realize the Degree Number, which Jeungsan had planned. Simultaneously, Jeongsan declared that he would fulfill the Degree Number and establish the true dharma by changing those incantations.

주문은 대순 신앙체계의 토대를 반영하고 있으므로 신앙체계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창이라고 할 수 있다. 대순 신앙의 연원인 증산은 새로운 주문을 만들거나 불교와 도교 등 기존 전통 종교에서 사용했던 주문을 변형하여 사용했다. 그러나 증산의 주문에 대한 학문적 고증은 지금까지 심도 있게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1970년대까지의 문헌을 기반으로 증산의 주문 원형을 학문적으로 고증하고 이를 1920년대 무극도와 1950년대 태극도 주문과 비교하여 정산의 주문 변용을 분석하였다. 무극도 시기 정산은 증산의 주문에 무극도 신앙체계를 반영했고, 자신을 의미하는 용어를 주문의 기원문 앞에 배치하여 자신의 일이 이루어지도록 소원하는 형태로 변용하였다. 1950년대 정산은 주문에도 많은 변화를 주었다. 첫째는 무극도에서 사용되던 주문 중 상당수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았다. 이는 증산이 안배한 도수를 실현하여 더 이상 해당 주문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는 인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부분적인 신앙체계의 변동을 의미했다. 둘째는 사용 주문을 정비하고 사용법을 제도화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정산에 의한 진법의 완성이라는 대순 신앙의 핵심 교리체계를 반영한 것이다. "오십년공부(五十年工夫)"라는 교리 상 정산의 서거 전 진법은 완성되어야 했으며 따라서 1950년대 중후반까지 주문의 제도화와 정비는 필수적이었다. 무극도와 달리 태극도 주문에 정산의 소원성취를 기원하는 구조가 봉축주와 진법주에만 유지된 것은 진법의 완성 시기가 도래하였음을 의미했다. 대순 신앙의 창립자인 정산은 증산이 짜 놓은 도수를 실현하여 진법을 완성하는 종통 계승자로 스스로를 인식하였으므로 자신을 위해 증산이 그려놓은 대순 신앙체계의 밑그림으로 증산의 주문을 해석했다. 따라서 정산은 증산의 주문을 변형하여 증산이 계획한 도수를 실현하는데 사용하면서, 동시에 주문 변용으로 도수 실현과 진법 구축을 선포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經國大典」
  2. 「召九靈三精章」, UCI G701:B-00075369026
  3. 「中華道藏」 第6冊.
  4. 「太上玄靈北斗本命延生眞經」, 서울: 三角山道詵菴, 1864.
  5. 고민환, 「선정원경」, 1962.
  6. 단국대학교동양학연구소, 「한한대자전 4」,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1999.
  7. 대순진리회교무부, 「전경」 초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74.
  8. 대순종교문화연구소, 「증산의 생애와 사상」, 서울: 대순진리회출판부, 1979.
  9. 민영국(편), 「時鑑」, 보천교, 1984.
  10. 이상호, 「대순전경」 초판, 경성: 동화교회도장, 1929.
  11. 이상호, 「대순전경」 2판, 경성: 동화교회도장, 1933.
  12. 이상호, 「대순전경」 3판, 서울: 대법사편집국, 1947.
  13. 이상호, 「대순전경」 4판, 서울: 대법사편집국, 1949.
  14. 이상호, 「대순전경」 5판, 김제: 증산대도회본부, 1960.
  15. 이상호, 「대순전경」 6판, 김제: 동도교증산교회본부, 1965.
  16. 이상호, 「대순전경」 12판 서울: 도서출판 말과글, 2001.
  17. 이상호, 「증산천사공사기」, 경성: 상생사, 1926.
  18. 이영호, 「보천교연혁사상」, 보천교중앙총정원, 1948.
  19. 이정립, 「증산교요령」 재판, 김제: 증산교본부, 1983.
  20. 이정립, 「증산교요령」 6판, 김제: 증산교본부, 1990.
