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매립장 석탄회의 긴급복구용 CLSM으로 활용 가능성

Feasibility Study on CLSM for Emergency Recovery of Landfill Bottom Ash

  • 투고 : 2023.02.28
  • 심사 : 2023.03.23
  • 발행 : 2023.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매립석탄재를 이용한 CLSM의 실질적인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매립석탄재의 입도분포 및 미립자 함량 등 물성에 따른 CLSM의 유동성, 블리딩 속도, 강도 등의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채취한 매립석탄재는 밀도 특성과 입도 분포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산재의 양이 많고 혼합수를 많이 첨가한 시편의 경우 블리딩 비율이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였고 압축강도 시험 결과, 4시간 동안 0.5MPa 이상의 강도발현은 단위결합재량이 200 이상인 반수석고를 사용한 시편의 경우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석고는 강도발현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나 매립석탄재는 CLSM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나 각 발전사의 회처리장에 매립된 석탄재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such as flowability, bleeding rate, and strength of the CLSM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 according to physical properties such as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particulate content of the pond ash were investigated as part of the practical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CLSM using pond as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perties of the collected pond ash, it was found that the density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And that the bleeding ratio did not satisfy the standard in the case of the specimen with a large amount of fly ash and a lot of addition of mixing water. As a result of the compressive strength test, the strength development of 0.5 MPa or more for four hours was found to be satisfactory for the specimens using hemihydrate gypsum with a unit binder amount of 200 or more, and the remaining gypsum showed poor strength development. Although it was determined that landfill coal ash can be used as a CLSM material,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apply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al ash buried in the ash treatment plant of each power generation company.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2022년도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개발사업[S3226444] 지원하에 수행한 연구로 관계 기관에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참고문헌

  1. 김영욱.이봉춘.정상화(2019), "굴착토를 활용한 유동화 채움재의 현장 적용성 평가", 「한국건설순화자원학회 논문집」, 7(4): 349~357.
  2. 김영욱.이봉춘.정상화(2020), "굴착토를 활용한 속경성 유동성 채움재의 공학적 특성 평가", 「한국건설순화자원학회 논문집」, 8(4): 450~457.
  3. 김진만.김하석(2023), 「매립석탄재기반 긴급복구용 반응성 self-levelling 채움재 사업화 기술개발」, 울산: 동서발전.
  4. 김진만.김하석.추연욱(2021), 「우드펠릿 플라이애시를 이용한 무시멘트 기반 지반 고화재 개발」, 인천: 남동발전.
  5. 김진만.최선미.김지호(2012), "다양한 철강제조공정에서 부산되는 전기로 환원슬래그의 급경성 무기결합재로의 적용성 검토", 「한국건설순화자원학회 논문집」, 7(2): 70~77.
  6. 이과섭.이원석.김태형(2005), 「BTL 하수관거 정비사업 성과요구수준서 표준안 연구」, 서울: 한국환경관리공단.
  7. 이준.김영욱.이봉춘.정상(2018), "표준토 조건별 하수관용 유동화 채움재의 공학적 특성", 「한국건설순화자원학회 논문집」, 6(3): 182~189.
  8. American Concrete Institute (2012), ACI 229R 99: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s, ACI Committee 229, MI Farmington Hills.
  9. Green B. H. and D. W. Schmitz (2004), "Soil-Based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s", Journal of Environmental & Engineering Geoscience, 10(2): 169~174. https://doi.org/10.2113/10.2.169
  10. Kim, H. S. and J. M. Kim (2016), "Quality Improvement of Recycled Aggregates Using the Acid Treatment Method and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Resulting Mortar", Journal of Material Cycles and Waste Management, 19: 968~976. https://doi.org/10.1007/s10163-016-0497-9
  11. Kim, H. S. and J. M. Kim (2018), "The Optimum Production Method for Quality Improvement of Recycled Aggregates Using Sulfuric Acid and the Abrasion Method", Journal of Material Cycles and Waste Management, 20: 754~765.
  12. Kiyomasa, D., S. Hiroyuki, K. Youichi and H. Tsuneo (2013), Technical Guide for Using the Construction Site Soil, 4th Ed., Tokyo.
  13. Lea, D. H. and K. H. Nguyenb (2016), "An Assessment of Eco-Friendly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 Sustainable Development of Civil", Urban and Transportation Engineering Conference, 142: 260~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