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신입생 대상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 분석: K 대학 사례

The Effect of Online Extracurricular Program for University Freshmen: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 박혜진 (건국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
  • 차승봉 (호서대학교 유아교육과)
  • 투고 : 2023.05.18
  • 심사 : 2023.06.05
  • 발행 : 2023.06.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online extracurricular program operated by the university. The program contents applied in the study included learning strategies such as time management, goal setting, note taking, and memorization methods. The program used in the study was operated in an online environment, and the content was developed between 27 and 29 minutes. The developed contents can be taken using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e variables sele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were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flow, and satisfaction was also included to examine the responses of program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strategies and learning flow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result is because the content was composed of meaningful sub-topics by selecting the elements necessary for learning activities. Second, as a result of program satisfact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for all questions was high. Among them, the average of the item that the theme and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useful was the highest. Third, open response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to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In the cognitive domain, meanings such as knowledg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were presented as keywords, and in the affective domain, a number of keywords for motivation and attitude change were present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practical programs necessary for university freshmen and analyzed their effects.

키워드

Ⅰ. 서론

대학 생활의 학습 경험은 비교과 교육과정에 학생들이 참여하면서 많은 부분을 얻게 된다[1]. 비교과 교육과정은 대학에서 학점 취득을 목적으로 하는 정규 수업 외에 참여하는 학생의 심리적·사회적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활동이다[2]. 이러한 비교과 교육과정은 다양한 영역에서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구체화 되어 개발·운영되기 때문에 비교과 프로그램이라 지칭한다.

학생들은 대학에서 이전까지와는 다른 환경적 변화를 받아들이고 새로운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때 성공적인 학업 생활을 할 수 있다. 각 대학에서는 고등학교와 다른 수업 체제, 구조, 환경 등에 적응할 수 있도록 개인의 심리, 진로, 생활, 학습 등 다양한 측면의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대학 적응을 위한 지원은 정형화된 정규 교육과정만으로는 제한적이기 때문에 대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신청하고 참여할 수 있는 활동 중심의 프로그램을 개발ㆍ운영하는 등 비교과 교육과정을 정규교육과 함께 운영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3].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은 COVID-19 이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COVID-19 이전에는 학생의 다양한 경험을 지원해 주기 위한 특강과 워크숍, 협업 능력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습공동체, 창의적 학습활동에 대한 기회를 열어주는 공모전 프로그램까지 전면적으로 오프라인 체제로 운영되었다. 하지만 COVID-19가 장기화되면서 정규 교육과정에 밀려 일시적으로 중단되거나 대폭 축소되었던 비교과 프로그램들을 온라인 환경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재설계하여 지속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비교과 프로그램도 온라인 환경에서 충분히 운영될 수 있으며, 오프라인으로 운영되었던 프로그램의 효과와 유사하다면, 학생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넓히는 차원에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은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은 양적인 팽창에 비해 학생들의 활동 관리와 프로그램 자체에 대한 질 관리가 미흡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특히,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부서마다 유사한 프로그램을 내놓고 있어 참여자인 학생 측면에서는 중복된 프로그램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수요자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4]. 이러한 문제점은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를 파악하고, 신입생, 편·복학생, 유학생, 학사경고자 등 대학에서의 학습자 유형을 분류하여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해 주는 데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로 나타나는 결과는 대학 교육의 성과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5]이라고 밝히고 있는 만큼 학습자 유형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 중 신입생의 경우, 대학에서의 적응을 돕기 위해 이들에게 적합한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는 것이 더욱더 요구된다. 대학생활에 대한 신입생의 조기 적응을 포함하여 학교에 대한 애착과 중도 탈락 예방 등 신입생 대상의 비교과 프로그램은 다양한 영역에서 여러 주제로 운영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리, 진로, 생활, 학습의 다양한 비교과 영역 중 학습 측면에 초점을 맞춰 신입생들의 전반적인 학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리즈를 온라인으로 개발·운영한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신입생의 학습전략과 학습몰입은 향상되었는가?

