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전자파 문제 해석은 통상적으로 Maxwell 방정식을 푸는 것에서 시작되나, 현실 세계에서 이 방정식을 직접 풀어 해석 해(analytical solution)를 구하는 것은 매우 복잡할 경우가 많다. 따라서 Maxwell 방정식에 대한 수치 해(numerical solution)를 컴퓨터를 통해 찾는 전자기 수치해석(CEM : Computational Electromagnetics)의 도입이 필요하다[1].
컴퓨터를 이용하여 수치 해를 찾는 다양한 기법 중 유한요소법(FEM: Finite Element Method)은 기하학적으로 복잡한 구조 및 비균질성 매질의 해석에 강점을 가진다[1, 2]. 또한, 유한요소 과정을 통해 얻게 되는 최종 system matrix는 0을 많이 포함한 sparse matrix가 되기 때문에 반복 솔버(iterative solver)를 사용하여 해를 구할 때 이점을 가질 수 있으며, 분할 알고리듬을 적용한 병렬 연산으로 계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1-5].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전자파 문제 해석에 있어 계산영역을 한정시키기 위한 특수한 경계조건이 필요하며, 대표적인 특수한 경계조건으로는 ABC와 PML(Perfectly Matched Layer)이 있다[6-9]. ABC는 계산영역을 잘라내는 경계에 가상 경계(fictitious boundary)를 설정하여 장(field)이 흘러가는 동작을 모사하는 경계조건이며, PML은 인공 층(artificial layer)을 설계하여 나가는 장을 흡수하여 반사를 최소화하는 경계조건이다[6]. PML은 입사각과 주파수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나가는 파동을 흡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원래 계산영역에서 인공 층에 해당하는 만큼의 계산영역이 확대되기 때문에 계산 시간 및 컴퓨터 메모리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7, 8].
ABC의 경우 PML과 달리 추가적인 인공 층이 필요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주 모드의 전파만을 허용하기 때문에 가상 경계와 산란체 사이의 거리에 따라 흡수 성능이 달라진다는 단점이 있다[2]. 즉, 가상 경계와 산란체 사이 거리가 가까우면 산란체로 인해 발생한 고차모드 때문에 ABC의 흡수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추가적인 고차모드를 포함함으로써 유도되는 모드 확장 기반 WPBC는 다중 모드 전파를 허용하기 때문에 불연속 물체와 가상 경계 사이 거리를 가깝게 배치하여 계산영역을 축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9-12].
본 논문에서는 FEM을 사용한 inhomogeneous parallelplate waveguide에서의 반사 및 투과 계수를 시뮬레이션하는 2-D 예제를 시작으로, 이를 확장하여 inhomogeneous rectangular waveguide에서의 S11 및 S12 parameter를 시뮬레이션하는 3-D 예제를 구현하였다. 각 예제에서 ABC와 WPBC에 대한 공식화 및 적용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아울러 두 경계조건의 성능 차이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2. Finite Element Analysis
2.1 2-D Finite Element Analysis
2.1.1 2-D FEM 공식화
2-D 유한요소 해석에서는 그림 1과 같이 사각형 모양의 불연속 매질을 포함하는 평행판 도파관에 자기장(TM0 모드)이 +x 방향으로 입사할 때, 유전체의 높이 및 비유전율에 따른 반사 및 투과 계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림 1) 유전체가 놓인 평행판 도파관 구조[2, 10, 11]
(Figure 1) Parallel-plate waveguide structure loaded with dielectric[2, 10, 11]
2-D FEM에서의 경곗값 문제(boundary-value problem)는 식 (1)로 정의되며, 그림 1에서 자기장 Hz에 대한 지배방정식 scalar Helmholtz equation은 식 (2)와 같다[6, 11].
\(\begin{aligned}-\frac{\partial}{\partial x}\left(\alpha_{x} \frac{\partial \phi}{\partial x}\right)-\frac{\partial}{\partial y}\left(\alpha_{y} \frac{\partial \phi}{\partial y}\right)+\beta \phi=f\\\end{aligned}\) (1)
\(\begin{aligned}\begin{array}{l}\frac{\partial}{\partial x}\left(\frac{1}{\epsilon_{r}} \frac{\partial H_{z}}{\partial x}\right)+\frac{\partial}{\partial y}\left(\frac{1}{\epsilon_{r}} \frac{\partial H_{z}}{\partial y}\right)+k_{0}^{2} \mu_{r} H_{z} \\ =-\frac{\partial}{\partial x}\left(\frac{1}{\epsilon_{r}} J_{y}\right)+\frac{\partial}{\partial y}\left(\frac{1}{\epsilon_{r}} J_{x}\right)\end{array}\\\end{aligned}\) (2)
유한요소 해석을 위해서 식 (2)를 식 (1)의 형태에 맞춰야 하며, 그 결과 식 (3)과 같은 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6, 11].
