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Look into Korean Medicine During Japanese Occupation Based on Major Joseoneo Dictionaries

주요 조선어사전을 중심으로 살펴본 일제강점기 한의학

  • Yoon Eunkyung (Dept. of Korean Medical Classics,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Kim Jong-hyun (Dept. of Korean Medical Classics &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Gachon University)
  • 尹銀卿 (慶熙大學校 韓醫科大學 原典學敎室) ;
  • 金鍾鉉 (嘉泉大學校 韓醫科大學 原典醫史學敎室)
  • Received : 2023.07.27
  • Accepted : 2023.07.31
  • Published : 2023.08.25

Abstract

Objectives : To examine changes in Korean Medicine during Japanese occupation through major Joseoneo dictionaries. Methods : Based on the Keun Sajeon, published in 1957 by the Korean Language Society, the most recently published among the major dictionaries under Japanese occupation, key Korean Medical terminology in the Joseoneo Sajeon, published in 1920 by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and the Joseoneo Sajeon, published in 1938 by Mun Seyeong were analyzed. The differences among the dictionaries provided insight into the situation which Korean Medicine was in. Results : 1) There was a lack of consistency among Korean Medical terminology. 2) Changes in medical policies and legislation were reflected in the Korean Medical terminology without much delay. 3) Korean Medicine was distinguished as a separate category in the Keun Sajeon for the first time. 4) With the exception of Korean Medicine specific terminology, most were explained using 'modern' concepts and ontology. Conclusions : Modernization lead by the Japanese splintered many areas of Joseon society, and Korean Medicine was no exception. This transition period as reflected in the terminology within the Joseoneo dictionaries show that Korean Medicine went through a process of regulation by changes in medical policies and legislation, while new, modern studies brought in by the Japanese started replacing language and ontology of pre-occupation Joseon. A look into Korean Medicine during Japanese occupation through Joseoneo dictionaries allows us to examine the connection between Korean Medicine and the more broader historical context in which it was situated.