둘째,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

Ⅱ. 이론적 배경

2.1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대학에서는 신입생, 편·복학생, 유학생, 학사경고자를 비롯한 전체 대학생을 대상으로 비교과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점이 수반되지 않는 것으로 학습, 심리, 진로, 취·창업 영역에서 대학생들의 다양한 경험을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다. 실제 대학에서는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적용하고, 시공간의 제약을 허무는 등의 시도가 비교과에서도 계속되고 있다. 또한 실제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학에서 운영되었던 비교과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4차 산업시대형 인재 양성을 위한 Residential College(RC) 비교과 프로그램[6], 비대면 코칭 기반 프로그램[7], 글쓰기 클리닉 프로그램[8], 대학 인성교육 비교과 프로그램[9], 대학도서관의 독서교육 비교과 프로그램[10], 비교과 영어 프로그램[11], 유학생 학습전략 프로그램[12] 등이 실제 개발되어 적용되었다. 이처럼 비교과는 2010년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인 학부 교육 선진화 선도대학 지원 사업을 기점으로 비교과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13]이 증대됨과 동시에 각 대학에서는 비교과 교육에 대한 재학생들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여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대학 교육의 만족도를 증진하는 데에 힘쓰고 있다[14].

최근 학계에서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 분석,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비교과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제, 비교과 프로그램 요구 분석, 비교과 프로그램 평가 등의 다각적인 연구가 수행되고 있어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이에 비교과는 새로운 교육 환경에서 대학생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지 탐색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영역에서의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한 결과를 탐색하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2.2 학습전략

학습전략은 학습을 하거나 특정 정보를 효율적으로 기억하는데 도움이 되는 여러 가지 기능들로 주의집중 전략, 정교화 전략, 시연 전략, 기억 전략, 조직화 전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학습전략은 학습 문제에 대한 처치 및 교육 방법으로 가장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데[15], 학습자의 능동적인 인지과정이 학습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이 중시되었다[16].

교육의 목표 중 하나로 학습자가 교수-학습 상황에서 습득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고, 사고 과정을 학습자가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17]. 이러한 관점에서 학습전략은 학습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모든 방법적 사고와 행동을 사용하는 학습 기술에 대한 총체적 개념으로[18] 초·중등학교 및 대학을 포함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현장에서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요소라 볼 수 있다.

2.3 학습몰입

몰입은 특정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그 활동이 즐겁고 재미있어서 계속하게 될 때 느끼는 총체적인 상태로[19] 학습 상황에서도 몰입을 경험할 수 있다. 학습 상황에서 몰입이 중요한 이유는 높은 수준의 학습에서 요구되는 집중과 참여를 촉진 시켜주는 심리적 기제[20] 몰입 경험 자체만으로 학습자에게 만족감을 제공하고 내재적 동기를 증진시키기[21] 때문에 긍정적인 학습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학습몰입은 면대면 학습 상황뿐만 아니라 비대면 학습 상황에서도 영향을 미치는데, 몰입의 하위 요인인 명확한 목표 의식의 경우, 온라인을 통한 학습은 교수자와 면대면 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학습자가 통제권을 가지고, 분명한 목표를 설정하여 무엇을 수행하고, 학습해야 할지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또한 온라인으로 학습활동을 수행할 때 다른 생각을 하지 않는 등 주의가 분산되지 않도록 조절하는 등의 몰입을 경험할 수 있다. 이처럼 온라인 등의 매체를 통한 상호 작용은 학습자의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22]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의 몰입 관련 연구는 의미 있다고 볼 수 있다.

2.4 만족도

만족도는 개인이 특정 활동에 참여한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 반응으로 생각, 느낌, 전반적인 인식 등을 평가적 요소로 측정하고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학에서는 수업에 대한 결과를 강의평가를 통해 학습자들의 반응을 분석하고, 특강이나 워크숍은 해당 프로그램이 종료되고 난 직후, 만족도 조사를 통해 참여자의 반응을 살펴보고, 질적 측면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렇듯 만족도를 측정하는 것은 수업이나 교육 프로그램의 성과를 분석하는 동시에 개선 사항을 도출하고 적절한 환류가 일어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서 목적한 바를 달성하였거나 학습 이전에 가지고 있던 기대가 충족되었을 때 얻는 마음의 상태를 만족도[23]라고 정의할 때, 온라인 환경과 같이 학습자가 학습과정을 스스로 통제하고 조절해야 하는 상황에서의 개인이 인식하는 반응인 만족도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Ⅲ.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충청북도에 소재한 K 대학에서 2023학년도 1학기에 신입생 대학생활 도움 시리즈라는 주제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이다. 대학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주제는 다양하지만, 대학이라는 환경에서 교수-학습 상황에 적응을 돕기 위해 학습 측면에 초점을 맞춰 개발된 프로그램이며, 비교과로 운영하였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이에 연구 대상은 모두 1학년이며, 168명의 학생이 응답한 설문 결과를 토대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의 성별 및 단과대학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 대상