  21. 이정립, 「증산대도회요령」, 김제: 증산대도회, 1975.
  22. 자료조사실 편, 「고문서집성 7 : 의성김씨천상각파편(III)」,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23. 증산도종무원 편, 「주문」, 대전: 증산도, 2020.
  24. 태극도편찬위원회, 「진경전서」, 부산: 재단법인태극도, 1987.
  25. 태극도편찬위원회, 「진경」, 부산: 태극도출판부, 1989.
  26. 「규정」, 부산: 태극도, 1963.
  27. 「법경」, 김제: 증산법종교본부,
  28. 「수도규정」, 부산: 태극도, 1966.
  29. 「순천도교본」, 김제: 순천도법방, 1969.
  30. 「주문」, 서울: 대순진리회수도부.
  31. 「주문」, 태극도.
  32. 「천도교의절」 증보삼판, 서울: 천도교중앙총부출판부, 1991.
  33. 「태극도통감」, 부산: 태극도본부, 1956.
  34. 권동우, 「'유사종교해산령'의 실체에 관한 연구: '무극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학」 165, 2014. https://doi.org/10.25024/ksq.44.4.202112.41
  35. 김탁, 「한국의 관제신앙」, 서울: 선학사, 2004.
  36. 민원실, 「지남거(指南車): 상제님께서 알려주신 척신과 魔가 풀리는 원리」, 「대순회보」 84, 2008.
  37. 박상규, 「근대 한국 신종교의 조직 연구: 연원제를 중심으로」,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1.
  38. 박상규, 「대순신앙의 천계(天界) 관념: 무극도를 중심으로」, 「종교연구」 82-2, 2022. https://doi.org/10.21457/kars.2022.8.82.2.175
  39. 박상규, 「무극도 관련 문헌 연구」, 「대순사상논총」 41, 2022. https://doi.org/10.25050/jdaos.2022.41.0.27
  40. 박상규, 「무극도 주문 연구: 의성김씨 천전파 소장 필사본 고증을 중심으로」, 「대순종학」 2, 2022.
  41. 박인규, 「한국 불교 진언과 대순진리회 주문의 비교 연구」, 「대순사상논총」 22,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2.0.387
  42. 박인규, 「한국 신종교의 주문 수행」, 「종교와 문화」 32, 2017.
  43. 박한진.채성훈, 「구령삼정주와 신살주술」, 서울: 성숙한 삶, 2016.
  44. 이재원, 「대순사상의 우주관 연구: 시간관과 공간관을 중심으로」, 「대순종학」 2, 2022.
  45. 차선근,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 서설(II)」, 「대순사상논총」 23, 2014. https://doi.org/10.25050/jdaos.2014.23.0.241
  46. 차선근, 「칠성주의 '문곡'과 '육순'」, 「대순회보」 237, 2020.
  47. 편집부, 「증산도의 연혁으로부터 도맥까지」, 「월간천지공사」 26, 1990.
  48. 홍범초, 「범증산교사」, 서울: 도서출판 한누리, 1988.
  49. 「[九] 所謂無極道妖怪相」, 《매일신보》 1936.2.11
  50. 「民衆을 荼毒한 無極道의 極惡相 (一)」, 《매일신보》 1936. 1. 26.
  51. 「[二] 所謂無極道妖怪相」, 《매일신보》 1936. 1. 31.
  52. 「주문일부변경」, 《태극도월보》 (구)제4호, 1967. 4.
  53. 「惑世誣民(혹세무민)하는 無極大道團(무극대도단)」, 《동아일보》 1925. 7. 6.
  54. 최용환, 「伏魔殿을 차저서 無極敎正體 -8-」, 《동아일보》 1929. 7. 26.
  55. 《증산법종교 홈페이지》 http://jsbeob.com
  56. 吉川文太郞, 「朝鮮諸宗敎」, 京城: 朝鮮興文會, 1922.
  57. 全羅北道, 「無極大道敎槪況」, 1925.
  58. 村山智順, 「朝鮮の類似宗敎」, 京城: 朝鮮總督府, 1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