\(\begin{aligned}\phi=H_{z}, \alpha_{x}=\alpha_{y}=\frac{1}{\epsilon_{r}}, \beta=-k_{0}^{2} \epsilon_{r}, f=-j k_{0} Z_{0} J_{z}\\\end{aligned}\) (3)
Ritz process를 적용하기 위한 e번째 element에 대한 subfunctional Fe은 식 (4)와 같으며, functional F는 식 (5)와 같이 subfunctional Fe의 합으로 표현된다[11].
\(\begin{aligned}\begin{array}{l}F^{e}\left(\phi^{e}\right) \\ \begin{aligned}= & \frac{1}{2} \iint_{\Omega^{e}}\left[\alpha_{x}\left(\frac{\partial \phi^{e}}{\partial x}\right)^{2}+\alpha_{y}\left(\frac{\partial \phi^{e}}{\partial y}\right)^{2}+\beta\left(\phi^{e}\right)^{2}\right] d \Omega \\ & -\iint_{\Omega^{e}} f \phi^{e} d \Omega,\end{aligned} \\\end{array}\\\end{aligned}\) (4)
\(\begin{aligned}F(\phi)=\sum_{e=1}^{M} F^{e}\left(\phi^{e}\right)\\\end{aligned}\) (5)
Ritz process 및 assembly 과정을 거치면 최종적으로 식 (6)과 같은 Ax=b 꼴의 선형 대수 방정식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풀면 자기장 Hz에 대한 해를 구할 수 있다.
\(\begin{aligned}\left\{\frac{\partial F}{\partial \phi}\right\}=\sum_{e=1}^{M}\left\{\frac{\partial F^{e}}{\partial \phi^{e}}\right\}=\sum_{e=1}^{M}\left(\left[K^{e}\right]\left[\phi^{e}\right]-\left[b^{e}\right]\right)=\{0\}\\\end{aligned}\) (6)
2.1.2 2-D FEM에서의 ABC 적용
그림 1 구조에서 x = x1, x = x2 경계를 내부 불연속 물체에 충분히 멀리 떨어진 영역에 배치하여 주 모드만 흡수가 가능하다고 가정하면 x = x1과 x = x2에서의 자기장은 아래의 식 (7)로 표현할 수 있다[11].
Hz = H0e-jk0x + RH0ejk0x at x = x1
Hz = Hztrans = TH0e-jk0x at x = x2 (7)
유한요소 적용을 위해서 식 (7)을 boundary condition of the third kind의 일반적인 형태인 식 (8)과 형태를 맞춰주면 식 (9)와 같은 first-order ABC의 식을 얻을 수 있다[11].
\(\begin{aligned}\left(\alpha_{x} \frac{\partial \phi}{\partial x}+\alpha_{y} \frac{\partial \phi}{\partial y}\right) \cdot \hat{n}+\gamma \phi=q\\\end{aligned}\) (8)
\(\begin{aligned}\begin{array}{ll}\frac{\partial H_{z}}{\partial x}=j k_{0} H_{z}-2 j k_{0} H_{0} e^{-j k_{0} x} & \text { at } x=x_{1} \\ \frac{\partial H_{z}}{\partial x}=-j k_{0} H_{z} & \text { at } x=x_{2}\end{array}\\\end{aligned}\) (9)
2.1.3 2-D FEM에서의 WPBC 적용
그림 1에서 x = x1, x = x2 경계를 불연속 물체에 가깝게 배치하면 반사파와 투과파는 주 모드 하나로 표현할 수 없으며 주 모드와 불연속 물체로 인해 여기되는 다양한 고차모드의 중첩(superposition)으로 표현해야 한다. 따라서 x = x1과 x = x2에서의 자기장은 식 (10)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hm(y) 및 γm는 식 (11)과 같다[10, 11].