DGTSA8_2023_v19n2_27_t0001.png 이미지

3.2 측정 도구의 구성 및 검정

본 연구에서 사용하기 위한 측정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학습전략은 박혜진, 박원균, 김유라[24]의 연구와 학습몰입은 석임복, 강이철[25]의 연구, 만족도는 박혜진, 권영애[26]의 연구를 참고하였으며, 문항의 형태는 모두 리커트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학습전략은 시간관리, 목표설정, 노트필기, 시험대비, 암기법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했기 때문에 프로그램 이수 후에 학습전략이 얼마만큼 향상되었는지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학습몰입은 온라인 환경에서도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으로[22] 본 연구에서 신입생 대학생활 도움 시리즈라는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이 6차시 콘텐츠를 수강하고, 퀴즈를 풀어보는 등의 활동을 통한 몰입 경험이 만족도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어 학습몰입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신입생 대학생활 도움 시리즈의 구체적인 학습효과와 더불어 참여자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한 만족도 11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입생 대상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을 위해 선정한 변인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학습전략은 대학에서 학습활동을 주도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암기법, 구조화 전략(요약), 읽기 전략 등을 습득할 수 있는 사고와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학습몰입은 학습활동에 대한 최상의 집중 상태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을 참여하는 과정에 완전하게 빠져들어 제시되는 활동을 흥미롭게 수행하고자 하는 상태로 정의하였다.

측정 도구에 대한 신뢰도는 학습전략 .906, 학습몰입 .895, 만족도 .882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문항의 수는 <표 2>와 같다.

<표 2> 측정 도구

DGTSA8_2023_v19n2_27_t0002.png 이미지

본 연구에서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KMO 측도는 .925이며,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결과는 .000으로 요인 적합성이 판명되었다. 각각의 항목에 대한 공통성은 .5 이상으로 추출된 요인의 타당성은 확보되었으며, 총 누적 변량은 72.032%로 나타났다<표 3>.

<표 3> 요인분석 결과

DGTSA8_2023_v19n2_27_t0003.png 이미지

3.3 연구 절차

본 연구는 신입생의 대학생활에 도움을 주고자 운영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음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2023학년도에 입학한 신입생들의 학습 측면에 도움을 주고자 신입생 대학생활 도움 시리즈라는 주제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온라인 운영 방식은 신입생마다 각기 다른 학과(전공) 소속이며, 총 6차시의 과정을 오프라인으로 운영하는 것보다 온라인으로 운영하여 시공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온라인으로 운영된 프로그램은 차시마다 27분~29분 사이로 개발되었으며, 세부 내용은 목표 설정법, 필기 전략, 테블릿 활용 필기법, 학습 습관 체크, 시험 대비 전략, 암기 방법 등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총 15문항의 퀴즈를 학습관리시스템에서 풀어볼 수 있도록 하여 습득한 정보를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하였다. 퀴즈 유형은 선다형과 O, X 형태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신입생 대학생활 도움 시리즈의 개요는 <표 4>와 같다.

<표 4> 신입생 대학생활 도움 시리즈 개요

DGTSA8_2023_v19n2_27_t0004.png 이미지

둘째, 신입생 대학생활 도움 시리즈는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참여를 자율적으로 하도록 하였으며, K 대학의 비교과 통합관리 시스템을 통해 관심이 있는 신입생만을 대상으로 신청받았다. 이때 300명의 학생이 신청하였으며, 신청 단계에서 사전 진단을 하였다.

셋째, 신입생 대학생활 도움 시리즈 프로그램에 대한 신청 기간 종료 후, 온라인으로 운영하였으며 학습관리시스템을 통해 2023년 3월 27일부터 4월 14일까지 수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4월 14일 이후 프로그램을 최종 이수한 학생들을 파악하였다. 총 300명의 신청 인원 가운데 199명의 학생이 전체 차시의 콘텐츠 수강을 완료하였으며, 이후 19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사후 설문을 시행하였다. 그 중 168명(응답률 84.42%)의 학생이 사후 설문에 응답하여 해당 데이터를 가지고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3.4 자료 수집 및 분석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으로 통계분석을 하였다. 자료의 점검을 위해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의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의 성별과 단과대학(소속)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학습전략, 학습몰입, 만족도를 문항 타당도 확인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또한 측정 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신입생 대학생활 도움 시리즈라는 주제로 운영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습전략과 학습몰입의 사전, 사후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수행하였다.

