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려시대 대혜보각선사서의 보존처리 및 과학적 조사

Conservation Treatment and Scientific Investigation of Daehye Bogakseonsaseo (Letters of Master Bogak) in the Goryeo Dynasty

  • 장연희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Jang Yeonhee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Museum of Korea)
  • 투고 : 2023.04.03
  • 심사 : 2023.05.17
  • 발행 : 2023.05.31

초록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대혜보각선사서는 1387년에 제작된 고려시대 서책으로 2005년 입수 되었으며 전체적인 손상이 매우 심각하였다. 이에 장황 특성과 과학적 분석을 통해 제작기법과 재료를 조사하였고 이를 토대로 전체 보존처리가 진행되었다. 서지학적 특성으로 장황형태는 오침안선장본(五針眼線裝本)이며 판식은 광곽이 사주단변(四周單邊), 계선은 무계(無界)이다. 보존처리는 기본 형태 조사 와 보존처리 과정을 살폈다. 형태는 겉표지와 원표지, 면지, 내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지는 0.04~0.07mm로 일반적인 책지에 비해 매우 얇은 특성을 보인다. 표지와 내지 모두 열화로 인한 부서짐이 심각한 상태로 판단되어 전체 해체를 통해 보존처리가 진행되었다. 보존처리는 해체-클리닝-결손부 보강-스캔-제책 과정을 거쳤으며 오동나무상자를 제작하여 보관하도록 하였다. 해체 시 내지와 책 끈의 시료를 채취하여 섬유식별을 진행하였다. 내지 섬유식별은 사프라닌과 C-stain 염색으로 식별하였다. 사프라닌 염색 결과 섬유벽이 두껍고 마디와 왜곡, 투명막이 확인되었고, C-stain 염색결과 탁한 적색을 띠고 있어 닥나무 섬유로 식별하였다. 책 끈은 단면이 편평한 원형의 형태이며 중앙부분에 루멘이 관찰되어 면섬유로 판별하였다.

Daehye Bogakseonsaseo (Letters of Master Bogak) in the possess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a Goryeo-era book produced in 1387, which was acquired in 2005 in a state of severe general damage. Subsequently, its production techniques and materials were examined using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scientific analysis, based on which an overall conservation treatment was carried out. Janghwang(mounting) in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is a five-hole-stitch binding (五針眼線裝本), a single-lined rectangular box (四周單邊), and no column lines. The conservation treatment was examined in two aspects: the basic form and the conservation treatment process. The book is composed of the outer cover, original cover, end paper, and inner paper of 0.04-0.07mm thick, which is significantly thinner than general book paper. The conservation treatment was applied after the entire book was disassembled, based on the assessment that both the cover and the inner sheets of paper were in a dire condition due to deterioration. The conservation treatment comprised of the process of disassembly, cleaning, reinforcement of defective parts, scanning, and binding, with a paulownia box made for its storage. At the time of disassembly, samples were made for the inner sheets and the book string in order to conduct fiber identification. The fibers were identified using Safranin and C-stains. Safranin staining identified a thick fiber wall, in addition to cross-marking, dislocation, and transparent membranes. C-stain staining identified the fiber as mulberry, given the dark red residue. The book strap has a flat, circular cross-section, and was identified as cotton fiber, since a lumen was observed in the center.

키워드

과제정보

현미경 사진 정리 및 서책 도면 작성을 도와준 박지원, 김유진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참고문헌

  1. 국립중앙박물관(임혜경) '큐레이터 추천 소장품' 대혜보각선사서-고려에서 온 선승(禪僧)의 편지,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recommend/view?relicRecommendld=519952, (2023)
  2. 서지학개론 편찬위원회, 서지학 개론, p54-66, 눌와, 도서출판 한울, (2004).
  3.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보존처리, (주)연합프로세스, p106-114, (2015).
  4. 이상현, 고문헌 출전 한지의 원료 섬유 식별, 충북대학교 대학원, p9-18, (2006).
  5. 장연희, 부사선생안 장황형식과 지질조사, 부사선생안: 경주 호장의 기록, 국립경주박물관, p55-77, (2017).
  6. 국립민속박물관, 천연섬유와 모피 식별 아틀라스, p45-51, (주)디자인인트로,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