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Maternal Anxiety on Overprotection: The Moderating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어머니의 불안이 과보호 양육에 미치는 영향: 유아 기질의 조절 효과

  • 유소미 (이든유치원) ;
  • 정영선 (평택대학교 아동청소년교육상담학과)
  • Received : 2023.02.16
  • Accepted : 2023.08.07
  • Published : 2023.08.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nxiety and overprotection. Methods: A total of 250 mothers with 5-year-old children responded to online survey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questions about maternal anxiety, overprotection, and their children's temperament.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several important findings. First, maternal anxie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the overall level of overprotection and all sub-factors. The cor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maternal overprotection had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sub-factors of overprotec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nxiety and overprotection. That is, When the reactivity of a child was low, the positive effect of maternal anxiety on maternal overprotection was greater. Looking at the sub-factors of overprotection, only reactive temperament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nxiety and intrusive overprot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nxiety and permissive overprotection, reactivity and adaptability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howed that mother's overprotection was associated with varying levels of their own anxiety and children's temperament. These findings offer basic knowledge for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improving parenting behaviors.

Keywords

References

  1. 강엄지 (2021).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이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 기질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영미 (2004). 어머니의 성취 동기, 특성불안 및 자녀에 대한 신뢰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공경혜 (2003). 어머니의 자아개념 및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개념과의 관계: 초등학교 고학년자녀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가연 (2019). 헬리콥터 부모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장성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나희 (2010). 어머니의 인성특성 및 유아의 기질과 과보호.통제적 양육행동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나희, 박보경, 도현심 (2012). 어머니의 인성특성 및 유아의 기질과 과보호 및 통제적 양육행동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3), 151-163. https://doi.org/10.7466/JKHMA.2012.30.3.151
  7. 김린 (2017). 어머니의 침해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숙달 동기에 미치는 영향: 기질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미연 (2019). 유아기질-어머니요구도 조화적합성과 어머니 양육행동 간의 관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민정, 도현심, 신나나, 최미경 (2013).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영향. 아동학회지, 34(2), 101-119. https://doi.org/10.5723/KJCS.2013.34.2.101
  10. 김성희, 정옥분 (2011).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과보호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관계: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8(3), 69-92.
  11. 김은영 (2013). 영유아기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양육죄책감 및 아버지의 양육지원.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재희 (2020). 어머니의 한계설정과 과보호/허용 양육이 유아의 외현화 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우울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3), 99-117.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3.099
  13. 김정택, 신동균 (1978). STAI의 한국표준화에 관한 연구. 최신의학, 21(11), 69-75.
  14. 김지연, 오경자 (2011). 부모의 과보호가 성인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0(3), 647-661. https://doi.org/10.15842/kjcp.2011.30.3.002
  15. 김춘경 (2000). 부모의 과잉보호가 아동의 성격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인심리학적 분석. 놀이치료연구, 4(1), 35-49.
  16. 류정민, 신나나 (2018). 취업모의 분리불안, 직업만족도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분리불안에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1), 1-20. https://doi.org/10.14698/jkcce.2018.14.01.001
  17. 박성연, 전춘애, 한세영 (1996).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4), 203-215.
  18. 박성연, 케네스 루빈 (2008). 걸음마기 아동의 성, 기질 및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영향. 아동학회지, 29(2), 109-125.
  19. 박아청 (1998). 과보호의 발달심리학적 의미에 대한 일고찰. 인간발달연구, 5(1), 53-73.
  20. 소언주, 도현심 (2001). 어머니의 분리불안: 어머니의 특성, 아동의 초기 기질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9(11), 209-222.
  21. 송지은, 신나리 (2023). 유아의 유능감이 숙달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 과보호의 조절효과: 유아의 기질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9(2), 21-42. https://doi.org/10.14698/jkcce.2023.19.02.021
  22. 신혜린 (2012). 어머니 특질불안이 어머니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양명재, 방희정 (2014). 유아의 수줍음, 인지능력,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아의 위축 및 불안.우울간의 관계: 양육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30(4), 363-386.