\(\begin{aligned}\begin{array}{ll}H_{z}(x, y)=H_{z}^{i n c}(x, y)+\sum_{m=0}^{\infty} a_{m} h_{m}(y) e^{\gamma_{m} x} \text { at } x=x_{1} \\ H_{z}(x, y)=\sum_{m=0}^{\infty} b_{m} h_{m}(y) e^{-\gamma_{m} x} & \text { at } x=x_{2}\end{array}\\\end{aligned}\) (10)
\(\begin{aligned}\begin{array}{c}h_{m}(y)=\sqrt{\frac{\nu_{m}}{b}} \cos \frac{m \pi y}{b}, \nu_{m}=\left\{\begin{array}{ll}1 & m=0 \\ 2 & m \neq 0\end{array}\right. \\ \gamma_{m}=\left\{\begin{array}{ll}j \sqrt{k_{0}^{2}-\left(\frac{m \pi}{b}\right)^{2}} & \text { if }\left(\frac{m \pi}{b}\right)^{2} \leq k_{0}^{2} \\ \sqrt{\left(\frac{m \pi}{b}\right)^{2}-k_{0}^{2}} & \text { if }\left(\frac{m \pi}{b}\right)^{2}>k_{0}^{2}\end{array}\right.\end{array}\\\end{aligned}\) (11)
식 (10)에서의 am과 bm은 expansion coefficient이며, 식 (12)와 같은 직교성(orthogonality) 관계식을 이용하면 식 (13)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10, 11].
∫0bhm(y)hm'(y)dy = δmm' (12)
am = e-γmx1∫0b[Hz(x1,y) - Hzinc(x1,y)]hm(y)dy
bm = eγmx2∫0bHz(x2,y)hm(y)dy (13)
WPBC 적용을 위해 식 (13)을 식 (10)에 대입 후, 미분을 통하여 식 (8)의 형태로 식을 변형하면 식 (14)와 같은 평행판 도파관에서의 WPBC 적용 식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γ와 q는 식 (15)와 같이 정의된다[10, 11].
\(\begin{aligned}\begin{array}{l}\frac{\partial H_{z}}{\partial n}+\gamma\left(H_{z}\right)=q \text { at } x=x_{1} \\ \frac{\partial H_{z}}{\partial n}+\gamma\left(H_{z}\right)=0 \quad \text { at } \quad x=x_{2} \\\end{array}\\\end{aligned}\) (14)
\(\begin{aligned}\begin{array}{l}\gamma\left(H_{z}\right)=\sum_{m=0}^{\infty} \gamma_{m} h_{m}(y) \int_{0}^{b} H_{z}\left(x, y^{\prime}\right) h_{m}\left(y^{\prime}\right) d y^{\prime} \\ q=2 \gamma_{n} H_{0} h_{n}(y) e^{-\gamma_{m} x_{1}}\end{array}\\\end{aligned}\) (15)
2.2 3-D Finite Element Analysis
2.2.1 3-D FEM 공식화
3-D 유한요소 해석에서는 그림 2와 같은 불연속 매질을 포함하는 구형 도파관에 주 모드인 TE10모드가 +z 방향으로 입사할 때, 반사 계수 S11 parameter와 투과 계수 S12 parameter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림 2) 유전체가 놓인 구형 도파관 구조[11, 13]
(Figure 2) Rectangular waveguide structure loaded with dielectric[11, 13] (b = 10mm, 𝜖r = 6)
주파수 영역에서 전기장에 대한 지배방정식 vector wave equation은 식 (16)과 같으며, 경계조건은 식 (17) 및 식 (18)과 같이 정의된다[1, 6, 11-13].
\(\begin{aligned}\nabla \times\left(\frac{1}{\mu_{r}} \nabla \times \vec{E}\right)-k_{0}^{2} \epsilon_{r} \vec{E}=-j k_{0} Z_{0} \vec{J}\\\end{aligned}\) (16)
\(\begin{aligned}\hat{n} \times \vec{E}=0 \quad on \quad S_{1}\\\end{aligned}\) (17)
\(\begin{aligned}\frac{1}{\mu_{r}} \hat{n} \times(\nabla \times \vec{E})+\gamma_{e} \hat{n} \times(\hat{n} \times \vec{E})=0 \; on \; S_{2}\end{aligned}\) (18)
이후, generalized variational principle의 적용 과정을 거치면 식 (16)에 대한 functional F인 식 (19)를 얻을 수 있다[1, 6, 11-14].
