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입주기업 확대를 통한 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 활성화 방안

A Study on Revitalization of Gwangyang Port Marine Industry Cluster Through Attracting R&D Enterprises

  • 김보경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연구본부) ;
  • 이다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연구본부) ;
  • 김근섭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연구본부)
  • 투고 : 2023.02.28
  • 심사 : 2023.03.31
  • 발행 : 2023.03.31

초록

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는 현재 실질적으로 운영되는 국내 유일의 해양산업클러스터이나, 개장 이후 다양한 활성화 정책을 추진함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입주율은 낮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입주기업 활성화를 저해하는 현행 제도의 제약요인을 식별하고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의 핵심산업인 해운항만물류분야 연구개발(R&D)사업 현황을 분석하고, 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 입주가 예상되는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항만·해운분야 R&D 비중이 타 분야 대비 낮고, 국내 연구개발 사업은 민간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다. 또한 실증을 위한 항만시설 필요성이 높지 않으며, 광양항에 대한 기업 접근성 부족이 제약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입주기업 확대를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4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현재 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에 입주가능한 핵심산업을 해운·항만·물류분야에서 해양수산업 전체로 확대하여 해당 산업에서 R&D를 수행하는 기업이 입주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두 번째, 현재 기업 입주 자격으로 제시되고 있는 업종코드 변경을 통해 실제 연구개발사업을 수행하는 기업이 등록된 업종을 반영함과 동시에 해양수산업 전체로 확대되는 핵심산업군을 모두 포함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향후 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 입주기업 모집 시 활용할 수 있는 확대된 기업코드를 제시하였다. 세 번째, 현제 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는 연 1~2회 입주기업을 모집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나, R&D 수행기업이 실증을 위한 항만 활용 수요가 발생한 시점에 맞추어 유연하게 입주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 상시모집 체계로 전환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입지적으로 낮은 접근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편적인 재정적 지원보다는 민간기업 또는 중소기업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연구개발에 특화된 기술개발 지원사업이 필요하며, 이를 입주 유인책으로 활용해야 한다.

