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연명의료결정법에서 무연고자 규정미비 등에 관한 법적 고찰

A Legal Analysis on the Absence of Provisions Regarding Non-relative Patients in the Act of Decisions-Making in Life-Sustaining Medicine

  • 문상혁 (백석예술대학교 경찰경호학부)
  • Moon, Sang Hyuk (Division of Police and Security, Baekseok Arts University)
  • 투고 : 2023.12.17
  • 심사 : 2023.12.27
  • 발행 : 2023.12.31

초록

현행 연명의료결정법에 따르면 연명의료를 시행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은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의사가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명의료의 의사결정은 환자가 의식이 있는 경우에는 환자 본인이 연명의료에 대한 의사를 직접 서면이나 구두로 표시하거나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연명의료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으로 자기결정을 행사할 수 있다. 반면에, 환자가 사전연명의료의향서나 연명의료계획서를 작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환자 가족의 진술로 환자의 의사를 확인하거나 환자가족 전원의 동의로 연명의료중단등결정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가족이 없거나 가족을 알 수 없는 무연고 환자인 경우에는 입원하기 전에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연명의료계획서를 작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의사표현을 할 수 없는 의학적 상태로 되면 환자의 의사를 알 수가 없어 환자에 대한 연명의료를 지속해야 할지 중단해야 할지에 대한 결정을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무연고환자의 경우에 연명의료결정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현행법상 무연고 환자에 대한 논의와 방안 검토했다. 첫째로, 성년후견인제도의 적용을 살펴보았지만, 성년후견인은 신체를 침해하는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를 대신할 수 있지만 의료행위의 직접적인 결과로 사망할 수 있는 경우에는 가정법원의 허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임종과정에 있는 급박한 환자에게는 적절한 방안이라고 할 수 없다. 둘째로, 연명의료결정법 제14조에 따라 의료기관윤리위원회에서 무연고 환자에 대한 연명의료중단등결정에 관한 심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행법상에서는 의료기관윤리위원회에서 무연고 환자에 대한 연명의료중단등결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개정을 통하여 무연고 환자에 대한 연명의료중단등결정에 대한 사항을 동법 제14조에 반영하거나 무연고 환자에 대한 규정을 따로 신설하여 개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의료기관윤리위원회에서 무연고 환자에 대한 결정해야 하지만, 그런 결정을 하는 것에 대해서 해당 의료기관에서 할 수 없다면, 공용윤리위원회에서 무연고환자의 연명의료중단등결정을 할 수 있도록 법률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 to the current act of Decision-Marking in Life-Sustaining Medicine, the decision to withhold or discontinue life-sustaining treatment is primarily based on the wishes of a patient in the dying process. Decision-making regarding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these patients is made by the patient, if he or she is conscious, directly expressing his/her intention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in writing or verbally or by writing an advance medical directive and physician order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It can be exercised. On the other hand, if the patient has not written an advance medical directive or physician order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patient's intention can be confirmed with a statement from the patient's family, or a decision to discontinue life-sustaining treatment can be made with the consent of all members of the patient's family. However, in the case of an unrelated patient who has no family or whose family is unknown, if an advance medical directive or physician orders for life-sustaining treatment are not written before hospitalization and a medical condition prevents the patient from expressing his or her opinion, the patient's will cannot be known and the patient cannot be informed. A situation arises where a decision must be made as to whether to continue or discontinue life-sustaining treatment. This study reviewed discussions and measures for unbefriended patients under the current law in order to suggest policy measures for deciding on life-sustaining treatment in the case of unbefriended patients. First, we looked at the application of the adult guardian system, but although an adult guardian can replace consent for medical treatment that infringes on the body, permission from the family court is required in cases where death may occur as a direct result of medical treatment. It cannot be said to be an appropriate solution for patients in the process of dying. Second, in accordance with Article 14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Act, we looked at the deliberation of medical institution ethics committees on decisions to discontinue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patients without family ties.Under the current law, the medical institution ethics committee cannot make decisions on discontinu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unbefriended patients, so through revision, matters regarding decisions on discontinu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unbefriended patients are reflected in Article 14 of the same Act or separate provisions for unbefriended patients are mad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amend new provisions. In addition, the medical institution ethics committee must make a decision on unbefriended patients, but if the medical institution cannot make such a decision, there is a need to revise the law so that the public ethics committee can make decisions, such as discontinuing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unbefriended pati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영신, "무연고 환자를 위한 연명의료 대리 결정 제도 마련 방안", 「생명윤리정책연구」 제13권 3호,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20. 7.
  2.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연명의료결정제도 개선에 관한 권고, 2023. 5. 10.
  3. 김기영 . 허정식, "무연고자의 연명의료중단결정에 대한 문제와 윤리위원회의 과제",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8권 1호, 한국의료법학회, 2020.
  4. 김보배 . 김명희, "무연고자의 연명의료결정: 제도적 관점에서", 「한국의료윤리학회지」 제21권 2호, 한국의료윤리학회, 2018. 6.
  5. 김상구 . 이일학, "의사무능력자를 대신하는 의료결정을 개선할 방안은 없는가?-독립환자정신능력대변인 제도의 가능성 모색-",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5권 1호, 한국의료법학회, 2017.
  6. 박호균, "성년후견과 의료-개정 민법 제947조의2를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13권 1호, 대한의료법학회, 2012.
  7. 보건복지부 .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2022 연명의료결정제도 연보, 2023. 6.
  8. 안동인, "연명의료결정제도의 발전적 전개를 위한 방법론의 모색-사전연명의료의향서의 법적 지위 및 역할의 강화 필요성-", 「행정법연구」 제65호, 사단법인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21. 8.
  9. 유기훈, "의사능력에 기반한 후견제도와 정신건강복지법의 융합-북아일랜드 정신능력법[Mental Capacity Act (Northern Ireland) 2016]의 제정 과정과 그 의의를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24권 3호, 대한의료법학회, 2023.
  10. 이성진, "「장사 등에 관한 법률」에 대한 민사법적 고찰-연고자 개념과 묘지 사전매매 금지 및 분묘기지권에 대하여-",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 제22권 3호,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19.
  11. 이재석,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법학연구」 제16권 4호, 한국법학회, 2016. 12.
  12. 이지은, "무연고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 및 결정 대행권자의 범위에 대한 고찰-", 「법학논집」 제26권 3호, 이화여자대학교법학연구소, 2022.
  13. 이지은, "연명의료결정법상 가족의 대행(代行)-미국법상 의료결정대행(surrogate decision marking)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법학논총」 제50집,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14. 이지은, "조력사망(Aid in Dying)에 대한 고찰", 「의료법학」 제23권 2호, 대한의료법학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