\(\begin{aligned}\begin{array}{l}F(\vec{E}) \\ =\frac{1}{2} \iiint_{V}\left[\frac{1}{\mu_{r}}(\nabla \times \vec{E}) \cdot(\nabla \times \vec{E})-k_{0}^{2} \epsilon_{r} \vec{E} \cdot \vec{E}\right] d V \\ +\iint_{S_{2}}\left[\frac{\gamma_{e}}{2}(\hat{n} \times \vec{E}) \cdot(\hat{n} \times \vec{E})+\vec{E} \cdot \vec{U}\right] d S \\ +j k_{0} Z_{0} \iiint_{V}[\vec{E} \cdot \vec{J}] d V\end{array}\\\end{aligned}\) (19)
2.2.2 3-D FEM에서의 ABC 적용
Waveguide port를 내부 불연속 물체에 의해 여기된 고차모드가 도달할 수 없을 만큼 충분히 멀리 떨어진 영역에 배치하면 S1 및 S2에서의 전기장은 식 (20)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2, 11]. 이때, \(\begin{aligned}\overrightarrow{e_{10}}(x, y)\\\end{aligned}\) 와 kz10은 식 (21)과 같다.
\(\begin{aligned}\begin{array}{l}\vec{E}(x, y, z)=\overrightarrow{\vec{E}}^{n c}(x, y, z)+\overrightarrow{\vec{E}}^{e f}(x, y, z) \\ =E_{0} \vec{e}_{10}(x, y) e^{-j k_{z 110^{z}}}+R E_{0} \vec{e}_{10}(x, y) e^{j k_{z 10} z} \text { on } S_{1} \\ \vec{E}(x, y, z)=\vec{E}^{\text {trans }}(x, y, z) \\ =T E_{0} \vec{e}_{10}(x, y) e^{-j k_{z 10} z} \text { on } S_{2} \\\end{array}\\\end{aligned}\) (20)
\(\begin{aligned}\begin{array}{l}\vec{e}_{10}(x, y)=\hat{y} \sin \frac{\pi x}{a} \\ k_{z 10}=\sqrt{k_{0}^{2}-\left(\frac{\pi}{a}\right)^{2}}\end{array}\\\end{aligned}\) (21)
도파관 벽에는 식 (17)과 같은 경계조건이 적용되며, 식 (20)을 식 (18)과 같은 형태로 식을 변형하면 식 (22)와 같은 first-order ABC의 식을 얻을 수 있다[2, 11]. 여기서 \(\begin{aligned}\vec{U}^{n c}\\\end{aligned}\) 및 γ는 식 (23)과 같다.
\(\begin{aligned}\begin{array}{l}\hat{n} \times(\nabla \times \vec{E})+\hat{n} \times(\hat{n} \times \vec{E})=\vec{U}^{n c} \text { on } S_{1} \\ \hat{n} \times(\nabla \times \vec{E})+\hat{n} \times(\hat{n} \times \vec{E})=0 \quad \text { on } S_{2} \\\end{array}\\\end{aligned}\) (22)
\(\begin{aligned}\begin{array}{l}\gamma=j k_{z 10} \\ \vec{U}^{n c}=-2 j k_{z 10} \vec{E}^{n c}\end{array}\\\end{aligned}\) (23)
2.2.3 3-D FEM에서의 WPBC 적용
Waveguide port를 내부 불연속 물체에 가깝게 배치하면 S1 및 S2에서의 전기장은 식 (24)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11, 12]. 또한, \(\begin{aligned}\overrightarrow{e_{m n}^{T E}}(x, y), \overrightarrow{e_{t m n}^{T M}}(x, y), \overrightarrow{e_{z m n}^{T M}}(x, y)\\\end{aligned}\)은 식 (25)의 γm와 normalization factor Nmn과 함께 식 (26)과 같이 정의된다[11].