넷째,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로 인해 신입생들의 학습전략과 학습몰입이 향상되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신입생 대학생활 도움 시리즈라는 주제로 운영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문항으로 구성된 만족도를 측정하였으며, 단생들이 어떤 부분에서 본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에 도움을 받았는지 추가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프로그램을 최종 이수하고 사후 설문을 하는 단계에서 본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점이 무엇인지를 간략하게 작성하여 제출하도록 하였다. 작성된 내용을 취합하여 연구자 2인이 반복적으로 읽어본 뒤 분류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Ⅳ. 연구 결과

4.1 기술통계분석

본 연구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운영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 전, 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 선정한 변인인 학습 전략과 학습몰입에 대한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 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5>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체 문항에 대한 사후 평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학습전략에는 “나는 학습 내용을 기억하기 위해 필기한 노트나 교과서를 반복해서 읽는다.”라는 문항에 대한 사후 평균이 크게 상승하였다. 학습몰입은 “나는 내가 세운 목표에 맞게 학습하고 있다고 느낀다”라는 문항의 사후 평균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5> 기술통계 분석

DGTSA8_2023_v19n2_27_t0005.png 이미지

4.2 신입생의 학습전략 및 학습몰입의 변화

본 연구는 K 대학의 신입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신입생 대학생활 도움 시리즈에서 제공하는 모든 콘텐츠를 수강하고 난 뒤, 신입생의 학습전략과 학습몰입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표 6>의 분석 결과, 학습전략의 사전 평균이 4.051점에서 사후 평균이 4.505점으로 향상되었으며, t=-7.992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몰입의 경우, 사전 평균이 3.754점에서 사후 평균 4.236점으로 향상되었으며, t=-8.231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신입생 대학생활 도움 시리즈는 신입생이 대학에서 학습활동을 할 때 의미있는 세부 주제로 콘텐츠를 구성하였으며, 학습전략과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표 6> 대응표본 t검증 결과

DGTSA8_2023_v19n2_27_t0006.png 이미지

4.3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 만족도

신입생 대학생활 도움 시리즈라는 주제로 운영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5문항 중 “본 프로그램의 주제와 내용은 나에게 유익하였다.”라는 문항의 평균이 4.7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밖의 문항도 평균 4.60점을 넘어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구체적인 세부 문항별 평균 및 표준편차는 <표 7>과 같다.

<표 7> 프로그램 만족도

DGTSA8_2023_v19n2_27_t0007.png 이미지

본 연구에서는 대학에 입학하여 처음 비교과 프로그램을 경험해 본 학생들의 인식을 구체적으로 살펴 보고자 이들이 작성한 주관식 응답을 영역화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 틀을 인지적 영역(cognitive domain)과 정의적 영역(affective domain)으로 분류하였다. 인지적 영역은 인간의 학습영역으로 특정 내용을 기억, 재생, 재정리 등을 통해 학습활동과 관련된 과제를 해결하는 지적 변화를 의미한다. 정의적 영역은 인간의 흥미, 태도, 가치관, 신념 등과 관련된 것으로 본 프로그램을 이수했을 때 경험한 내면적 변화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개방형 문항의 응답을 활용하여 프로그램 만족도를 분석하고자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으로 분석 틀을 구분하였다. 이는 신입생 대학생활 도움 시리즈는 학습전략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으며, 실제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후 학생들이 대학에서 학습활동을 할 때 습득한 학습전략을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정의적 영역의 경우,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은 학점이 부여되지 않고, 자발적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프로그램 참여로 인해 학업에 몰두하고자 하는 의지와 계속적으로 학습을 추진해 나가려는 태도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개념적 분석 틀을 토대로 신입생 대학생활 도움 시리즈를 이수한 학생들이 인식한 프로그램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표 8>과 같다.