  24. 위지희, 채규만 (2015). 양육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지, 34(4), 945-970. https://doi.org/10.15842/kjcp.2015.34.4.005
  25. 이경숙 (1997). 어머니의 특성불안과 자녀교육관이 부정적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연실 (2017).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가 지각한 우울과 불안 성향이 자녀 양육유형에 미치는영향. 한국자치행정학보, 31(4), 309-334. https://doi.org/10.18398/kjlgas.2017.31.4.309
  27. 이정순 (2010). 부부관계가 어머니와 유아의 행동 및 유아의 정서불안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4(3), 37-56.
  28. 이정희, 한세영 (2019). 어머니의 자기분화, 어머니의 분리불안 및 과보호 양육행동이 유아의 분리불안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40(6), 31-47. https://doi.org/10.5723/kjcs.2019.40.6.31
  29. 이종표, 김리진 (2019). 아동이 지각한 부.모 과보호가 아동의 내현적 자기애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지지의 조절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2(4), 425-443. http://doi.org/10.17641/KAPT.22.4.4
  30. 이지현 (2021). 유아의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도와 과보호 및 자율성지지 양육행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임선아 (2019). 모가 지각하는 부부갈등이 우울감을 매개하여 영유아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종단 관계 검증. 한국영유아보육학, 117, 51-71. https://doi.org/10.37918/kce.2019.07.117.51
  32. 임희수, 박성연 (1994). 첫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관련변인. 아동학회지, 15(2), 153-168.
  33. 장유진 (2016). 어머니의 불안, 심리적 통제 양육과 성취관심이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에 미치는영향: 과제수행 효능감의 매개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정영선, 박경자 (2021).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42(3), 359-370. https://doi.org/10.5723/kjcs.2021.42.3.359
  35. 정은영, 장성숙 (2008). 청소년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과보호 척도 개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요인분석 결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293-312.
  36. 정익중 (2012). 방임, 과보호, 사교육이 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2(4), 255-278. https://doi.org/10.18023/KJECE.2012.32.4.012
  37. 조윤영 (2014). 걸음마기 아동의 기질 및 어머니의 기질 요구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조혜주 (2003). 고령출산모의 양육행동과 자녀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천희영 (1993).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능력. 아동학회지, 14(2), 17-34.
  40. 허묘연 (2004).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지, 12(2), 170-189.
  41. 허태희 (2008). 기질과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홍민지 (2018). 어머니 특성불안과 청소년 사회불안 관계에서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 과보호의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홍순옥, 문명순 (2007). 사회경제적 지위가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기질에 미치는 영향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질과의 관계. 아동교육, 16(2), 57-70.
  44.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412. https://doi.org/10.1207/s15374424jccp 2104_12
  45.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s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6.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https://doi.org/10.2307/1129836
  47. Berns, R. M. (2016). Child, family, school, community: Socialization and support (10th ed). Cengage Learning.
  48. Buss, K. A., Zhou, A. M., & Trainer, A. (2021). Bidirectional effects of toddler temperament and maternal overprotection on maternal and child anxiety symptoms across preschool. Depression & Anxiety, 38(12), 1201-1210. https://doi.org/10.1002/da.23199
  49. Clark, A.L., Kochanska, G., & Ready, R. (2000). Mothers' personality and its interaction with child temperament as predictors of parenting behaviou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2), 274-285. https://doi.org/10.1037/0022-3514.79.2.274
  50. Coplan, R. J., Arbeau, K. A., & Armer, M. (2008). Don't fret, be supportive! Maternal characteristics linking child shyness to psychosocial and school adjustment in kindergarte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6, 359-371. https://doi.org/10.1007/s10802-007-9183-7
  51. Coplan, R. J., Rachel, M., & Rowan, K. (2009). Exploring the associations between maternal personality, child temperament, and parenting: A focus on emotion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6(2), 241-246. https://doi.org/10.1016/j.paid.2008.10.011
  52. Crockenberg, S. B. (1986). Are temperamental differences in babies associated with predictable differences in care-giving?.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31, 53-73. https://doi.org/10.1002/cd.23219863105
  53. Doh, H. S., & Falbo, T. (1999). Social competence, maternal attentiveness, and overprotectiveness: Only children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3(1), 149-162. https://doi.org/10.1080/016502599384044
  54.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2nd ed.). Norton.