Gwangyang Port Marine Industry Cluster is the only marine industry cluster in Korea that is currently in operation, but despite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revitalization policies since its opening, the occupancy rate has been low so far.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straints of the current system that hinder the inducement of tenant companies and to suggest revitalization measur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and development(R&D) projects in the port, shipping and logistics sector, which is a core industry of the Gwangyang Port Marine Industry Cluster.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companies with potential to move in.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R&D in the core industry sectors is lower than in other sectors, and most of R&D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mainly by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addition, the low need for port facilities and low accessibility to Gwangyang Port were derived as constraints. Considering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four revitalization measures to induce tenant companie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core industries from the current shipping, ports, and logistics to the entire maritime and fisheries, so that companies performing R&D in the industry can move in. Second, the industry code currently specified as a qualification need to be revised to include both the industry of the enterprise carrying out R&D projects and the core industr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n expanded industry code list that can replace current list. Third, a transition of tenant recruitment system from the regular system(once or twice a year) to the occasional system is proposed so that companies can move in flexibly when demand arises. Finally, in order to overcome geographically low accessibility, technology development support projects specialized in R&D that prospective tenant companies actually need are needed rather than financial suppor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상곤.안승범.이충효(2008), 제조산업의 항만클러스터 입지선정 모형에 관한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권 제4호, 237-255.
  2. 강수민.박석당.김길성(2015), 광양항 배후단지를 위한 신성장동력 산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제30권 제4호, 264-283.
  3. 권영주.강길모.박세헌(2017), 제4차 산업혁명과 해양과학기술, 한국혁신학회지 제12권 제2호, 203-222. https://doi.org/10.46251/INNOS.2017.05.12.2.203
  4. 김민승.장용주.이찬호.최지혜.이정희.안민호.성태응(2021), 기술력 평가모형 및 평가지표에 대한 연구: 해양수산업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0호, 90-102. https://doi.org/10.5392/JKCA.2021.21.10.090
  5. 김종욱(2010), 유럽 해양산업클러스터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독일과 이탈리아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유럽연구, 제39권 제2호, 59-83. https://doi.org/10.17052/JCES.2021.39.2.59
  6. 김철회(2009), 물산업 클러스터 육성정책의 해외사례와 시사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12호, 843-852. https://doi.org/10.5392/JKCA.2009.9.12.843
  7. 김태운.남재걸(2014), 의료산업 클러스터의 장애요인에 대한 연구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제27권 4호, 127-159.
  8. 김형주.이정협.손동원(2008), 정부의 R&D 정책과 연구개발 네트워크 구조 및 공간적 특성: 한국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제11권 제3호, 319-333. https://doi.org/10.23841/EGSK.2008.11.3.319
  9. 김형태(2006), 항만물류클러스터의 개념, 현황 및 구축방안: 부산항을 중심으로, 월간 해양수산, 제260호
  10. 박대한.성창수.정경희(2019), 창업기업 업종 분류체계의 개선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벤처창업연구 제14권 제1호, 59-71. https://doi.org/10.16972/APJBVE.14.1.201902.59
  11. 박선영(2011), 경제자유구역 내 국내기업 입주촉진방안,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제24집 제3호, 193-216.
  12. 백종실(2019), 평택당진항의 자동차 물류 클러스터 구축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5집 제4호, 147-168.
  13. 여수광양항만공사(2022), 2022년도 해양산업클러스터 관리운영방안
  14. 여수광양항만공사(2022), 제4차 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 입주기관 모집 공고
  15. 윤경준.서수완(2019), 서산 대산항 해양산업 클러스터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5집 제1호, 19-38. https://doi.org/10.38121/kpea.2019.03.35.1.19
  16. 이창희.최진철(2018), 노르웨이 해양에너지산업 클러스터의 발전을 위한 정부지원정책에 대한 연구, 해사법연구, 제30권 제3호, 55-80. https://doi.org/10.14443/kimlaw.2018.30.3.3
  17. 임덕순 외(2022), 우리나라 혁신클러스터의 주요 특징과 정책과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Insight 제303호
  18. 임종빈.조형례.정선양(2012), 혁신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정책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 판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15권 3호, 675-699.
  19. 전형모.이지원.신수용(2021), 해양수산 과학기술 정책평가모형 연구 -해양수산 R&D를 중심으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기본연구 2021-16.
  20. 정도범.고윤미.김경남(2012), 중소기업의 산학연 연구개발(R&D) 협력과 기업 성과 분석, 기술경영경제학회 제20권 제1호, 115-140.
  21. 정순구․최근희(2013), 첨단산업 클러스터로서 서울디지털산업단지의 성장요인 및 한계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26집 제3호, 165-194.
  22. 최상선.오인하.이동명(2016), 해양수산 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연구,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제19권 제2호, 165-171.
  23. 최상선.오인하(2017),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술사업화 성공요인 분석 연구, 해양정책연구 제32권 제1호, 1-31. https://doi.org/10.35372/KMIOPR.2017.32.1.001
  24. 최일용.한장협(2014), 국가산업단지의 창조클러스터화를 위한 발전방안 우선순위 도출: 구미국가산업단지를 대상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1호, 195-218.
  25. 한관희.정동민.옥주선.전정환(2014), 항공산업 클러스터 활성화를 위한 지원 기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314-32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314
  26. 한철환(2003), 우리나라 항만클러스터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19집 제1호, 1-22.
  27. 해양수산부(2015), 해양경제특별구역 제도 도입 타당성 검토 용역, 2015.12
  28. 해양수산부(2017), 해양산업클러스터 기본계획 수립 연구, 2017.3
  29. 해양수산부(2017), 제1차 해양산업클러스터 기본계획(2017-2021)
  30. 해양수산부(2018), 제1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2018~2022)
  31. 해양수산부(2019), 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 개발계획(변경), 2019.3
  32. 해양수산부(2021), 4차 산업혁명 시대 해양수산 발전방향 연구, 2021.3
  33. 해양수산부(2022), 제2차 해양산업클러스터 기본계획(2022-2026)
  34. 해양수산부.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2022), 2022 해양수산창업․사업화 지원사업 디렉토리북
  35. 해양수산부(2023), 우리 기업.기술로 글로벌 스마트항만 만든다,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2023.1.19
  36. 홍연아(2020), 국가식품클러스터 진흥사업 진단과 발전방향, 한국식품유통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20권 0호
  37. 홍연아.윤찬미(2022), 농식품 제조기업의 국가식품산업클러스터 입주 결정요인 분석, 식품유통연구, 제39권 3호, 17-37. https://doi.org/10.47085/KJFME.39.3.2
  38. Porter, M.(1998), Clusters and the New Economics of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Review
  39. Shinohara, M.(2005), Maritime cluster of Japan: implications for the cluster formation policies, Maritime Policy & Management, 37(4), 377-399. https://doi.org/10.1080/03088839.2010.486648
  40. 「중소기업기본법」
  41. 「한국표준산업분류」
  42. 「해양산업클러스터의 지정 및 육성 등에 관한 특별법」
  43. 「해양산업클러스터의 지정 및 육성 등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44. 「해양산업클러스터 관리업무 처리규정」
  45. 「해양수산업 특수분류」
  46. 여수광양항만공사 홈페이지(www.ygpa.or.kr/kr, 검색일: 2023.2.25.)
  47. 해양수산 R&D지식정보시스템(ofris.kimst.re.kr, 검색일: 2022.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