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mily Values and Caring Work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Ulsan: A Case Study

울산시 1인가구의 가족가치관 및 돌봄노동에 대한 사례연구

  • Kwon, Anna (Ulsan Public Agency for Welfare Family Promotion Social Service)
  • 권안나 (울산광역시 복지가족진흥사회서비스원)
  • Received : 2023.03.14
  • Accepted : 2023.05.02
  • Published : 2023.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family changes and dynamics of and to suggest institutional/policy-level tasks for coping with them, by paying attention to changing family valu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ir caring work performed in everyday life. This study selected 11 single-person households residing in Ulsan by considering their age and marital status, and analyzed their overall daily lives, family valu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work and c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ingle-person households in Ulsan, not only showed the coexistence of "simplicity, but instability" when maintaining and living their own lives, but also showed the ambivalent characteristics of family values by showing a gap between the perception and reality of diversity. In regard to family life, the participants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 "caring and relationship of family of origin" and the "economic factors", and notably showed the "dual value system". For a more stable life, the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forming social networks to relieve a sense of isolation and loneliness, and to recover relationships, instead of limiting themselves to only the traditional method of family formation. Thus, it would be possible to respond to family changes when changes are promoted in each area of "the perception of life", "family life", and the "family & social relationship", and this research suggests policy-level task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1인가구의 변화하는 가족가치관과 매일 일상 속에서 이뤄지는 돌봄노동에 주목하여, 가족의 변화나 역동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 및 정책적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연령·혼인상태를 고려하여 울산시에 거주하는 1인가구 11명을 선정하였으며, 1인가구의 전반적인 일상생활, 가족가치관, 가사노동 및 돌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울산시 1인가구의 특성은 자신의 삶을 유지하고 살아감에 있어 '단순하지만 불안정함'이 공존하고 있었으며, 가족가치관은 다양성에 대한 인식과 실제의 격차를 보이는 양면적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가족생활을 함에 있어 '원가족 돌봄 및 관계', '경제적 요인' 등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으며, '이중가치체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1인가구는 안정된 삶을 위해 전통적인 가족형성의 방법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닌, 고립·고독감 해소 및 관계 회복을 위해 사회관계망을 형성해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가족인식', '가족생활', '가족 및 사회적 관계'의 각 영역에서 변화가 도모되었을 때 가족변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연구 결과에 기반한 정책과제를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은영.진미정.옥선화(2010). 비혼 여성의 비혼 자발성 관련요인 탐색: 결혼 및 가족 가치관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8(2), 135-144. DOI : 10.6115/khea.2010.48.2.135.
  2. 권안나(2021). 울산광역시 1인가구의 가족가치관 변화에 따른 가족정책의 이슈와 과제. 울산여성가족개발원.
  3. 권안나(2022). 울산시 다양한 가구형태의 사례에서 본 신가족문화. 울산복지가족진흥사회서비스원.
  4. 김명훈.정영윤(1983). 심리학. 서울: 박영사.
  5. 김외숙.이기영(2012). 가사노동과 시간관리.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DOI : 10.978.8920/929250.
  6. 김혜영(2014). 유동하는 한국가족: 1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5(2), 255-292. DOI : 10.22862/kjsr.2014.15.2.008.
  7. 김혜정(2021). 부산지역 가족가치관의 변화 및 영향 요인. 여성연구, 108(1), 309-329. DOI : tws.2021.108.1.011. tws.2021.108.1.011
  8. 박정민.박호준.이서경(2022). 청년층의 삶의 질과 사회의 질에 대한 인식이 결혼 및 출산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53(4), 33-54. 한국사회복지연구회. DOI : 10.16999/kasws.2022.53.4.33.
  9. 서지원(2020). 청년세대 가사노동 시간사용의 변화.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0년도 온라인 추계학술대회자료집.
  10. 성미애(2006). 질적 연구를 통한 한국 가족의 양계화 현상에 대한 진단적 접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3), 59-72. UCI : G704-000320.2006.24.3.002. G704-000320.2006.24.3.002
  11. 성미애.송혜림.조은숙(2019). 가족과 문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12. 송혜림(2005). 가사노동론. 울산 : UUP.
  13. 송혜림(2020). 청년 1인가구의 가사노동.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2020년도 온라인 추계학술대회자료집.
  14. 송혜림.강은주(2021). 취업 1인가구의 일-생활 균형: 20-30대 미혼을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5(4), 55-70. DOI : 10.22626/jkfrma.2021.25.4.005.
  15. 송혜림.강은주(2022). 취업 청년 1인가구의 돌봄노동에 대한 경험.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6(4), 25-38. DOI : 10.22626/jkfrma.2022.26.4.003.
  16. 신경림.조명옥.양진향 외(2004).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7. 여성가족부(2021a). 2020 가족실태조사. 여성가족부.
  18. 여성가족부(2021b). 양성평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19. 유계숙.강민지.윤지은(2018). 청년층의 가족개념과 가치관. 가족과 문화, 30(3), 42-69. DOI : 10.21478/family.30.3.201809.002.
  20. 이경희(2012). 한국사회 이중가치체계의 특성과 변화. 윤리연구, 84, 33-52. DOI : 10.15801/je.1.84.201203.33.
  21. 이삼식.최효진.오영희.서문희.박세경.도세록 (2009). 2009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 조사.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2. 이신애.황원경.정승환(2022). 한국 1인가구 새롭게 들여다보기.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3. 이윤형(2022). 울산, 1인가구 증가 따른 중장기적 종합지원 방안 마련해야. 울산경제사회브리프. 131.
  24. 정경희.남상호.정은지.이지혜.이윤경.김정석.김혜영.진미정(2012). 가족구조의 변화와 정책적 함의 : 1인가구 증가현상과 생활실태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5. 정은희.신재동.우선희.하은솔.김지원.박나영.김현규.이지혜.정해식.홍성운.손창균.이봉주.강상경.박정민.정원오.김화선.임은정.김건(2022). 2022년 한국복지패널 조사.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6. 통계개발원(2013). 한국의 사회동향. 대전 통계청 통계개발원.
  27. 통계청(2020). 「장래가구특별추계(2017~2047)」. 통계청.
  28. 통계청(2022a). 「사회조사」. 통계청.
  29. 통계청(2022b). 2022 통계로 보는 1인가구 보도자료. 통계청.
  30. Merriam, B. S.(2005). 정성연구방법론과 사례연구(강윤구 외 공역). 서울: 교우사. (원서 1998출판).
  31. Stake, R. E.(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질적 사례 연구(홍용희, 노경주, 심종희 공역). 서울 창지사. (원서 1995 출판).
  32. Stake, R. E.(2000).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질적 사례 연구(홍용희, 노경주, 심종희 공역). 서울 창지사. (원서 2000 출판).
  33. Yin, R. K.(1994).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2nd ed.). Thousand Oaks, CA: Sag
  34. Yin, R. K.(2005). 사례연구방법(신경식, 서아영 공역). 서울: 한경사. (원서 2003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