  55. Erikson, E. H.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orton.
  56. Kalomiris, A. E., & Kiel, E. J. (2016). Maternal anxiety and physiological reactivity as mechanisms to explain overprotective primiparous parenting behavior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30(7), 791-801. https://doi.org/10.1037/fam0000237
  57. Kiel, E. J., & Buss, K. A. (2013). Toddler inhibited temperament, maternal cortisol reactivity and embarrassment, and intrusive parenting.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7(3), 512-517. https://doi.org/10.1037/a0032892
  58. Kwon, K, A., Yoo, G., & De Gagne, J. C. (2017). Does culture matter? a qualitative inquiry of helicopter parenting in Korean Americ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6, 1979-1990. https://doi.org/10.1007/s10826-017-0694-8
  59. Lee, C. L. & Bates, J. E. (1985). Mother-Child interaction at age two years and perceived difficult temperament. Child development, 56(5), 1314-1325. https://doi.org/10.2307/1130246
  60. Lerner J. V., & Galambos, N. L. (1985). Mother role satisfaction, mot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 temperament: A process model. Developmental Psychology, 21(6), 1157-1164. https://doi.org/10.1037/0012-1649.21.6.1157
  61. Lerner, J. V. (1993). The influence of child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on parent behaviors. In T. Luster & L. Okagaki (Eds.),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pp. 101-120).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62. Levy, D. M. (1966). Maternal overprotection. W. W. Norton & Company, Inc. (Original work published 1943)
  63. Levy, D. M. (1970). The concept of maternal overprotection. In E. J. Anthony & T. Benedek (Eds.), Parenthood: Its psychology and psychopathology (pp. 387-409). Little, Brown.
  64. Lindhout, I., Markus, M., Hoogendijk, T., Borst, S., Maingay, R., Spinhoven, P. et al. (2006). Childrearing style of anxiety-disordered parents.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37, 89-102. https://doi.org/10.1007/s10578-006-0022-9
  65. Mcdevitt, S. C., & Carey, W. B. (1978). The measurement of temperament in 3-7 year old children. Th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19(3), 245-253. https://doi.org/10.1111/j.1469-7610.1978.tb00467.x
  66. McShane, K. E., & Hastings, P. D. (2009). The new friends vignettes: Measuring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that confers risk for anxious adjustment in preschooler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3(6), 481-495. https://doi.org/10.1177/0165025409103874
  67. Parker, G. (1983). Parental overprotection: A risk factor in psychosocial development. Grune & Stratton.
  68. Rinaldi, C. M., & Howe, N. (2012). Mothers' and fathers' parenting styles and associations with toddlers' externalizing, internalizing, and adaptive behavio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7(2), 266-273. https://doi.org/10.1016/j.ecresq.2011.08.001
  69. Rubin, K. H., Colpan, R. J., Bowker, J. C., & Menzer, M. (2010). Social withdrawal and shyness. In P. K. Smith & C. H. Hart (Eds.), Handbook of childhood and social development (pp. 434-454). Blackwell.
  70. Sanson, A., Hemphill, S. A., & Smart, D. (2004). Connections between temperament and social development: A review. Social Development, 13(1), 142-170. https://doi.org/10.1046/j.1467-9507.2004.00261.x
  71. Spielberger, C. D. (1972),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Academic Press
  72. Symonds, P. M. (1939). The psychology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Appleton.
  73.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Brunner/ Mazel.
  74. Thomasgard, M., & Metz, W. P. (1993). Parental overprotection revisited.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24(2), 67-80. https://doi.org/10.1007/BF02367260
  75. Wood, J. J. (2006). Parental intrusiveness and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in a clinical sample.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37, 73-87. https://doi.org/10.1007/s10578-006-002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