\(\begin{aligned}\begin{array}{l}\vec{E}(x, y, z) \\ =\vec{E}^{n c}(x, y, z)+\sum_{m=0}^{\infty} \sum_{m=0}^{\infty} a_{m n} \overrightarrow{e_{m n}^{T E}}(x, y) e^{\gamma_{m n} z} \\ +\sum_{m=1}^{\infty} \sum_{n=1}^{\infty} b_{m n}\left[\overrightarrow{e_{t m n}^{T M}}(x, y)+\hat{z} e_{z m n}^{T M}(x, y)\right] e^{\gamma_{m n} z} \text { on } S_{1}\end{array}\\\end{aligned}\) (24)
\(\begin{aligned}\begin{array}{l}\vec{E}(x, y, z) \\ =\sum_{m=0}^{\infty} \sum_{m=0}^{\infty} c_{m n} \overrightarrow{e_{m n}^{T E}}(x, y) e^{-\gamma_{m m} z} \\ +\sum_{m=1 n=1}^{\infty} \sum_{m n}^{\infty}\left[\overrightarrow{e_{t m n}^{T M}}(x, y)-\hat{z} e_{z m n}^{T M}(x, y)\right] e^{-\gamma_{m m} z} \text { on } S_{2} \\ \gamma_{m}=\left\{\begin{array}{l}j \sqrt{k_{0}^{2}-\left(\frac{m \pi}{a}\right)^{2}-\left(\frac{n \pi}{b}\right)^{2}} \text { if }\left(\frac{m \pi}{a}\right)^{2}+\left(\frac{n \pi}{b}\right)^{2} \leq k_{0}^{2} \\ \sqrt{\left(\frac{m \pi}{a}\right)^{2}+\left(\frac{n \pi}{b}\right)^{2}-k_{0}^{2}} \text { if }\left(\frac{m \pi}{a}\right)^{2}+\left(\frac{n \pi}{b}\right)^{2}>k_{0}^{2}\end{array}\right.\end{array}\\\end{aligned}\) (25)
\(\begin{aligned}\begin{array}{l} N_{m n}=\sqrt{\nu_{m} \nu_{n}} / \sqrt{n^{2} \frac{a}{b}+m^{2} \frac{b}{a}} \\ \overrightarrow{e_{m m}^{T E}}(x, y) \\ = N_{m n}\left(\hat{x} \frac{n}{b} \cos \frac{m \pi x}{a} \sin \frac{n \pi y}{b}-\hat{y} \frac{m}{a} \sin \frac{m \pi x}{a} \cos \frac{n \pi y}{b}\right) \\ \overrightarrow{e_{m n}^{T M}}(x, y) \\ = N_{m n}\left(\hat{x} \frac{m}{a} \cos \frac{m \pi x}{a} \sin \frac{n \pi y}{b}+\hat{y} \frac{n}{b} \sin \frac{m \pi x}{a} \cos \frac{n \pi y}{b}\right) \\ e_{z m m}^{T M}(x, y)=\frac{N_{m m}}{\pi \gamma_{m n}}\left[\left(\frac{m \pi}{a}\right)^{2}+\left(\frac{n \pi}{b}\right)^{2}\right] \sin \frac{m \pi x}{a} \sin \frac{n \pi y}{b}\end{array}\\\end{aligned}\) (26)
\(\begin{aligned}\overrightarrow{e_{m n}^{T E}}(x, y)\\\end{aligned}\)과 \(\begin{aligned}\overrightarrow{e_{m n}^{T E}}(x, y)\\\end{aligned}\)은 식 (27)과 같은 직교성 관계식을 만족하며, 이를 이용하면 각 expansion coefficient는 식 (28)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11].
\(\begin{aligned}\begin{array}{l}\int_{0}^{a} \int_{0}^{b} e_{m n}^{T E} \cdot \overrightarrow{e_{m n}^{T M}} d x d y=0 \\ \int_{0}^{a} \int_{0}^{b} \overrightarrow{e_{m n}^{T E}} \cdot \overrightarrow{e_{m^{\prime} n^{\prime}}^{T E}} d x d y=\delta_{m m^{\prime}} \delta_{n n^{\prime}} \\ \int_{0}^{a} \int_{0}^{b} \overrightarrow{e_{t m n}^{T M}} \cdot \overrightarrow{e_{t m^{\prime} n^{\prime}}^{T M}} d x d y=\delta_{m m^{\prime}} \delta_{n n^{\prime}}\end{array}\\\end{aligned}\) (27)
\(\begin{aligned}\begin{array}{l}a_{m n}=e^{-\gamma_{m m} z_{1}} \int_{0}^{a} \int_{0}^{b \overrightarrow{e_{m n}^{T E}}} \cdot\left[\vec{E}-\overrightarrow{E^{i n c}}\right]_{z=z_{1}} d x d y \\ b_{m n}=e^{-\gamma_{m m} z_{1}} \int_{0}^{a} \int_{0}^{b} e_{t m n}^{T M} \cdot\left[\vec{E}-\overrightarrow{E^{i n c}}\right]_{z=z_{1}} d x d y \\ c_{m n}=\left.e^{\gamma_{m u r} z_{2}} \int_{0}^{a} \int_{0}^{b} e_{m n}^{e_{m n}^{T E}} \cdot \vec{E}\right|_{z=z_{2}} d x d y \\ d_{m n}=\left.e^{\gamma_{m m} z_{2}} \int_{0}^{a} \int_{0}^{b} e_{t m n}^{T M} \cdot \vec{E}\right|_{z=z_{2}} d x d y\end{array}\\\end{aligned}\) (28)
WPBC 적용을 위해 식 (28)을 식 (24)에 대입 후 식 (18)과 형태를 맞춰주면 식 (29)와 같은 구형 도파관에서의 WPBC 적용 식을 얻을 수 있으며, \(\begin{aligned}P(\vec{E})\\\end{aligned}\) 및 \(\begin{aligned}\overrightarrow{U^{i n c}}\\\end{aligned}\)는 식 (30)과 같다[11].