<표 8> 프로그램 만족도(개방형 문항 분석)

DGTSA8_2023_v19n2_27_t0008.png 이미지

다수의 학생들은 인지적 영역에서 특정 학습전략에 대한 정보 습득을 바탕으로 자신의 학습과정에 어떻게 활용하면 되는지를 이해할 수 있었다는 점에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그 밖에 응답으로 프로그램에서 습득한 내용을 자신의 학습에 충분히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과 자신의 학습 과정에서 효율적이지 않은 학습전략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는 등의 태도적 변화가 주요 응답으로 제시되었다.

Ⅴ. 논의

5.1 결론

본 연구는 K 대학에서 신입생을 대상으로 학습 측면에 도움을 주고자 개발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참여 전, 후의 학습전략과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정량적・정성적 만족도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입생 대학생활 도움 시리즈라는 주제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 결과, 모든 활동을 이수한 학생들의 학습전략과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대응표본 t검정 결과 학습전략은 사전값이 높게 측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후 평균이 높게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가져왔다. 이는 연구 대상인 2023학년도에 입학한 1학년을 대상으로 대학에서 학업생활에 도움을 주고자 개발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이라는 환경에서 학습활동에 필요한 시간관리, 목표설정, 노트필기, 암기법, 시험대비 전략 등을 세부 주제로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적합하게 운영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신입생의 경우, 변화된 학업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 학습동기 유발이 필요[27]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개발·운영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은 신입생의 학업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례로 제시되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한편 학습몰입의 경우, 학습전략보다 사전값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사후값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나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이 신입생들의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COVID-19 이후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은 온라인 학습에 대한 친밀성이 비교적 높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온라인의 공간적 특성은 학습자 스스로가 동기화하고 학습 과정에 대한 통제와 집중하고자 하는 몰입이 온라인 학습에 주는 의미가 큰 만큼 매체 지향적 학습공간의 특성[28]을 적절히 반영하여 온라인 콘텐츠 수강, 퀴즈 등의 학습활동이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적용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은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신입생에게 필요한 주제와 내용이 적절하게 구성하여 운영했기 때문이라 볼 수 있다. 특히, 다양한 학습전략 중 신입생의 학습전략 활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세부 전략[29]을 채택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였는데, 인지 영역에서의 조직화, 정교화, 반복 등의 학습전략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해당 내용을 포함하였으며, 내적 관리 영역에서는 학업에 대한 노력, 집중, 시간관리 등의 내용을 포함하여 총 6차시 과정으로 개발·운영하였다. 즉, 신입생들의 다양한 학습 경험에 도움을 주고자 개발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은 적절한 요구분석과 운영 전략 등이 전반적인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대학에서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의 실제 운영을 통해 신입생들의 학습전략과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다는 실증 결과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온·오프라인의 교수-학습 환경에 대한 경계를 허물고, 효과적인 학습이 일어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대학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 주기 위한 연구가 계속될 필요가 있다.

