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form of Basic Rural Education in Korea and Implications for China

한국 농촌 기초 교육의 개혁과 중국에 대한 시사점

  • Li Luo (Sichuan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 이라 (사천문리대학교 )
  • Received : 2023.05.15
  • Accepted : 2023.06.26
  • Published : 2023.06.30

Abstract

Korea is a self-recognized educational powerhouse, and successive governments place importance on basic education and rural education. While promulgating and implementing a series of policies and measures, the Korean government provides great support to the development of basic rural education from a financial standpoint, promotes the development of rural basic education projects, and provides a strong foundation for Korea to become a world education powerhouse. and provided a guarantee. In China, as the education powerhouse strategy and urbanization construction strategy continue to be promoted, the basic education problem in rural areas is drawing attention,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thinking of rural basic education are also becoming a hot issue. This article intends to discuss how to develop basic rural education in China in the future by examining and analyzing reforms for basic rural education in Korea.

한국은 자타가 공인하는 교육 강국으로, 역사상 한국 정부는 기초 교육과 농촌교육을 중요시 해 왔다. 한국 정부는 일련의 교육 정책과 교육에 관한 조치를 반포하여 실시함과 동시에 재정 방면에서도 농촌 기초 교육의 발전에 극대한 지지를 하였다. 이에 농촌 기초 교육 사업의 발전을 촉진하고, 한국이 세계 교육 강국이 될 수 있는 튼튼한 기초와 힘께 농총 경제의 보장을 마련하였다. 최근 중국은 교육 강국 전략과 도시화 건설 전략이 계속 추진되면서 농촌 지역의 기초 교육 문제가 주목을 받게 되었다. 주목과 더불어 농촌 기초 교육의 발전 방향과 사고 또한 뜨거운 이슈가 되었다. 본 논문은 한국 농촌 기초 교육에 대한 개혁을 살펴보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중국 농촌 기초 교육의 발전 대안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가단단, 문경(2018). 한국 농촌 의무교육 서비스 균등화의 경험 및 시사점. 교습 및 관리(중학교판), 2018,(7), 81-83
  2. 뱅탁스(2016). 농촌 기초 교육의 국외 발전 조치, 문제와 시사점. 천진사범대학학보 (기초교육판), 17(3), 36-40.
  3. 류효명, 자경전(2018). 한국신촌운동실천 및 우리나라의 농촌진흥전략에 대한 계시. 하택학원학보.2018(040), 53-56
  4. 리샤오팅, 두서나(2018). 농촌 아동 기초 교육기회 취득실태연구. 중국국정국력, 2018(009), 21-24
  5. 야오싱윈(2009). 중국 신농촌 건설과 한국 신촌운동의 여러 사회정책 비교연구. 서북농림과기대학, 석사학위논문.
  6. 여란, 쑹이웨이(2019). 농촌 기초 교육의문제 및 대책 검토. 유니버설시장, 2019(001), 92-94
  7. 유수암, 마삼희, 정호(2017). 해외농촌 초중학교 기초 교육 배치에 대한 우리나라 배치 조정의 시사점. 흑하학원 학보, 2017(11), 20-21
  8. 왕환(2018). 농촌 기초 교육의 아견. 신교육시대 전자잡지 (학생판), 2018(43), 179
  9. 이수산(2005). 신시대 한국 농촌교육의 뉴포인트. 기초 교육 참고, 2005(5), 26-58
  10. 최계련, 유문(2018). 한중 양국의 농촌 나홀로가구의 현황, 원인 및 시사점, 한국연구론, 2018(1), 215-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