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nopolis start-up's achievements and challenges over the past 16 years: the comparison before and after the quantitative expansion period

연구소기업 16년의 성과와 과제: 양적 팽창기 전후의 비교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2.12.12
  • Accepted : 2023.05.17
  • Published : 2023.05.31

Abstract

Innopolis start-up has become a representative model and path for commercialization of public technology. Along with the quantitative growth of innopolis start-up, the importance of innopolis start-up in national policies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related to public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has also increased. However, over the past 16 years, innopolis start-up's establishment and growth have taken place in different ways at different times.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changes in innopolis start-up over the past 16 years, focusing on comparisons before and after 2014, when the establishment of innopolis start-up began to increase rapidly.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arly stage of the quantitative expansion period, policy changes related to innopolis start-up were the main factors for the increase in innopolis start-ups. In addition, the rapid increase in the establishment of innopolis start-up after 2016 was largely influenced by changes in the start-up environment and institutional changes related to innopolis start-up. Second, the time of registration and size of the capital of innopolis start-u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ales for 3 years after registration. This result shows that with the rapid increase in innopolis start-ups, the need to build a customized support system for innopolis start-ups by size or growth stage has increased.

2005년 7월 연구소기업 제도 시행 이후 연구소기업 설립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연구소기업은 공공기술사업화의 대표적인 모델이자 경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연구소기업의 양적 성장과 함께 공공기술사업화와 관련한 국가 정책, 기관 전략 등에 있어 연구소기업의 중요성도 증가하여 왔지만 지난 16년 간 연구소기업의 설립 및 성장은 시기별로 매우 다른 양상으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양적 팽창기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연구소기업 설립(등록)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한 2014년 전후의 비교를 중심으로 지난 16년 간 연구소기업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이후 연구소기업의 급격한 증가원인을 정책, 제도, 창업환경, 성장환경 변화로 나누어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양적 팽창기 이후 연구소기업 변화가 연구소기업 성과 및 성장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양적 팽창기 초기에는 연구소기업 관련 정책 변화와 이에 따라 시행된 연구소 기업 발굴·기획 지원 사업 등이 연구소기업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6년 이후의 연구소기업 설립(등록)의 급격한 증가는 산학연협력 기술지주회사의 확대, 기술지주회사의 투자 여건 개선 등과 같은 연구소기업 창업 환경 변화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9년 이후에는 공익법인 등 연구소기업 설립 주체의 확대와 강소특구 지정 등 제도 변화가 연구소기업 설립 증가에 영향을 미친 주요 요인이었다. 또한 양적 팽창기를 전·후로 하여 연구소기업 성과 및 성장 특성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연구소기업 등록 시점과 연구소기업 자본금 규모는 등록 이후 3년 간의 평균 매출액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014년 이후 연구소기업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연구소기업의 중요성이 커졌지만 한편으로는 양적 팽창기 이전과 비교하였을 때 연구소기업 특성에 변화가 있었으며, 규모별(소형, 중·대형) 또는 성장 단계별 연구소기업 지원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더 커졌음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대식.이성상.한유진(2017), "연구개발특구 연구소기업 활성화 효과성 분석", 국회예산정책처
  2. 김선우 등(2021), "창업.벤처 생태계 지수 도출", 한국벤처투자
  3. 김인영.이선제.이상윤(2018), "연구소기업의 역량과 매출성장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기술혁신학회지」, 제21권 제4호, pp. 1445-1473
  4. 박후근(2020), "연구소기업 설립 정책의 활성화 요인 분석: 정책집행주체의 태도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제23권 제4호, pp. 723-745
  5. 오영환.정양헌(2021), "공공기술 기반 여성기술창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여성연구소기업을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제36권 제4호, pp. 135-166
  6. 이성상(2014), "연구자의 창업의지를 중심으로 살펴본 연구소기업 설립 운영의 효과", 「벤처창업연구」, 제9권 제1호, pp. 69-77 https://doi.org/10.16972/APJBVE.9.1.201402.69
  7. 이성상(2015), "공공부문 기술사업화 기업 제도의 비교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지식재산연구」, 제10권 제4호, pp. 291-316
  8. 임의주.김창완.조근태(2013), "대학 산학협력단의 기술사업화 인적구성과 산학협력 성과", 「기술혁신연구」, 제21권 제2호, pp. 115-136
  9. 임진호 (2019), "연구개발특구 연구소기업 설립 활성화를 위한 기술이전․기술사업화 정책요인에 관한 연구-전북지역 정부 출연(연) 공공기술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제33권 제3호, pp. 179-198 https://doi.org/10.18398/KJLGAS.2019.33.3.179
  10. 정혜진(2016), "출연(연)의 기술사업화에 미치는 요인 분석-연구소기업을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p. 74-82 https://doi.org/10.5762/KAIS.2016.17.9.74
  11. 허필우.천동필(2018), "연구소기업 설립 적합유형 및 핵심요인에 관한 연구: 연구소기업 대표자를 대상으로", 「경영교육연구」, 제33권 제4호, pp. 455-473
  12. Bray, M. J. and Lee, J. N. (2000), "University Revenues from Technology Transfer: Licensing Fees vs. Equity Position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15, No.5, pp.385-392 https://doi.org/10.1016/S0883-9026(98)00034-2
  13. Fini, R., Grimaldi, R., Santoni, S. and Sobrero, M. (2011), "Complements or Substitutes? The Role of Universities and Local Context in Supporting the Creation of Academic Spin-offs", Research Policy, Vol.40, No.8, pp.1113-1127 https://doi.org/10.1016/j.respol.2011.05.013
  14. Link, A. N. and Scott, J. T. (2005), "Opening the ivory tower's door: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the formation of U.S. university spin-off companies", Research Policy, Vol.34, No.7, pp.1106-1112 https://doi.org/10.1016/j.respol.2005.05.015
  15. Lockett, A. and Wright, M. (2005), "Resources, Capabilities, Risk Capital and the Creation of University Spin-out Companies", Research Policy, Vol.34, No.7, pp.1043-1057 https://doi.org/10.1016/j.respol.2005.05.006
  16. Moray, N. and Clarysse, B. (2005),"Institutional change and resource endowments to science-based entrepreneurial firms", Research Policy, Vol.34, No.7, pp.1010-1027 https://doi.org/10.1016/j.respol.2005.05.016
  17. O'Shea, R. P., Allen, T. J., Chevalier, A. and Roche, F. (2005),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echnology Transfer and Spinoff Performance of U.S. Universities", Research Policy, Vol.34, No.7, pp.994-1009. https://doi.org/10.1016/j.respol.2005.05.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