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교육평등을 위한 수학 교수법: 저소득층 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대한 다양성 수용 수업의 효과와 교사-학생 관계의 매개효과 분석

Teaching mathematics for equity: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diversity-inclusive instru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of Korean students with a low economic status

  • 투고 : 2023.02.28
  • 심사 : 2023.06.02
  • 발행 : 2023.06.30

초록

팬데믹 이후 '평등'이 사회적 화두로 다시금 제기되면서 교육평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교육평등 실행 방안의 탐색을 위해 PISA2012 자료를 활용하여 다양성 수용수업이 저소득층 학생들의 수학성취도에 주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다양성 수용 수업은 저소득층 학생들의 수학성취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다양성 수용 수업이 교사-학생 관계를 매개로 하여 저소득층 학생의 수학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학생의 다양성을 수용하고 교사가 학생과 지속적 돌봄의 관계를 형성하며 학생의 잠재력을 개발하는 교수법이 저소득층 학생의 교육적 취약성을 보완하여 수학성취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찾을 수 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성 수용 수업의 효과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다양한 취약 집단 학생의 수학성취도 분석으로 확장함으로써 다양성 수용 수업이 교육 평등 실행 방안으로서 갖는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교육평등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is paper, we sought for instructional methods to guarantee equitable access to successful mathematics learning for students with a low economic status. For the purpose, we analyzed the PISA2012 data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versity-inclusive instruction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n mathematics achievement of Korean students with a low economic statu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iversity-inclusive instruction and the mathematics achievement of the students. In addition, it indicat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inclusive instruction and the mathematics achievement of the students. Further analysis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ffect of diversity-inclusive instruction on the achievement of students from deprived backgrounds.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s instruction to guarantee educational equity for all student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제1저자의 2021년 석사학위 논문 일부를 재구성하였으며, 본 연구의 모든 과정에서 헌신적인 지도와 자문을 해주신 한양대학교 함승환 교수님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참고문헌

