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이 논문 또는 저서는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2S1A5A2A01048638)
참고문헌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2020). Future Safety Issue 제2의 팬데믹 인포데믹으로 인한 혼돈의 시대, from https://www.ndmi.go.kr/home/sub.do?menukey=6031&mode=view&no=1316137 (2020/10/12)
- 길호현. (2018). 텍스트마이닝을 위한 한국어 불용어 목록 연구. 우리말글, 78, 1-25. https://doi.org/10.18628/URIMAL.78..201809.1
- 김수연, 안석호, 김동현, 이의종, 서영덕. (2022, June). 형태소 분석기의 품사별 정확성 분석. In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pp. 378-381).
- 민희. (2022). 가짜 뉴스 확산, 그 이후: 보수와 진보의 가짜 뉴스 노출과 제도 신뢰의 편향. 정치정보연구, 25(3), 151-180.
- 박수선. (2023, January 30). 예산 대폭 깎인 팩트체크넷, 결국 문 닫는다, PD저널, Available at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74609(Accessed 2023. 4. 19)
- 손승혜, 이귀옥, 홍주현, 최지향, 정은정. (2018). 트위터는 어떻게 가짜 뉴스를 유통시키는가?: <교통법규 개정설>과 <9월 전쟁설>의 트위터 유통 패턴과 유력자, 빈출단어 분석. 사이버 커뮤니케이션학보, 35(4), 203-251.
- 송찬우, 안현철. (2022). Tag2vec 기반의 지능형 불법도박 사이트 탐지 모형 개발. 지능정보연구, 28(4), 211-227. https://doi.org/10.13088/JIIS.2022.28.4.211
- 신성윤, 신광성, 이현창. (2020). 적은 데이터 세트를 기반으로 한 동물 이미지의 향상된 딥 러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8(1), 247-248.
- 심재승, 이재준, 정이태, 안현철. (2020). 워드 임베딩을 활용한 한국어 가짜 뉴스 탐지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8(2), 199-202.
- 심홍진, 황유선. (2010). 마이크로블로깅 (microblogging)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트위터(twitter) 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24(2), 192-234.
- 안형준. (2020). SNS 의 이벤트와 텍스트의 언어심리학적 특성 간의 관계.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18(5), 91-100.
- 원혜진, 이현영, 강승식. (2020). 대규모 텍스트 분석을 위한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의 실행 성능 비교.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401-403.
- 이장근, 김해연, 장적, 김용환. (2022). 가짜 뉴스 영향력 인식의 효과에 관한 연구: 매체별 가짜뉴스 제 3 자 인식이 가짜 뉴스 규제 및 미디어 교육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12), 316-326.
- 이종구. (2020, March 22). 방역한다며 메탄올 뿌린 뒤 중독 증세...'정보 전염병' 피해, YTN, Available at https://www.ytn.co.kr/_ln/0103_202003222000523006_018 (Accessed 2023. 4. 19)
- 이지민, 이지선, 우지영. (2022). 코로나 19 가짜뉴스와 진짜 뉴스 판별 시스템. 한국컴퓨터 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30(1), 411-412.
- 정세민, 이세영, 안유나, 김보경. (2021, November). 품사에 따른 영화 리뷰 감성분석 연구. In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651-654.
- 정예림, 김지희, 유형선. (2020). Word2Vec 을 활용한 제품군별 시장규모 추정 방법에 관한 연구. 지능정보연구, 26(1), 1-21. https://doi.org/10.13088/JIIS.2020.26.1.001
- 정이태, 안현철. (2022). 그래프 임베딩을 활용한 코로나 19 가짜 뉴스 탐지 연구-사회적 참여 네트워크의 이용 여부에 따른 탐지 성능비교. 지능정보연구, 28(1), 197-216. https://doi.org/10.13088/JIIS.2022.28.1.197
- 한국언론진흥재단_뉴스빅데이터_메타데이터_가짜뉴스, Retrieved from https://www.data.go.kr/data/15086437/fileData.do (Accessed 2023. 4. 19)
- 한국언론진흥재단_뉴스빅데이터_메타데이터_코로나, Retrieved from https://www.data.go.kr/data/15069309/fileData.do (Accessed 2023. 4. 19)
- 한소은, 강윤석, 고윤용, 안지원, 김유심, 오성수, 박희진, 김상욱. (2022). CoAID+: 소셜 컨텍스트 기반 가짜 뉴스 탐지를 위한 COVID-19 뉴스 파급 데이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11(4), 149-156.
- 한지원, 김영욱. (2023). 댓글의 방향과 강도가 코로나 19 관련 가짜 뉴스 수용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정보처리의 매개효과 및 동조 성향의 조절효과 중심 분석. 한국언론학보, 67(1), 230-271.
- 현윤진, 김남규. (2018). 뉴스와 소셜 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기반 가짜 뉴스 탐지 방법론. 한국전자거래학회지, 23(4), 19-39. https://doi.org/10.7838/JSEBS.2018.23.4.019
- Open-Korean-Text(OKT), Retrieved from https://github.com/open-korean-text/open-korean-text (Accessed 2023. 4. 19)
- Bondielli, A., & Marcelloni, F. (2019). A survey on fake news and rumour detection techniques. Information Sciences, 497, 38-55. https://doi.org/10.1016/j.ins.2019.05.035
- Bovet, A., & Makse, H. A. (2019). Influence of fake news in Twitter during the 2016 US presidential election. Nature Communications, 10(1), 7.
- Cui, L., & Lee, D. (2020). Coaid: Covid-19 healthcare misinformation dataset. arXiv preprint arXiv:2006.00885.
- Lazer, D. M., Baum, M. A., Benkler, Y., Berinsky, A. J., Greenhill, K. M., Menczer, F., ... & Zittrain, J. L. (2018). The science of fake news. Science, 359(6380), 1094-1096. https://doi.org/10.1126/science.aao2998
- Mikolov, T., Chen, K., Corrado, G., & Dean, J. (2013). Efficient estimation of word representations in vector space. arXiv preprint arXiv:1301.3781.
- Mikolov, T., Sutskever, I., Chen, K., Corrado, G., & Dean, J. (2013, December). Distributed representations of words and phrases and their compositionality. In Proceedings of the 2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Volume 2 (pp. 3111-3119).
- Ngada, O., & Haskins, B. (2020, December). Fake news detection using content-based features and machine learning. In 2020 IEEE Asia-Pacific Conference on Computer Science and Data Engineering (CSDE) (pp. 1-6). IEEE.
- Patwa, P., Sharma, S., Pykl, S., Guptha, V., Kumari, G., Akhtar, M. S., ... & Chakraborty, T. (2021). Fighting an infodemic: Covid-19 fake news dataset. In Combating Online Hostile Posts in Regional Languages during Emergency Situation: First International Workshop, CONSTRAINT 2021, Collocated with AAAI 2021, Virtual Event, February 8, 2021, Revised Selected Papers 1 (pp. 21-29).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 Shu, K., Sliva, A., Wang, S., Tang, J., & Liu, H. (2017). Fake news detection on social media: A data mining perspective. ACM SIGKDD Explorations Newsletter, 19(1), 22-36.
- Tandoc Jr, E. C., Lim, Z. W., & Ling, R. (2018). Defining "fake news" A typology of scholarly definitions. Digital Journalism, 6(2), 137-153. https://doi.org/10.1080/21670811.2017.1360143
- Vosoughi, S., Roy, D., & Aral, S. (2018). The spread of true and false news online. Science, 359(6380), 1146-1151. https://doi.org/10.1126/science.aap9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