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Changes in Community Spirit according to Village Landscape - Focusing on the Jeonju Hanok Village -

마을경관에 따른 공동체 의식 변화 분석 - 전주한옥마을을 중심으로 -

  • 신재선 (전북대학교 건축공학과) ;
  • 김윤상 (전북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23.04.12
  • Accepted : 2023.04.26
  • Published : 2023.05.25

Abstract

In the village, the community consciousness of members appears as a landscap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In addition, when the landscape of the village is stabil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is strengthened. Urban villages change and become outdated depending on social conditions. So, it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landscape data of the village and the status of the community. The Jeonju Hanok village, which i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restored from an slum urban village throug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village is a tourist attraction with more than 10 million tourists. However, as the commerce in the village was strengthened, the function of the village was weakening. Also, the existing village landscape was changing for commercial purposes. The current village is in a situation where the restored landscape can be changed again.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maintain the landscape of the village and restore its function. Jeonju Hanok village needed a member's perspective, not a resident's perspective.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can be strengthened only when the village landscape is stable.

Keywords

References

  1. 곽현근, 지역사회 사회적 자본의 주거관련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지, 27(1), 2013.
  2. 김이순, 진정, 지속가능한 주거지로서 전주한옥마을의 거주성확립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 9(3), 2007.
  3. 남해경, 전주한옥마을 주거건축 평면의 특징에 관한연구, 한국주거학회지, 21(4), 2010.
  4. Damura, A., 마을 만들기와 도시경관, 장준호, 김석진 역, 형설출판사, 2008. pp.130-155.
  5. Rapoport, House Form and Culture, Taerim; Seoul, Korea, 2008.
  6. 변미리,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공동체 역량강화, 서울연구원, 103, 2011. pp.1-18.
  7. 성주인, 농촌경관관리 실태와 정책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5. pp.13-15.
  8. 심승희, 역사경관과 지역정체성에 관한 연구-전주시 한옥보존지구와 역사유적을 사례로-, 지리교육학회, 33, 1995.
  9. 양미경, 전주한옥마을과 전주비빔밥의 문화자원화 과정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2.
  10. 이근영, 전주한옥마을 주민의 다양한 구성과 정체성의 정치, 한국지역사회학회지, 22(3), 2014.
  11. 이은혜, 장소마케팅을 활용한 지역관광활성화 방안, 전주한옥마을을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2. 정성일, 황병찬, 진정, 도시형한옥의 주거공간 변화에 관한연구, 전주시 풍남동을 중심으로, 도시환경연구, 15(1), 2000.
  13. 정유경, 일본의 경관운동에 관한 일고찰-지역경관의 보존과 형성을 위한 주민의 역할, 일본학연구, 34, 2011.
  14. 진명양숙, 문보람, 주거지에서 관광지로, 전주한옥마을 관광지화의 명암, 지방사와지방문화, 17(1), 2014.
  15. 최승호, 김성균, 지역마을 공동체 만들기를 통한 자립 방안 모색, 충북연구원, 2008. pp.1-55.
  16. 최인수, 지역공동체와 리빙랩을 중심으로 한 지역혁신체계 도입방안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5.
  17. 국토부, 국토의 계획과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2007. p.347.
  18. 전주문화재단, 전통문화도시 조사·기록화 사업, 2015. pp.27-31.
  19. 전주시, 전주한옥마을 전수조사 보고서, 2008.
  20. 전주역사박물관, 전주의 옛 사진전. 2016, 어진박물관 기획사진전, 2020. 전주서문교회 사진자료.
  21. 한국경제신문, 한국은행, 2015.
  22. 행정자치부, 2015년 공공분야 빅데이터 분석-관광객이용통계결과보서, 2015.
  23.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
  24. 네이버국어사전, krdic.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