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cent and Oleic Acid of Different Part of Horse and Beef Meat

말고기와 쇠고기의 부위별 향기와 올레산 비교 분석 연구

  • Jin Soo Youk (Department of Food & Beverage Management, Hanyang Women's University) ;
  • Chang Soo Kang (Major of Agricultural and fisheries process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 Yong Soo Park (Major of Horse Industry processing,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육진수 (한양여자대학교 외식산업과) ;
  • 강창수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농수산융합학부) ;
  • 박용수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축산학부)
  • Received : 2023.06.08
  • Accepted : 2023.07.19
  • Published : 2023.07.25

Abstract

Horse meat is a low-fat and high-protein food with more essential amino acids and less fat than other meat, but the horse meat has not been popularized in Korea due to stereotypes about horse meat. In this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of horse meat and beef was conducted using electronic nose device and gas chromatography, and as a resul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ent. However, the oleic acid content of beef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orse meat(p<0.05).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popularizing horse meat processed products in the domestic meat processing market is expected to be sufficient.

본 연구에서는 E-nose 장비를 이용한 말고기와 소고기의 부위별 향기 특성을 확인하고, GC 분석을 통한 각 시료의 올레산 함량을 비교하여, 영양학적으로 높은 가치가 있으나 소비가 저조한 말고기 소비 시장에 대한 마육 가공식품의 대중화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E-nose 분석 결과 말고기와 소고기의 향기의 종류에는 크게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부위별로 향기의 피크 최대치의 차이가 있어 향의 진하기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GC 분석 결과, 올레산 함량은 소고기가 높은 경향이었고, 말고기에서도 부위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말의 부위별 차이에 대하여 향후 소와 말의 동일 부위별 지방산 비교 및 각 개체의 부위 간의 지방산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에서 소고기와 말고기의 육향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비육마 가공식품은 소비자의 인식 변화 및 공급 유통망이 확보되면 제품 대중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도희, 김경원, 김영훈, 김주아, 김준, 문광덕, 2015, 백색육(오리고기, 닭고기)과 말고기의 식품학적 성분 비교, Korean J. Food Preserv. 22(5), 644-651 https://doi.org/10.11002/kjfp.2015.22.5.644
  2. 김문영, 2011, 기존 축산업의 대체 산업으로써 말(馬)산업 육성의 타당성 여부 고찰, 동서언론, 14(), 39-71.
  3. 김영규, 2012, 구제역 발생이 육류 시장의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4. 노경상, 이상철, 이종언, 천현식, 전상준, 2015, 말고기 등급화 규정정립에 관현 연구. (사)한국축산경제연구원 최종보고서
  5. 민윤숙, 2009, 제주도 말고기 식용 전통과 말고기 식용부정(不淨) 관념 분석, 민속학연구, 24: 171-196 https://doi.org/10.35638/kjfs..24.200906.008
  6. 박행철, 2015, 말근육 부위별 근섬유 특성 및 등급판정에 따른 육질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대학원
  7. 성필남, 이종언, 오운용, 고문석, 박범영, 2004, 숙성기간이 말고기 등심근의 육질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식품학회, pp.263 - 265
  8. 성필남, 이종언, 김진형, 박범영, 하경희, 고문석, 2006, 말고기 대체수준이 유화형 소시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J. Anim. Sci. & Technol. (Kor.) 48(5) 739~746 https://doi.org/10.5187/JAST.2006.48.5.739
  9. 성필남, 이종언, 오운용, 박범영, 2008, 말고기 함량에 따른 유화형 소시지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8(1):9-13 https://doi.org/10.5851/kosfa.2008.28.1.9
  10. 오유나, 2018, 말산업 육성법 고찰을 통한 말고기 시장 활성화 방안, 국내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11. 전성원, 최승철, 신용광, 2015, 말고기에 대한 소비자 수요와 지불의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4489-4497.
  12. 정진형, 선창완, 황도연, 권기문, 이재청, 김효선, 김용준, 이상근, 류연철, 2013, 축산물 및 가공 : 말고기의 육질 등급에 따른 부위별 일반성분, 이화학적 특성 및 지방산 성분 비교, 한국축산학회지, pp. 211-217.
  13. 주나미, 신현수, 정은경, 이희정, 이태남, 강은실, 나유리, 강진아, 2019, 마육 페이스트 제품개발 및 실버푸드로서의 활용방안 모색, 숙명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14. 농촌진흥청, 국가표준식품성분표, 2022
  15. 식품공전, 식품의 기준 및 규격 제 2022-76호, 2022
  16. 한국마사회, 2022년 말산업 통계, 2023
  17. Badiani, A.; Manfredini, M. The production of horsemeat. J. Anim. Feed Sci 1994, 20, 5-43.
  18. Borowski, J.; Rotkiewicz, W.; Tomczynski, R. The effect of feeding and heat treatment on the changes in horsemeat. Acta Acad. Agric. Tech. Olst. Technol. Alimentorum. 1994, 26, 55-62. (In Polish)
  19. Domaradzki, P.; Skalecki, P.; Florek, M.; Litwinczuk, A. Effect of freezing storage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acuum-packed beef. Zywn. Nauka Techn. Jakosc 2011, 4, 117-126. (In Polish)
  20. Kondratowicz, J. Effect of natural fat addition on changes in the weight and sensory quality of horsemeat frozen according to different methods. Nat. Sci. 2001, 8, 183-192.
  21. Kondratowicz, J. Technological possibilities of affecting the quality of frozen horsemeat. Chlodnictwo 2006, XLI, 80-81. (In Polish)
  22. Lawrence, T.E.; Dikeman, M.E.; Hunt, M.C.; Kastner, C.L.; Johnson, D.E. Effect of calcium salts on beef longissimus quality. Meat Sci. 2003, 64, 299-308. https://doi.org/10.1016/S0309-1740(02)00201-2
  23. Lee. J. W, and Kim. S. M, 2008, Development of a Portable Electronic Nose System (I), J. Biosystems Engineering 33(5): 333-339 https://doi.org/10.5307/JBE.2008.33.5.333
  24. Makala, H. The use of horsemeat in Poland and in the world. Gospod. Miesna 2007, 11, 16-18. https://doi.org/10.58680/tp20075969
  25. Ostoja, H.; Cierach, M. Effect of calcium salts treatment on structure of beef. Acta Agrophys. 2008, 11, 465-474. (In Polish)
  26. Renata s, Mariuz R, Stanislaw R. The quality of horsemeat and selected methods of improving the properties of this raw material. Processes. 2021. 9(9), 1672
  27. Sholpan, A.; Berdan, R.; Talgat, K.; Lyazzat, B.; Yasin, U. Study of qualitative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horse meat. J. Pharm. Nutr. Sci. 2019, 9, 1-6. https://doi.org/10.29169/1927-5951.2019.09.01.1
  28. Stanislawczyk, R.; Rudy, M.; Gil, M. The influence of calcium chloride on the quality of horse meat. Postepy Nauki i Technologii Przemyslu Rolno-Spozywczego 2018, 73, 44-53. (In Polish)
  29. http://koreanfood.rda.go.kr/kfi/fct/fctFoodSrch/list?menuId=PS03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