\(\begin{aligned}\begin{array}{l}\hat{n} \times(\nabla \times \vec{E})+P(\vec{E})=\overrightarrow{U^{i n c}} \text { at } z=z_{1} \\ \hat{n} \times(\nabla \times \vec{E})+P(\vec{E})=0 \quad \text { at } z=z_{2}\end{array}\\\end{aligned}\) (29)
\(\begin{aligned}\begin{array}{l}P(\vec{E})=\sum_{m=1 n=1}^{\infty} \sum_{m}^{\infty} \frac{k_{0}^{2}}{\gamma_{m n}} \overrightarrow{e_{t m n}^{T M}} \int_{0}^{a} \int_{0}^{b} \overrightarrow{e_{t m n}^{T M}} \cdot \vec{E} d x d y \\ -\sum_{m=0 n}^{\infty} \sum_{0}^{\infty} \gamma_{m n} \overrightarrow{e_{m n}^{T E}} \int_{0}^{a} \int_{0}^{b} \overrightarrow{e_{m n}^{T E}} \cdot \vec{E} d x d y \\ \overrightarrow{U^{i n c}}=-2 \gamma_{10} E_{0} \overrightarrow{e_{10}^{T E}} e^{-\gamma_{1 v_{1} z_{1}}}\end{array}\\\end{aligned}\) (30)
3. 시뮬레이션 결과
3.1 2-D FEM 시뮬레이션 결과
3.1.1 ABC 및 WPBC 적용 2-D FEM
평행판 도파관 구조 해석에서는 2-D linear triangular node element를 기반으로 in-house code(MATLAB R2022b 버전 호환)를 직접 작성하여 반사 및 투과 계수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reference[11]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 구조는 상기 그림 1과 같으며, 기본 환경 주파수는 3GHz(λ=0.1m)로 설정하였다. 그림 3 및 4는 내부 유전체와 1.25λ 떨어진 영역에 first-order ABC를 적용하였을 때 유전체 높이(0~0.35λ) 및 비유전율(𝜖r = 4, 4 - 1j, 4 - 10j)에 따른 반사 및 투과 계수를 나타내며 reference[11]의 도시와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 𝜖r = 4, 4 - 1j, 4 - 10j에서 1차 흡수경계조건 적용 반사 계수 비교
(Figure 3) Comparison of first-order ABC application reflection coefficient at 𝜖r = 4, 4 - 1j, 4 - 10j
(그림 4) 𝜖r = 4, 4 - 1j, 4 - 10j에서 1차 흡수경계조건 적용 투과 계수 비교
(Figure 4) Comparison of first-order ABC application transmission coefficient at 𝜖r = 4, 4 - 1j, 4 - 10j
그림 5 및 6은 그림 1 구조에 대한 ABC 적용 2-D FEM과 같은 시뮬레이션 환경에 ABC 대신 WPBC를 적용한 결과를 나타내며, reference[10, 11]의 도시와 거의 일치함이 확인된다.
