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성인학습자 대상 메타인지 학습능력 증진 그룹코칭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The Effects of Group Coaching Program on Improving Metacognition Learning Ability for Adult Learners

  • Hyunjin Kim (Seoul Cyber University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
  • Taehee Kim (North Carolina A & T State University Department of Counseling)
  • 투고 : 2023.08.14
  • 심사 : 2023.08.23
  • 발행 : 2023.08.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업상황에서 메타인지 학습능력을 증진하기 위한 그룹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그룹코칭 프로그램의 주제 및 목표는 '메타인지적 지식'에 속하는 요소들의 이해와 적용에 초점을 두었으며, 각 세션은 '메타인지적 조절' 의 요소인 '계획-점검-조절'을 코칭 REGROW모델에 통합하여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A사이버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대학생들 중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할당한 후 실험집단에게는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통제집단은 대기자집단으로 본 연구 완료된 후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사전과 사후에 메타인지 학습능력 검사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분석 결과, 지각된 메타인지적 학습능력 전체 및 하위영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체 및 하위영역 모두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고했으며, 메타인지에 대한 지식, 인지 및 메타인지 전략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적용이 높아졌으며, 집단코칭 방식이 유익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한계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a group coaching program to promote metacognitive learning ability in an academic context for adult learners enrolled at a distance university. The topics and objectives of the group coaching program focused on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elements of 'metacognitive knowledge', and each session was conducted online by integrating 'planing-monitoring-regulating', an element of 'metacognitive regulation', into the REGROW model of coaching.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adult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A Cyber University and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was given the program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tudy. Metacognitive learning ability level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both groups, and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alyses of the data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s on both the overall and sub-scales of perceived metacognitive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lso report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increased knowledge of metacognition, awareness and application of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found the group coaching approach beneficial.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령, 서은희 (2014).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28(4), 665-692.
  2. 김동심, 김실희 (2017). 학업복귀 성인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및 성취도 예측변인 검증. 평생학습사회, 13(4), 129-150.
  3. 김동일, 라수현, 이혜은 (2016). 메타인지전략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7(3), 21-48.
  4. 김세진, 이희승 (2022). 개념 및 범주 학습에서 수행 피드백과 메타인지적 활동이 학습전략 효과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36(1), 1-25.
  5. 김수란 (2017). 중학생 대상 학교 학업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8(3), 147-178. https://doi.org/10.14816/SKY.2017.28.3.147
  6. 김아영, 박인영 (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개발 및 타당화. 교육학연구, 39(1), 95-123.
  7. 김아영, 주지은, 정소영 (2005). 수학성취 수준별 집단의 성취도와 학습전략 사용 및 변화에 대한 자기조절학습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교육심리연구, 19(3), 677-698.
  8. 김은영 (2022). 학습공동체 질문생성이 학습전략, 질문저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교육종합연구, 20(4), 1-23.
  9. 김현아, 김현진(2011). 원격교육 성인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학업지속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평생학습사회, 7(3), 51-78.
  10. 김현진 (2022).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변화 유형에 따른 학업동기 변인 차이분석. 평생학습사회, 18(3), 1-27.
  11. 대학알리미 (2022). 2021년 재학생 수 및 중도탈락 학생 현황. https://www.academyinfo.go.kr/index.do (검색일: 2022. 5. 15)
  12. 송고은 (2020). 메타인지 활용측면에서 본 대학생 및 성인학습자의 언어학습 특성 고찰: 해외 연구를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53, 151-174.
  13. 신종호, 최효식 (2005). 메타인지검사 방법의 측정학적 특성 연구. 교육심리연구, 19(3), 615-631.
  14. 마현희 (2022). 간호대학생 메타인지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박해빈, 신태섭 (2016). 저소득층 청소년의 인지 및 메타인지 전략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비저소득층 청소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4(2), 307-332.
  16. 배진희, 조혜승, 김경일 (2015). 메타인지 정확성의 발달 차이 연구. 인지과학, 26(1), 53-67. https://doi.org/10.19066/COGSCI.2015.26.1.003
  17. 박찬규 (2022). 내재적 동기, 초인지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분석. 영어영문학연구, 64(2), 151-171.
