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참여 지분형 계약거래를 통한 양식산업 금융지원 연구

Research on Financing the Aquaculture Industry through Participatory Equity Contracting

  • 투고 : 2023.11.30
  • 심사 : 2024.01.01
  • 발행 : 2023.12.31

초록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the aquaculture industry is very high, but there is no financial support for investment except for the government, policy funds, fishery funds, etc. Therefore, we would like to propose a contract transaction in the aquaculture industry. This refers to a forward contract between a producer (fish farmer) and a buyer (mainly a processor or marketer) that stipulates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fish products at a predetermined price, but it also refers to an "equity participation type" contract in which both producers and buyers can participate. In other words, it is a model in which part of the fish farm is produced in a way that meets the conditions of the buyer, and part is produced by the producer.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basic contract trading process. It provides an academic approach to prevent adverse selection and moral hazard due to information asymmetry. It also provides an idea to converge the aquaculture industry with the financial industry using Pecking Order theory. By doing so, we have made it possible for venture capitalists to invest with confidence and provided a process for investors to resolve their concerns, paving the way for the aquaculture industry and the financial industry to develop together.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형구.빈기범.한병석(2017), "불완전계약 이론에 기반한 중소기업 정책금융의 새로운 역할", 2017 재무금융관련 5개 학회 학회연구발표회, 1266.
  2. 고용노동부 정책자료 정책자료실(No./4026)(2023), 2022.12월말 산업재해 현황.
  3. 김경호(1974), "우리나라 수산금융의 문제점과 그 개선책에 관하여", 수산경영론집, 5(2), 59-90.
  4. 김경호(1982), "한일의 수산금융에 관한 연구", 수산경영론집, 13(2), 31-48.
  5. 김경호(1983), "수협발족 이후의 수산금융에 관한 연구", 수산경영론집, 14(2), 110-138.
  6. 김경호(1984), "해방이전의 수산금융에 관한 연구", 수산경영론집, 15(2), 1-23.
  7. 김경호(1989), "한국수산금융의 제도적 정비와 수산금융조달 및 운용에 관한 연구", 수산경영론집, 20(1), 73-118.
  8. 김경호(1998), "한국수산금융정책의 방향", 수산경영론집, 29(1), 27-64.
  9. 김경호(2001), "IMF이후 한국수산금융의 현황과 정책과제", 수산경영론집, 32(2), 1-22.
  10. 김인유(2021), "양식업권 및 허가 양식업의 법적 성질에 관한 고찰", 민사업의 이론과 실무, 24(3), 63-96.
  11. 류정곤(2009), "한.일 수산정책자금 지원제도 비교", 월간 해양수산, 216, 35-48.
  12. 박지훈(2022), "양식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주요 정책과제 발굴", 수협중앙회 수산경제연구원, 326, 25-37.
  13. 송정헌(2000), "일본의 수산금융시스템에 관한 연구", 수산경영론집, 31(2), 93-117.
  14. 수협중앙회(2015), 영어자금지원 효과분석, 수산현안분석, 15-7.
  15. 신용민(2020), "양식산업발전법 제정의 의의와 문제점 분석", 해양비지니스, 51(1), 1-17.
  16. 신용민(2023), "수산금융 활성화를 위한 정책 개선 방안", 해양비지니스, 56, 61-86.
  17. 신용민.정겨운(2019), "양식어업 규모화를 위한 대기업 진입 여건 분석", 해양비지니스, 43, 101-121.
  18. 양승룡.서경남.이춘수(2009), "농산물 선도거래 청산소 도입 방안", 유통연구, 14(5), 83-106.
  19. 이동길.배봉성.이정호.김석태.김형수(2021), "스마트양식 기술 개발과 산업화 방안", 수산해양교육연구, 33(2), 412-420. https://doi.org/10.13000/JFMSE.2021.4.33.2.412
  20. 이미용(2012), "수산정책자금 지원 효율화 방안", 수협 수산경제연구원 연구보고, 2012-4.
  21. 이재우.홍재범(2006), "수산정책자금의 현황과 과제", 수산경영론집 , 37(3), 45-63.
  22. 오환종(1985), "수산업협동조합의 상호금융사업에 관한 고찰", 수산경영론집, 16(1), 31-54.
  23. 위태석(2003), "농산물 계약거래 확대 이래로 좋은가?", GS&J인스튜드, Lecture 10.
  24. 유동운(1988), "수산투자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 수산경영론집, 19(2), 81-112.
  25. 정상진(1996), "농업 및 수산업 정책금융의 비교 연구", 수산경영론집 , 27(1), 수산경영론집, 47-56
  26. 조용훈(2005.5), "수산정책금융의 활성화 방안", 수산경제정책연구원 연구보고.
  27. 최주원.정재욱.김영애.신용태(2020), "수산업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처리학회, 9(8), 095, 181-188.
  28. 최치훈(2022), "양식업제도의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학회, 34(4), 한국도서연구, 115-136.
  29. 한국어촌어향공단(2022), 2022년 양식장 관리 실태조사.
  30. 홍현표(2003), "정보비대칭 구조하에서 수산정책자금 집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월간 해양수산, 226, 35-48.
  31. Grossman, S. J. and Hart, O. D. (1986), "The cost and benefits of ownership : A theory of vertical and lateral integration", The Journal of pilitical Economy, 691-719. 
  32. https://www.moel.go.kr/policy/policydata/view.do?bbs_seq=20230300058.
  33. Katrien, J., Anneleen, M., Wim, V. and Tensie, S. (2023), "Financing decisions in private family frms: a family firm pecking order", Small Business Economics, 61, 495-515. https://doi.org/10.1007/s11187-022-00711-9
  34. Myers, S. C. (1977), "Determinants of corporate borrowing",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 5(2), 147-175. https://doi.org/10.1016/0304-405X(77)90015-0
  35.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22),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119-120, 21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