Keywords

References

  1. 강연석 외. 의사학. 경기도 고양시. 대성의학사. 2023.
  2. 김민수. 「말모이」의 편찬에 대하여. 동양학. 13. 1983.
  3. 김종현, 안진희. 脚氣에 대한 考察 -Beriberi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4(4). 2021. DOI: 10.14369/jkmc.2021.34.4.137
  4. 김한샘. 국어사전(말모이)의 탄생과 발전. 나라사랑. 128. 2019.
  5. 都鎭羽. 東西醫學要義(再版). 京城. 漢城圖書誅式會社. 1925.
  6. 동양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동양의학대사전 (6).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1999.
  7. 李元世 編著, 素問學會 新編. 醫鑑重磨百病總括. 서울. 대성의학사. 2001.
  8. 李允宰. 朝鮮語辭典 編纂은 어떻게 進行되는가?. 한글. 31. 1936.
  9. 文世榮 著. 朝鮮語辭典. 京城. 博文書館. 1938.
  10. 박영원. 일제하 조선 한의계와 한의학의 식민지적 근대.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1. 박용규. 문세영 「조선어사전」의 편찬 과정과 국어사전사적 의미. 동방학지. 154. 2011.
  12. 박윤재. 일제의 한의학 정책과 조선 지배. 의사학. 17(32). 2008.
  13. 박윤재. 한국 근대의학의 기원. 서울. 도서출판 혜안. 2005.
  14. 박지현. 식민지기 醫生 제도와 정책의 운영 - 「醫療關係法製例規綴」 중 의생 관련 조선총독부 공문서를 중심으로. 大東文化硏究. 106. 2019. DOI: 10.18219/ddmh..106.201906.317
  15. 박훈평. 물명류 문헌에 수록된 의약 어휘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재물보를 중심으로. 한국의사학회지. 33(2). 2020. DOI: 10.15521/jkmh.2020.33.2.037
  16. 방종현. 朝鮮語辭典의 年代記. 박문. 1. 1938.
  17. 백유상. 趙憲泳의 생애와 醫學思想.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2(3). 2019. DOI: 10.14369/jkmc.2019.32.3.103
  18. 서홍관. 의학용어의 변화-조선의보(1934~6)와 대한의학협회지(1985)에 나타난 질병명을 중심으로. 의사학. 2(1). 1993.
  19. 신규환. 해방 전후기 의료계의 의학인식과 사립병원의 발전 : 재단법인 백병원을 중심으로. 의료사회사연구. 1. 2018. DOI: https://doi.org/10.32365/kashm.2018.1.3
  20. 신동원. 1910년대 일제의 보건의료 정책 -한의학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문화. 30. 2002.
  21. 안예리. 조선총독부 편 「조선어사전」의 편찬 경위-'조선사서원고'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전학. 30. 2017. DOI: 10.33641/kolex.2017..30.67
  22. 여인석 외 3인. 한국의사면허제도의 정착과정. 의사학. 11(2). 2002.
  23.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한의학, 식민지를 앓다. 서울. 아카넷. pp.120-134.
  24. 李德鳳. 朝鮮産植物의 朝鮮名考. 한글. 제41호. 1937.
  25. 이병근. 최초의 국어사전 「말모이」(稿本) 《알기》를 중심으로. 언어. 2(1). 1977.
  26. 전국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편. 難經. 서울. 법인문화사. 2010.
  27. 정인승 외 4인. 1970. "큰 사전" 편찬을 마치고. 한글. 122. 1957.
  28. 조선어학회. 조선 말 큰사전(1). 서울. 을유문화사. 1947.
  29. 조선어학회. 조선 말 큰사전(2). 서울. 을유문화사. 1949.
  30. 朝鮮總督府 編. 朝鮮語辭典. 京城. 朝鮮總督府. 1920.
  31. 趙芝薰. 趙芝熏全集4. 서울. 一志社. 1973.
  32. 趙憲泳. 小異를 버리고 한글 統一案을 支持하자. 한글. 3(5). 1935.
  33. 趙憲泳. 通俗漢醫學原論. 서울. 學林社. 1990.
  34. 최은경. 개항 후 서양의학 도입과 '결핵' 용어의 변천. 의사학. 21(2). 2012.
  35. 彭懷仁 主編. 中醫方劑大辭典.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7.
  36. 한글학회 50돌 기념사업회. 한글학회50년사. 서울. 한글학회. 1971.
  37. 한글학회. ('조선어 학회 수난' 50돌 글모이) 얼음장 밑에서도 물은 흘러. 서울. 한글학회. 1993.
  38. 한글학회. 朝鮮語文硏究優良書籍. 한글. 82. 1940.
  39. 한글학회. 큰 사전(3). 서울. 을유문화사. 1950.
  40. 한글학회. 큰 사전(4~6). 서울. 을유문화사. 1957.
  41. 한글학회. 한글학회 100년사. 한글학회. 2009.
  42. 허재영. 국어사전 편찬 연구사. 한국사전학. 13. 2009. DOI: 10.33641/kolex.2009..13.286
  43. 황용주. 문세영의 수정증보 조선어사전의 계량적 분석 연구. 한국사전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4.
  44. 황지혜, 김남일. 일제강점기 매약을 통해 본 한약의 제형 변화와 새로운 한약 처방의 경향성에 대한 고찰.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2020. 33(1). DOI: 10.15521/jkmh.2020.33.1.099
  45. John Considine. Adventuring in Dictionaries: New Studies in the History of Lexicography. Newcastle upon Tyn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0.
  46. 東亞日報. 1938년 7월 13일 사설. 「조선어 사전의 출래」
  47. 朝鮮總督府官報. 朝鮮總督官房總務局.
  48. 皇城新聞. 1903년 8월 29일 기사. 「勸告醫學硏究之必要」.
  49.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