  18. 서영숙, 정추영 (2018). 메타인지 교수학습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협력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9(12), 383-392.
  19. 안다휘, 이승희 (2018). 대학생의 학습전략 효과성 인지, 선호 및 활용. 교육심리연구, 32(3), 321-353.
  20. 이명숙 (2016). 메타인지능력이 대학생활적응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교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779-798.
  21. 이재신 (2008). 메타인지 전략 훈련이 자기효능감 및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논총 29(1), 127-146.
  22. 이지혜 (2010).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메타인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학습몰입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학연구, 48(2), 67-92.
  23. 이충현 (2022). 정신치료에 있어 관점의 문제와 메타인지- 철학상담의 세계관과 애착이론의 내적작동모델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 50, 377-413.
  24. 이희경 (2014). 코칭심리 워크북. 서울: 학지사.
  25. 임선아, 정윤정 (2013). 메타분석을 통한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검증. 교육학연구, 51(3), 83-105.
  26. 임이랑 (2019).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인지전략이 저성취 대학생의 학업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청소년문화포럼, 60, 117-146.
  27. 장소은, 김소영, 박남희 (2019).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의사소통능력 및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이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5(4), 448-458. https://doi.org/10.5977/JKASNE.2019.25.4.448
  28. 장태석, 윤서진 (2021). 엘리트 운동선수를 위한 수행 중 메타인지 척도의 타당성 검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4, 351-361.
  29. 전주성, 최은혜 (2010). 두려움과 좌절을 넘어서: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정서적 경험이해하기. 평생교육학연구, 16(2), 93-116.
  30. 정여원, 민혜영 (2019). 개념지도를 활용한 팀기반 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및 메타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5(3), 277-288. https://doi.org/10.5977/JKASNE.2019.25.3.277
  31. 정영란 (2016). 사이버대학에서의 재등록률 영향 요인 분석. 교육방법연구, 28(4), 791-814. https://doi.org/10.17927/TKJEMS.2016.28.4.791
  32. 정영란, 김시온 (2012). 중, 고등학생의 메타인지, 자기효능감, 구성주의적 과학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6(1), 125-144. https://doi.org/10.24231/RICI.2012.16.1.125
  33. 정은경 (2020). 코칭심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34. 조성연 (2008). 성인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증진 프로그램 개발. 평생학습사회, 4(1), 23-48.
  35. 주영주, 정보경, 함유경 (2014). 이러닝과 연계된 모바일러닝에서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성취도 영향요인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4), 127-147.
  36. 최송아, 손현국, 손영우 (2012). 성실성, 인지능력, 메타인지 능력이 학습의 전이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1), 221-238.
  37. 최윤정 (2018). 성인학습 및 상담론. 서울: 학지사.
  38. 최희선, 이희승 (2020). 학습간격과 학습방법이 읽기자료의 지연기억수행에 미치는 영향. 미래교육학연구, 33(1), 169-196.
  39. 현승훈, 신종호 (2020). 학업적 실패상황에서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라 부적정서가 학업적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34(2), 421-445.
  40.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1. Bartoszewski, B. L., & Gurung, R. A. (2015). Comparing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techniques and exam scor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in Psychology, 1(3), 219-228. https://doi.org/10.1037/stl0000036
  42. Bjork, R. A., Dunlosky, J., & Kornell, N. (2013). Self-regulated learning: Beliefs, techniques, and illusion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4(1), 417-444.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113011-143823
  43. de Fatima Goulao, M.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ults' learners. Athens Journal of Education, 1(3), 237-246. https://doi.org/10.30958/aje.1-3-4
  44. Delclos, V. R. & Harrington, C. (1991). Effects of strategy monitoring and proactive instruction on children's problem-solving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 35-42. https://doi.org/10.1037/0022-0663.83.1.35
  45. Dignath, C., & Buttner, G. (2008). Components of Fostering Self-Regulated Learning among Students. A Meta-Analysis on Intervention Studies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Metacognition and Learning, 3, 231-264. https://doi.org/10.1007/s11409-008-9029-x
