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VLink 프로토콜 기반 드론 교란 신호 생성 및 송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Drone Jamming Signals Based on the MAVLink Protocol

  • 이우진 (한화시스템(주) 기반기술연구소) ;
  • 임창한 (한화시스템(주) 기반기술연구소) ;
  • 이재연 (한화시스템(주) 기반기술연구소)
  • 투고 : 2023.04.17
  • 심사 : 2023.05.16
  • 발행 : 2023.06.30

초록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북한의 대남 정찰, 육군 Army Tiger 4.0의 드론봇체계 등 군사용 목적으로 드론의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각 국에서는 이에 따른 안티드론 기술이 많이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재래식 무기 또는 전자전 무기를 활용하는 형태의 전통적인 안티드론 기술들은 비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 현재는 저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는 안티드론 기술도 새롭게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안티드론 기술에 대응하여 아군의 생존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도 많이 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안티드론 기술들 중 비용이 비싼 재래식 무기 또는 전자전 무기를 활용한 기술이 아닌 저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는 사이버영역과 전자전영역 기술이 적용된 가상의 대 드론 체계를 가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아군 드론의 생존성을 높일 수있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ly, as the use of drones for military purposes is increasing, such as the Russia-Ukraine War, North Korea's reconnaissance against South Korea, and Army Tiger 4.0's dronebot system, anti-drone technology is developing a lot in each country. However, traditional anti-drone technologies in the form of using conventional weapons or electronic warfare weapons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expensive, so anti-drone technologies that can be performed at low cost are currently being newly researched. Therfore, in response to these anti-drone technologies, many efforts are being made to increase the survivability of our allies. In line with this trend, this study assumes a virtual anti-drone system applied with cyber domain and electronic warfare domain technologies that can be performed at low cost, rather than a technique using expensive conventional weapons or electronic warfare weapons among various anti-drone technologies. In response to this, we would like to present a plan to increase the survivability of friendly drones.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2023년 정부(방위사업청)의 재원으로 국방과학연구소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미래도전국방기술 연구개발사업임(No. 915024201).