(그림 5) 𝜖r = 4, 4 - 1j, 4 - 10j에서 도파관 포트 경계조건 적용 반사 계수 비교
(Figure 5) Comparison of WPBC application reflection coefficient at 𝜖r = 4, 4 - 1j, 4 - 10j
(그림 6) 𝜖r = 4, 4 - 1j, 4 - 10j에서 도파관 포트 경계조건 적용 투과 계수 비교
(Figure 6) Comparison of WPBC application transmission coefficient at 𝜖r = 4, 4 - 1j, 4 - 10j
3.1.2 ABC와 WPBC 성능 비교 (2-D FEM)
해석 영역에 따른 ABC와 WPBC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구조 1에서의 d의 길이를 변화시켜가며 반사 및 투과 계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그림 7 및 8은 그림 1의 구조에서 불연속 물체로부터의 거리(d)에 따른 ABC 적용 반사 및 투과 계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d의 길이가 작아질수록 불연속 물체로 인해 발생한 고차모드가 시뮬레이션 결과에 영향을 미쳐 정확도(reference[11]과 비교)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7) 𝜖r = 4에서 1차 흡수경계조건 적용 위치(d)에 따른 반사 계수 비교[11]
(Figure 7) Comparison of reflec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distance of first-order ABC application(d) at 𝜖r = 4[11]
(그림 8) 𝜖r = 4에서 1차 흡수경계조건 적용 위치(d)에 따른 투과 계수 비교
(Figure 8) Comparison of transmission coefficient according to distance of first-order ABC application(d) at 𝜖r = 4
그림 9 및 10은 그림 1 구조에서 WPBC 적용 거리(d)에 따른 반사 및 투과 계수 시뮬레이션 결과이며, d = 1.25λ에서는 TM0모드, d = 1.25λ 및 d = 1.25λ에서는 TM0모드와 TM1모드를 흡수하도록 경계조건을 설정하였다. 추가적인 고차모드를 흡수한 WPBC는 ABC보다 더 작은 해석 영역으로도 reference[10, 11] 결과와 잘 일치함이 확인된다.
(그림 9) 𝜖r = 4에서 도파관 포트 경계조건 적용 위치(d)에 따른 반사 계수 비교
(Figure 9) Comparison of reflec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distance of WPBC application(d) at 𝜖r = 4
(그림 10) 𝜖r = 4에서 도파관 포트 경계조건 적용 위치(d)에 따른 투과 계수 비교
(Figure 10) Comparison of transmission coefficient according to distance of WPBC application(d) at 𝜖r = 4
3.2 3-D FEM 시뮬레이션 결과
3-D edge-based brick element를 사용한 inhomogeneous rectangular waveguide 해석은 MATLAB 코드로(R2022b 버전 호환) 작성되었으며, 상용 소프트웨어 HFSS를 사용하여 d=0.8b에 ABC를 적용한 결과(reference)와 in-house의 결과 비교를 통해 시뮬레이션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이때, 시뮬레이션 구조는 그림 2와 같은 inhomogeneous waveguide이며, 시뮬레이션 환경주파수는 8~13GHz, frequency sweep은 0.02GHz로 설정하였다.
그림 11 및 12는 내부 산란체로부터 떨어진 거리(d)를 변화시키면서 first-order ABC를 적용하였을 때의 S11과 S12 parameter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ABC 적용 2-D FEM과 마찬가지로 ABC 적용 거리가 내부 유전체와 가까워질수록 시뮬레이션 정확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1) 흡수경계조건 적용 위치(d)에 따른 S11 파라미터 및 Reference와의 결과 비교
(Figure 11) Comparison of S11 parameter (Reference vs. In-house) according to distance of first-order ABC application(d)
(그림 12) 흡수경계조건 적용 위치(d)에 따른 S12 파라미터 및 Reference와의 결과 비교
(Figure 12) Comparison of S12 parameter (Reference vs. In-house) according to distance of first-order ABC application(d)
그림 13과 14는 그림 2 구조를 내부 유전체로부터 떨어진 거리(d)를 변경해 가며 WPBC를 적용하였을 때의 S11과 S12 parameter 시뮬레이션 결과이며, 시뮬레이션 환경 설정은 ABC 적용 3-D FEM과 같다.