  1. 고상숙(2013). 수학 학습 성취도에서 나타난 다문화, 탈북, 저소득층 학생들의 학습부진 특성. 학습장애연구, 10(2), 1-26.
  2. 구자옥, 김성숙, 임해미, 박혜영, 한정아(2015). OECD 국제 수학성취도 평가 연구: PISA2012 상위국 성취특성 및 교육맥락변인 영향력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RRE 2015-6-1).
  3. 김경식, 권민석(2007). 교육소외 계층 실태 분석 및 지원모형 탐색. 교육학논총, 28(1), 27-47.
  4. 김근진, 이현철(2015). 교사-학생관계의 변화가 중학생의 수학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패널자료분석(panel data anlysis)을 사용하여. 교사교육연구, 54(1), 59-73. https://doi.org/10.15812/TER.54.1.201503.59
  5. 김두섭, 강남준(2008). 회귀분석: 기초와 응용. (개정판). 나남.
  6. 김민성, 신택수(2010). 중학생이 지각한 학교의 심리적 환경과 자기결정성, 학습노력, 학업성취, 학교만족도의 인과관계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1(3), 43-70. https://doi.org/10.15753/AJE.2010.11.3.003003
  7. 김민정(2016). 사회경제적 취약성이 자녀의 학업성취에 이르는 경로모형: 양육방식과 또래 및 교사관계, 개인 학습요인의 매개효과와 학교급의 조절효과. 학교사회복지, 36, 201-232.
  8. 김병욱, 이현진(2018). 교육에서의 평등과 정의개념의 비판적 고찰. 한국교육문제연구, 36(3), 197-219.
  9. 김애화, 신동희, 고상숙(2010). 저소득층 학생, 학부모, 저소득층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의 수학과 과학교수에 대한 인식. 한국교육, 37(2), 57-87. https://doi.org/10.22804/JKE.2010.37.2.003
  10. 김종백, 김남희(2014). 교사와 학생이 지각한 학생-교사 관계의 변화가 학생의 학교 행복과 수업참여를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12), 285-315.
  11. 김종백, 김준엽(2014). 교사와 학생의 교사-학생 관계 지각이 학생의 수업 이해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직무 만족과 학생의 또래 및 부모 신뢰를 배경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1(3), 245-267. https://doi.org/10.24211/TJKTE.2014.31.3.245
  12. 류방란, 김성식(2017). 저소득층 학생의 학교적응, 수업 태도, 학업성취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영향 분석. 한국교육, 44(3), 95-122. https://doi.org/10.22804/JKE.2017.44.3.003
  13. 문아람, 이윤환(2018). 저소득층 아동, 청소년 교육복지정책 발전방안. 디지털융복합연구, 16(3), 333-344. https://doi.org/10.14400/JDC.2018.16.3.333
  14. 박소혜(1995). 초등학교 아동의 가정환경과 학교생활 적응 및 만족도의 관계. 교육논총, 24, 203-227.
  15. 배병렬(2015). SPSS/Amos/LISREL/SmartPLS에 의한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분석. 청람.
  16. 성열관, 김정숙(2014). '가난하지만 성실한' 고등학생들 연구: 빈곤 청소년의 학교적응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41(2), 33-56. https://doi.org/10.22804/JKE.2014.41.2.002
  17. 송륜진, 노선숙, 주미경(2011).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다문화수학교실의 수업실태 분석. 학교수학, 13(1), 37-63.
  18.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2013). OECD 국제 수학성취도 평가 연구: PISA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RRE 2013-6-1).
  19. 이바름, 정문성(2011). 협동학습이 다문화태도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 2(3), 107-132.
  20. 이혜정, 박진아, 남미자(2017). 빈곤, '공부' 그리고 학교 :빈곤층 중학생의 경험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7(2), 101-140. https://doi.org/10.32465/KSOCIO.2017.27.2.004
  21. 임시혁(2017). SPSS와 G*Power를 활용한 통계자료분석의 이해와 적용. 아카데미프레스..
  22. 주주자(2013). 교육평등 실현을 위한 다문화 교육에서의 차별화 수업. 법과인권교육연구, 6(2), 133-163.
  23. 한용진(2010). 세계화 3.0 시대의 교육론. 교육정치학 연구, 17(4), 203-216.
  24. 홍사훈, 김수정, 박소영, Rhee, G.(2018). 취약계층학생의 수학과 학습부진 유형 연구 :잠재프로파일 전이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2), 155-177.
  25. Ahmed, N., Marriott, A., Dabi, N., Lowthers, M., Lawson, M., & Mugehera, L. (2022). Inequality kills: The unparalleled action needed to combat unprecedented inequality in the wake of COVID-19. Oxfam International.
  26. Armstrong, F. (2010). Inclusive education: school cultures, teaching and learning. In Teaching and learning in diverse and inclusive classrooms (pp. 19-30). Routledge.
  27. Askew, M. (2015). Diversity, inclusion and equity in mathematics classrooms: From individual problems to collective possibility. In Diversity in mathematics education (pp. 129-145). Springer, Cham.
  28. Banks. J. A. (2008).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4th ed.) MA: Allyn and Bacon Inc.
  29. Bennett, C. I.(2007).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6th Ed.). Boston: Pearson Education Inc.
  30. Chancel, L., Piketty, T., Saez, E., & Zucman, G. (2022). World inequality report 2022. Paris: World Inequality Lab.
  31. Crosnoe, R., Johnson, M. K., & Elder Jr, G. H. (2004). Intergenerational bonding in school: The behavioral and contextual correlates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Sociology of education, 77(1), 60-81. https://doi.org/10.1177/003804070407700103
  32. Freedman, T. (2007). The world is flat: A brief history of the twenty-first century (3rd ed.). New York, NY: Picador.
  33. Gollnick, D. M., & Chinn, P. C. (2006).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pluralistic society(7th Ed.). NJ: Pearson/Merrill Prentice Hall.
  34. Grant, C. A., & Sleeter, C. E. (2003). Turning on Leraning(3rd Eds.). NY: John Wiley & Sons Inc.
  35. Kollosche, D., Marcone, R., Knigge, M., Penteado, M. G., & Skovsmose, O. (Eds.). (2019). Inclusive mathematics education: state-of-the-art research from Brazil and Germany. Springer.
  36. Lee, J. S. (2012). The effects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academic press on student engage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International J 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3, 330-340. https://doi.org/10.1016/j.ijer.2012.04.006
  37. Leonard, J.(2008). Culturally specific pedagogy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NY:Routledge.
  38. Muller, C. (2001). The role of caring i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for at-risk students. Sociological inquiry, 71(2), 241-255. https://doi.org/10.1111/j.1475-682X.2001.tb01110.x
  39. Nilholm, C., & Alm, B. (2010). An inclusive classroom? A case study of inclusiveness, teacher strategies, and children's experiences. European journal of special needs education, 25(3), 239-252. https://doi.org/10.1080/08856257.2010.492933
  40. OECD (2013), PISA2012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Mathematics, Reading, Science, Problem Solving and Financial Literacy. OECD Publishing. http://dx.doi.org/10.1787/9789264190511-en
  41. Ruijs, N. M., & Peetsma, T. T. (2009). Effects of inclusion on students with and without special educational needs reviewed. Educational Research Review, 4(2), 67-79. https://doi.org/10.1016/j.edurev.2009.02.002
  42. Sleeter, C. E., & Grant, C. A. (2009).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ive approaches to race, class and gender(6th Ed.). NY: John Wiley & Sons Inc.
  43. Tomlinson, C. A.(2014). The differentiated classroom: Responding to the needs of all learners (2nd Ed.). Ascd.
  44. Traynor,A., & Raykov,T. (2013). Household possessions indices as wealth measures: A validity evaluation. Comparative Education Review, 57(4), 662-688. https://doi.org/10.1086/671423
  45. Tucker, B. F., & Singleton, A. H., Weaver, T. L. (2006). Teaching mathematics to all children: Designing and adapting instruction to meet the needs of diverse learners. Prentice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