5.2 후속 연구 제안

본 연구의 시사점을 토대로 향후 연구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이라는 환경은 각기 다른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모여 생활하고, 새롭고 도전적인 경험 등 다양한 활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경험의 장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험의 장을 온· 오프라인 환경에서 적합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요구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심리, 진로, 생활, 학습의 다양한 비교과 영역에서의 세부 프로그램들을 나열하고, 특정 프로그램들이 어떤 환경과 방식으로 운영되기를 희망하는지를 조사하고, 실제 대학에서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상세화하는 등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의 참여 유무에 따른 비교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신입생 대학 생활 도움 시리즈라는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이들의 학습전략과 학습몰입의 변화를 측정하는데 집중하였다. 이에 실시간 및 비실시간 등 온라인 환경에서의 비교과 프로그램이 각 대학에서 계속 운영되고 있는 현 시점에 참여 유무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는 등의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향후 연구 대상의 성별과 단과대학 등의 참여자 특성에 따른 차이와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횟수,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 기대 등을 포함한 분석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1. Kuh, G. D., "In their own words: What students learn outside the classroom,"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30, No.2, 1993, pp.277-304. https://doi.org/10.3102/00028312030002277
  2. 김지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방안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2017, pp.537-562.
  3. 전미석.손유미.주휘정, "대학생 핵십역량 진단체제 구축 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9권, 제4호, 2011, pp.461-486.
  4. 김수연.이명관,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인식 및 수요조사를 통한 운영방향성 제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9호, 2016, pp.585-609.
  5. 배상훈.김혜정, "대학생의 학습 참여(Student Engagement) 측정 모델의 타당성 검증," 교육행정학연구, 제30권, 제1호, 2012, pp.499-523.
  6. 여관현.김수연, "협업능력 및 사고력 개발을 위한 기숙형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18호, 2018, pp.105-130.
  7. 김경아, "비대면 코칭 기반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S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제16권, 제2호, 2022, p.405-420.
  8. 박소영.서보영, "문해력 향상을 위한 글쓰기 클리닉 운영 확대 및 발전 방안 연구: 선문대학교 비교과 글쓰기 클리닉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교양교육연구, 제8권, 제1호, 2023, pp.237-257. https://doi.org/10.23115/JLAERI.2023.08.01.237
  9. 이한샘.전종희, "대학 인성교육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현황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23호, 2017, pp.375-396.
  10. 권현지, "대학도서관의 독서교육 사례연구: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 비교과 프로그램 BOOKCLUB:Y를 중심으로," 독서연구, 제60권, 2021, pp.229-262. https://doi.org/10.17095/JRR.2021.60.8
  11. 곽면선, "대학생을 위한 비교과 영어 프로그램의 효과 사례연구: 1:1 밀착 수업 지도를 중심으로," 언어연구, 제33권, 제1호, 2017, pp.1-26.
  12. 안미영.박혜진, "유학생 대상 학습전략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의 실제와 방향성 고찰: K대학의 유학생 대상 노트필기 전략교육을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제41권, 제4호, 2019, pp.1009-1030.
  13. 신윤미.오미자,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 요구분석: K대학 전공계열에 따른 직업기초능력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제27권, 제5호, 2021, pp.213-237. https://doi.org/10.24159/JOEC.2021.27.5.213
  14. 신혜성, "L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재학생 인식 분석," 교양교육연구, 제11권, 제6호, 2017, pp.303-332.
  15. 김동일.신을진.황애경, "메타분석을 통한 학습전략 효과연구," 아시아교육연구, 제3권, 제2호, 2002, pp.71-93.
  16. 노원경, "학습전략 루브릭의 개발 및 효과 연구: 대학생 학습전략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제24권, 제4호, 2008, pp. 259-294. https://doi.org/10.17232/KSET.24.4.259
  17. McKeachie, W. J., Pintrich, P. R., Lin, Y. G., & Dmiyh, D. A. 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ollege classroom: A review of the research literature,"1986, Ann Arbor. MI: University of Michigan: MCRIPTAC.
  18. Gall, M. D., Gall, J. P., Jacobsen, D. R., & Bullock, T. L., "Tools for learning: a guide to teaching study skills," 1990,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1975, San Francisco: Jossey-Bass.
  20. Eppler, M. A., & Harju, B. A., "Achievement motivation goals in relation to academic performance in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college students," 1997,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Vol.38, pp. 557-573.
  21. Csikszentmihalyi, M., Rathunde, K., & Whalen, S., "Talented teenagers: The roots of success and failure," 1993,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22. 박성익.김연경,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2006, pp. 93-115.
  23. Wolman, B., "Dictionary of behavioral science," 1989, SD: Academic Press.
  24. 박혜진.박원균.김유라, "의과대학생의 학습전략과 특성," 인문사회21, 제13권, 제1호, 2022, pp.1789-1802. https://doi.org/10.22143/HSS21.13.1.126
  25. 석임복.강이철, "Csikszentmihalyi의 몰입 요소에 근거한 학습 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3권, 제1호, 2007, pp.121-154. https://doi.org/10.17232/KSET.23.1.121
  26. 박혜진.권영애, "K-MOOC 참여자의 학습효과 분석 연구," (사)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2022, pp.43-53.
  27. 이연주.임경수, "코로나19 대응 온라인 멘토링 프로그램을 활용한 대학 신입생 적응 프로그램 사례 연구," 교양교육연구, 제8권, 제15호, 2021, pp.217-231.
  28. 이의길, "온라인 학습에서 몰입과 인지적 학습참여 수준의 관계와 이들이 학습결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7권, 제3호, 2011, pp.379-397.
  29. 최금진.김지심.신동은, "공과대학 신입생의 학습전략 활용을 위한 학습양식 분석," 공학교육연구, 제14권, 제4호, 2011, pp.11-19. https://doi.org/10.18108/JEER.2011.14.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