  46. Flavell, J. H. (1976). Metacognitive aspects of problem solving. The Nature of Intelligence, 12, 231-235.
  47. Flavell, J. H. (1979).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American Psychologist, 34, 906-911. https://doi.org/10.1037/0003-066X.34.10.906
  48. Garner, R. (1987). Metacognition and reading comprehension. Norwood, NJ: Ablex Publishing.
  49. Jacobs, J. E. & Paris, S. G. (1987). Children's metacognition about reading: Issues in definition, measurement, and instruc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2, 255-278. https://doi.org/10.1080/00461520.1987.9653052
  50. Karpicke, J. D., Butler, A. C., & Roediger, H. L. (2009). Metacognitive strategies in student learning: Do students practise retrieval when they study on their own?. Memory, 17(4), 471-479. https://doi.org/10.1080/09658210802647009
  51. Komarraju, M., & Nadler, D. (2013).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Why do implicit beliefs, goals, and effort regulation matter?.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25, 67-72. https://doi.org/10.1016/j.lindif.2013.01.005
  52. Knowles, M., Holton III, E., & Swanson, R. (1998). The adult learner: The definitive classic in adult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San Diego, CA: Elsevier.
  53. OECD. Stat (2017). http://stats.oecd.org/, Adult education and learning: Non-formal education.
  54. Pintrich, P. R. (2000). The role of goal orientation in self-regulated learning. In M. Boekaerts, P. Pintrich, & M. Zeidn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research, and applications (pp. 451-502). Orlando, FL: Academic Press.
  55.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56. Pintrich, P. R., Smith, D. A. F., Garcia, T., & Mckeachie, W. J. (1993).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3(3), 801-813. https://doi.org/10.1177/0013164493053003024
  57. Schraw, G. (1998). Promoting general metacognitive awareness. Instructional Science, 26, 113-125. https://doi.org/10.1023/A:1003044231033
  58. Schraw, G. & Moshman, D. (1995). Metacognitive theories. Educational Psychological Review, 7, 351-371. https://doi.org/10.1007/BF02212307
  59. Schraw, G., & Dennison, R. S. (1994). Assessing metacognitive awarenes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9(4), 460-475.
  60. Roelle, J., Schmidt, E. M., Buchau, A., & Berthold, K. (2017). Effects of informing learners about the dangers of making overconfident judgments of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9(1), 99-117.
  61. Rose, J., & Steen, S. (2014). The achieving success everyday group counseling model: fostering resiliency in middle school students. Professional School Counseling, 18(1), 28-37. https://doi.org/10.5330/prsc.18.1.m07lu0hr6636j1t4
  62. Taghani, A., & Razavi, M. R. (2022). The effect of metacognitive skills training of study strategies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engagement and performance of female students in Taybad. Current Psychology, 41, 8784-8792. https://doi.org/10.1007/s12144-020-01278-y
  63. Veenman, M. V. J., & Spaans, M. A. (2005). Relation between intellectual and metacognitive skills: Age and task differences.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15, 159-176. https://doi.org/10.1016/j.lindif.2004.12.001
  64. Veenman, M. V., Wilhelm, P., & Beishuizen, J. J. (2004). The relation between intellectual and metacognitive skills from a developmental perspective. Learning and Instruction, 14(1), 89-109.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03.10.004
  65. Winne, P. H. (2018). Cognition and metacognition within self-regulated learning. In D. H. Schunk & J. A. Greene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pp. 36-48). Routledge/Taylor & Francis Group.
  66. Winne, P. H., & Hadwin, A. F. (2008). The weave of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D. H. Schunk & B. J. Zimmerman (Eds.),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pp. 297-314).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67. Xu, W. (2015). The effects of metacognitive strategies training on metacognitive strategy use and language achievement in distance education setting in China. 평생학습사회, 11(2), 373-396. https://doi.org/10.26857/JLLS.2015.05.11.2.373
  68. Zhang, X., & Guo, L. (2020). Cognitive and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training in EFL reading. Advance in Social Science, Education and Humanities Research, 428, 110-114.
  69. Zimmerman, M. A. (1990). Taking aim on empowerment research: On the distinction between individual and psychological conception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8(1), 169-177. https://doi.org/10.1007/BF00922695
  70. Zimmerman, B. J., & Marinez-Pons, M. (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5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