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gration Scheme for Agricultural Governance of South and North Korea After Unification

통일 이후 남북한 농업관리조직 통합방안

  • Youn Sang Choi (Division of International Studies, Daejin University) ;
  • Yong Kwang Shin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Converge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 최윤상 (대진대학교 국제학부) ;
  • 신용광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농수산융합학부)
  • Received : 2023.05.15
  • Accepted : 2023.06.28
  • Published : 2023.07.25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integration scheme for agricultural governance of South and North Korea after unifi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ir current agricultural governance, assuming drastic changes of economic system in integration process after unification. The North Korea's critical food shortage will force reformation of its agricultural governance to be the top priority in integration process after unification. The agricultural governance of South and North Korea has comparable structures. However, the North Korea's agricultural governance is extremely inefficient because it is established for political purposes. The integration scheme suggested includes expansion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tegration of research institutes, establishment of branch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transformation of existing North Korea's organization into South Korea's system and preparation of training programs for North Korea's officials.

Keywords

References

  1. 고일동. 1998. 사회주의 체제전환의 사례분석 : 구동독의 체제전환. 한국개발연구원.
  2. 권영경. 2004. 5. 북한경제의 현황과 개혁.개방 전망. 북한 이해. 통일부.
  3. 권태진. 2004. 북한 농업의 발전 방안. 북한의 농업.농촌 진흥 방안 세미나 자료. 북한농업연구회.
  4. 권태진, 김영훈, 지인배. 2007. 남북한 농업개발 협력 추진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 김경량 외. 1996. 남북한 체제통합에 대비한 농수산물 유통정책의 기초연구. 강원대학교. 농촌개발연구소.
  6. 김경량 외. 1998. 통일에 따른 독일 농업의 재편과 전망. 국제농업개발학회지 제5권 제1호.
  7. 김계환. 2008. 독일 통일과 산업구조조정:남북산업협력에 대한 시사점. 산업연구원.
  8. 김규철. 2021. 북한의 식량가격 결정요인 연구. 한국개발연구원.
  9. 김운근. 2000. 북한의 농업기반 실태와 농업개발 협력 방안. 농촌경제 제23권 제2호.
  10. 배진영. 1992. 통독 1년의 경제적 평가와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정책연구 92-03.
  11. 양철운. 2009. 북한 시장의 변화와 최근 동향. KPI 칼럼.
  12. 이일영. 2004. 북한 농업개혁의 현황과 전망. 통일교육원.
  13. 이은웅 외. 1997. 남북한 농업기술연구.지도체제의 통합과 발전방향에 관한연구. 농촌진흥청.
  14. 전창곤, 김운근. 1998. 북한의 농산물 유통실태와 통일 이후 새로운 유통체계 구축 방향. 농촌경제 제21권 제1호.
  15. 조명철 외. 2002. 북한의 농업 부문과 연관 부문의 연계시스템 운영실태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6. 조선농업 과학원. 1992.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농업과학원.
  17. 주영희 외. 1996. 통독과정의 농업연구.지도체제 통합. 국제농업개발학회지 8(2).
  18. 최수영. 2002. 북한 농업의 개발전략과 남북한 농업 협력. 통일연구원.
  19. 통일부, 1999. 북한개요 2000.
  20. USDA Economic Research Service. 2022. International food security assessment. 2022-32.
  21. FAO/WFP. 2019. Joint Rapid Food Security Assessment -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