참고문헌

  1. 정지훈, "드론의 발전현황과 향후 시장전망", 광학세계, 제158권, pp.40-47, 2015.
  2. 이건영, "드론, 우리 곁으로 성큼 다가온다.", 전기의 세계, 제65권, 제1호, pp.17-24, 2016.
  3. 서강일, 김기원, 김종훈, 조상근, 박상혁,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서 나타난 다영역 대드론체계 연구", 국방로봇학회논문집, 제2권, 제1호, pp.25-32, 2023.
  4. Yunm ok Son, Hocheol Shin, Dongkw an Kim, Youngseok Park, Juhwan Noh, Kibum Choi, Jungwoo Choi, Yongdae Kim, "Rocking Drones with Intentional Sound Noise on Gyroscopic Sensors", USENIX Conference on Security Symposium, 2015.
  5. Jinseob Jeong, Dongkw an Kim, Joonha Jang, Juhwan Noh, Changhun Song, Yongdae Kim, "Un-Rocking Drones: Foundation of Acoustic Injection Attacks and Recovery Thereof", Network and Distributed Systems Security Symposium, 2023.
  6. Joonha Jang, ManGi Cho, Jaehoon Kim, Dongkwan Kim, Yongdae Kim, "Paralyzing Drones via EMI Signal Injection on Sensory Communication Channels", Network and Distributed Systems Security Symposium, 2023.
  7. 최상혁, 채종석, 차지훈, 안재영, "안티 드론 기술동향", 정보통신동향분석, 제33권, 제3호, pp.78-88, 2018.
  8. 이우진, 서경덕, 채병민, "오픈소스 활용 드론에 대한 보안 위협과 Telemetry Hijacking을 이용한 군용 드론 공격 시나리오 연구", 융합보안논문퍛ㅅ지, 제20권, 제4호, pp.103-112, 2020. https://doi.org/10.33778/kcsa.2020.20.4.103
  9. 김명수, 유일선, 임강빈, "무인이동체 드론의 취약점분석 및 대응기술 연구 동향", 정보보호학회지, 제30권, 제2호, pp.49-57, 2020.
  10. 김선웅, 강승민, 이원준, 전준, 김봉연, "한국군사이버.전자전 발전방향 제언 : 미 사이버.전자전무기 조직체계 강화방안을 중심으로", 국방과 기술, 제514호, pp64-71, 2021.
  11. 류창수, 김명환, 정영진, "드론봇 전투부대 편성 및 운용개념에 관한 연구", 국방과 기술, 제480호, pp.70-81, 2019.
  12. 우사무엘, 박경민, 문대성, 김익균, "네트워크 주소변이 기반 Moving Target Defense 연구 동향", 정보보호학회지, 제28권, 제2호, 2018.
  13. Justin Yackoski, Peng Xie, Harry Bullen, Jason Li, Kun Sun, "A Self-shelding Dynamic Network Architecture", Military Communications Conference, 2011.
  14. Jafar Haadi Jafarian, Ehab Al-Shaer, Qi Duan, Proceedings of the first workshop on Hot topics in software defined networks, pp.127-132, 2012.
  15. Jafar Haadi H.Jafarian, Ehab Al-Shaer, Qi Duan, "Spatio-temporal Address Mutation for Proactive Cyber Agility against Sophisticated Attackers", Proceedings of the First ACM Workshop on Moving Target Defense, pp.69-78, 2014.
  16. Jafar Haadi Jafarian, Ehab Al-Shaer, Qi Duan, "An Effective Address Mutation Approach for Disrupting Reconnaissance Attacks", IEE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Forensics and Security, pp. 2562-2577, 2015.
  17. Jianhua Sun, Kun Sun, "DESIR: Decoy-enhanced seamless IP randomization", IEEE INFOCOM, 2016.
  18. Gui-lin CAI, Bao-sheng WANG, Wei HU, Tianzuo WANG, "Moving target defense: state of the art and characteristics", Frontiers of Information Technology & Electronic Engineering, pp.1122-1153, 2016.
  19. Lei, Cheng, et al. "Moving target network defense effectiveness evaluation based on change-point detection." Mathematical Problems in Engineering 2016 (2016).
  20. MITRE ATT&CK Enterprise Framework, "https://attack.mitre.org/docs/attack_matrix_poster_2021_june.pdf", 2021.
  21. ELVIRA, "https://www.robinradar.com/elvira-antidrone-system".
  22. SQUIRE, "https://www.thalesgroup.com/en/squire-ground-surveillance-radar".
  23. DRONERANGER, "https://scgroup-ltd.com/droneranger/".
  24. Allouch, Azza, et al. "MAVSec: Securing the MAVLink protocol for ardupilot/PX4 unmanned aerial systems." 2019 15th International Wireless Communications & Mobile Computing Conference (IWCMC). IEEE, 2019.
  25. 안준선, 이은영, 창병모, "SW 개발보안을 위한 보안약점 표준목록 연구", 정보보호학회지, 제25권, 제 1호, 2015.
  26. 오상환, 김태은, 김환국, "SW 보안 취약점 자동탐색 및 대응 기술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 18권, 제 11호, 2017.
  27. Domin, Karel, Iraklis Symeonidis, and Eduard Marin. "Security analysis of the drone communication protocol: Fuzzing the MAVLink protocol." (2016).
  28. 이우진, 서경덕, 채병민, "오픈소스 활용 드론에 대한 보안 위협과 Telemetry Hijacking 을 이용한 군용 드론 공격 시나리오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20.4, pp.103-112, 2020. https://doi.org/10.33778/kcsa.2020.20.4.103
  29. 대한민국 육군, "https://www.army.mil.kr/webapp/mbshome/mbs/newmobile/subview.do?id=newmobile_030102000000".
  30. MAVLink, "https://mavlink.io/"
  31. MAVLink Common Message Set XML, "https://github.com/mavlink/mavlink/blob/master/message_definitions/v1.0/common.xml".
  32. MAVLink Common Message Set, "https://mavlink.io/en/messages/common.html".
  33. 서상, 문해은, 이선호, 이재연, 김병진, 이우진, 김도훈, "무인기동체계 사이버 생존성 보장을 위한 게임이론 기반 능동적 이동 변이 연구", 군사과학기술학회 종합학술대회, pp.1207-1208, 2022.
  34. Seo Sang, Dohoon Kim. "OSINT-based LPCMTD and HS-decoy for organizational defensive deception." Applied Sciences 11.8, 2021.
  35. pymavlink 패키지, "https://github.com/ArduPilot/pymav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