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코로나19 시기에 지방 소규모 과학관의 조직 및 운영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Organizational System and Management on Small Sized Local Science Museum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 투고 : 2023.03.20
  • 심사 : 2023.04.26
  • 발행 : 2023.04.30

초록

이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 지방 소규모 과학관의 조직 및 운영 현황을 조사하여 과학문화 확산과 과학 대중화를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자 거창월성우주창의과학관을 사례로 하여 질적 연구를 실행하였다. 과학관의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평가 틀을 개발하였으며 정보 통신매체를 통하여 얻은 정보와 과학관의 정보 위원과 심층 면담을 통해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과학관은 코로나19가 최고조로 유행하였던 2020년 기준 전년 대비 매출과 입장 인원의 뚜렷한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비대면 프로그램 신설, 전시물 관리, 다양한 홍보 매체를 이용한 홍보 관리와 같은 위기 개선 방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전문인력 수급의 어려움, 직원들의 업무의 과다, 다른 과학관과의 차별화 부재 등은 향후 해결해야 하는 선결과제로 남아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using Geochang Wolseong Space Creative Science Museum as a case study to investigate the organizational and operational status of small local science museum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s a basic study for the dissemination of scientific culture and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To analyze the situation of the science museum, an evaluation framework was developed, and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channel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information commissioners of the museum were used for the study. As of 2020, when COVID-19 was at its peak, this science museum showed a clear decline in sales and visitor number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Despite this situation, the museum was found to be using crisis management methods such as introducing unface-to-face programs, managing exhibits, and using various promotional media. However, the shortage of professional personnel, excessive workload of employees, and absence of differentiation from other science museums remain as challenges to be addressed in the future for sustainable earth sci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다연, 이주연, 김명지, 마틴 산야, 이현옥(2022). 국내과학관의 코로나-19 대응과 미래 방향 전략 연구: 국립과학관 경영인력의 융합적 경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지, 40(2), 1-17.
  2. 김연재(2020). 코로나 시대를 마주하는 뮤지엄 운영환경의 현실과 대응방안. 한국예술연구, 29, 5-27.
  3. 김진국, 박종원(2013). 과학 우수아의 과학관에 대한 이미지와 기대 전시 내용: 광주지역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7), 1431-1449.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431
  4. 박영신(2021). 지역사회 협력기반 과학문화 활성화를 위한 과학관의 역할 제고.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2), 95-111. https://doi.org/10.15523/JKSESE.2021.14.2.95
  5. 박영신(2022). 과학대중화를 위한 과학관 해설사 역량 탐색: 국내.외 과학관 해설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3), 373-390. https://doi.org/10.15523/JKSESE.2022.15.3.373
  6. 박영신, 문공주, 황요한(2019). 지역사회 기반 전국과학관 활성화를 위한 통합이용제도 개발 및 제언.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3), 274-290. https://doi.org/10.15523/JKSESE.2019.12.3.274
  7. 박현준, 이혁, 안형준(2022). DEA-SBM 모형을 적용한 지역별 과학관 운영효율성 평가: 5대 권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30(3), 41-68. https://doi.org/10.22921/JRS.2022.30.2.003
  8. 신영준, 신명경, 전영석, 정광훈, 임두원, 문만용, 임지은, 이봉우(2013). 국내 중소 과학관 현황 분석: 과학관의 조직, 운영,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359-372.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2.359
  9. 이선경, 신명경, 김찬종(2005). 자연사 박물관의 전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6(5), 376-386.
  10. 이정선, 여운승(2017). 디지털시대 관람객과의 소통을 위한 대학박물관 홍보 전략: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대학박물관협회지, 89, 7-31.
  11. 최정원, 조재민, 남태우(2016). 국내외 과학관 운영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6(4), 137-162. https://doi.org/10.23036/KAPAE.2016.26.4.006
  12. 한국과학관협회(2021). 2021년 과학관 운영 실태 조사 결과보고서. 한국과학관협회지, 7, 94-98.
  13. 허송이, 김성원, 유정숙(2021). COVID-19 상황에서 과학관 교육기획자의 비대면 운영경험에 대한 자문화 기술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7), 739-757.
  14. Anderson, D., Lucas, K. B., & Ginn, I. S. (2003). Theoretical perspectives on learning in an informal sett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2), 177-199. https://doi.org/10.1002/tea.10071
  15. Henriksen, E. K., & Jorde, D. (2001).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radiation and environment: Can museums play a role? Science Education, 85(2), 189-206. https://doi.org/10.1002/1098-237X(200103)85:2<189::AID-SCE60>3.0.CO;2-S
  16. Ruggiero, C. (2000). Spreading the analytical word. Chemistry & Industry, 5, 182-184.
  17. Zuanni, C. (2020). Digital responses from locked-down museums. Cultural Practice,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