(그림 13) 도파관 포트 경계조건 적용 위치(d)에 따른 S11 파라미터 및 Reference와의 결과 비교
(Figure 13) Comparison of S11 parameter (Reference vs. In-house) according to distance of WPBC application(d)
(그림 14) 도파관 포트 경계조건 적용 위치(d)에 따른 S12 파라미터 및 Reference와의 결과 비교
(Figure 14) Comparison of S12 parameter (Reference vs. In-house) according to distance of WPBC application(d)
d=0.8b에서는 TE10모드, d=0.4b 및 d=0.2b에서는 TE10, TE01, TM11, TE11모드를 흡수하도록 설정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경계조건 적용 위치(d)가 불연속 물체와 가까워질수록 정확도가 떨어지는 ABC와 달리 WPBC는 고차모드를 흡수해 더욱 좋은 정확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4. 결론
본 논문에서는 FEM 기법을 사용하여 2-D 및 3-D waveguide 구조를 해석할 때, 계산영역을 한정시키기 위한 경계조건인 ABC 및 WPBC의 특징 및 적용 예에 대해 알아보았다. 각각의 경우를 직접 완결된 코드로 작성하여 시뮬레이션하였으며, 참고문헌[11] 및 상용 소프트웨어 HFSS와 결과를 reference로 하여 비교하여 그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2-D 및 3-D 모두 ABC 및 WPBC 적용 거리(산란체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성능을 테스트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내부 유전체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충분히 먼 경우 ABC와 WPBC 모두 좋은 정확도를 보였으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ABC의 정확도는 떨어졌지만 WPBC는 여전히 좋은 정확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경계조건 적용 식에서 ABC는 γ가 상수로 적용되지만, WPBC는 \(\begin{aligned}\gamma(\vec{E})\\\end{aligned}\), \(\begin{aligned}P(\vec{E})\\\end{aligned}\)와 같이 operator 형태로 적용되기 때문에 유한요소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얻게 되는 행렬이 WPBC 적용 경우가 ABC 적용 경우보다 0이 아닌 요소를 많이 포함하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WPBC를 사용하면 해석 영역이 줄어들 수 있지만, 메모리 사용량과 계산 복잡도가 증가하며 이는 계산 시간의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WPBC의 해석 시간 증가는 병렬화 기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PML 등 다른 경계조건과 결합하여 사용한다면 더 나은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References
- D. B. Davidson, Computational Electromagnetics for RF and Microwave Engineering, 2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 W. B. Park, M. S. Kim, and W. C. Lee, "Absorbing Boundary Conditions and Parallelization for waveguide Electromagnetic Analysis Using Finite Element Method,"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vol. 23, no. 3, PP. 67-76, 2022. https://doi.org/10.17662/ksdim.2021.17.4.031
- W. B. Park, M. S. Kim, and W. C. Lee, "Frequency Domain Electromagnetic Simulation Techniques Using Finite Element Methods," 2020 Fall Conference of the Korea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 21, no. 2, 2020.
- W. C. Lee, W. B. Park, J. Y. Park, Y. J. Kim, and M. S. Kim, "Parallel Iterative FEM Solver with Initial Guess for Frequency Domain Electromagnetic Analysis," Intelligent Automation & Soft Computing, vol. 36, no. 2, pp. 1585-1602, 2023. https://doi.org/10.32604/iasc.2023.033112
- W. B. Park, M. S. Kim, and W. C. Lee, "Parallelization of Finite Element Analysis on Waveguide Using Edge Elements," 2021 Fall Conference of the Korea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vol. 21, no. 2, 2021.
- O. Ozgun, M. Kuzuoglu, MATLAB-based Finite Element Programming in Electromagnetic Modeling, CEC Press, 2019.
- K. Y. Jung, H. D. Kim, "1D Modal PML," Conference of the Korea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vol. 20, no. 2, 1997.
- D. Jiao, J. M. Jin, "An Effective Algorithm for Implementing Perfectly Matched Layers in Time-Domain Finite-Element Simulation of Open-Region EM Problems," IEEE Transactions on Antennas and Propagation, vol. 50, no.11, 2002. https://doi.org/10.1109/TAP.2002.803987
- K. Y. Jung, H. D. Kim, "An Improved Unimodal Absorbing Boundary Condition for Waveguide Problems," Conference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vol. 20, no. 1, 1997.
- M. C. Jo, W. B. Park, and W. C. Lee, "Application of WPBC in 2D Inhomogeneous Parallel-Plate Waveguide Electromagnetic Simulation," Conference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5, no.1, 2023.
- J. M. Jin, The Finite Element Method in Electromagnetics, 3rd Ed., Wiley-IEEE Press, 2014.
- Z. Lou, J. M. Jin, "An Accurate Waveguide Port Boundary Condition for the Time-Domain Finite Element Method," IEEE Transactions on Microwave Theory and Techniques, vol. 53, no. 9, 2005. https://doi.org/10.1109/TMTT.2005.854223
- K. Ise, K. Inoue, and M. Koshiba, "Three-dimensional finite-element method with edge elements for electromagnetic waveguide discontinuities," IEEE Trans. Microwave Theory Tech., vol. 39, pp. 1289-1295, 1991. https://doi.org/10.1109/22.85402
- W. B. Park, M. S. Kim, and W. C. Lee, "Commercial and In-house Simulator Development Trend for Electromagnetic Analysis of Autonomous Driving Environm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vol. 17, no. 4, pp. 31-42, 2021. https://doi.org/10.17662/ksdim.2021.17.4.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