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Development Impact Perception, Local Attachment, Resident Involvement, Local Resident Support and Eco-friendly Behavior Intention: A Study of Jeju Island Residents

관광개발 영향인식, 지역애착, 주민관여, 주민지지 및 친환경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 제주도민을 대상으로

  • Jellna Chung (Department of Global Hotel Management, Woosong University) ;
  • Woohyuk Kim (Department of Consumer Scienc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 Nayeon Kim (Department of Consumer Scienc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 Sung-Bum Kim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Inha University)
  • 정젤나 (우송대학교 글로벌호텔매니지먼트학과) ;
  • 김우혁 (국립인천대학교 소비자학과) ;
  • 김나연 (국립인천대학교 소비자학과) ;
  • 김성범 (인하대학교 경영학과)
  • Received : 2023.05.13
  • Accepted : 2023.06.12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relationships between the impacts of tourism development, local attachment, and resident involvement and local residents' support and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s in Jeju Island. Design/methodology/approach -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Jeju Island residents and 373 sampl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Findings -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positive impact of tourism develop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local residents' support, while the negative impact has a negative effect. Local attachment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local residents' support, while local involvement positively affects local residents' support. The positive impact of tourism development has a negative effect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while the perceived negative impact has a positive effect. Finally, w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attachment, local involvement, and local support for eco-friendly behavior intention, it was found that they all have a positive effec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인하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강신겸(2005). 생태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사회내 이해관계 분석. 농어촌관광학회지, 12(2), 53-71.
  2. 강영애, 유광민, 김남조(2012). 지역주민의 장소애착과 환경인식이 생태관광 영향인식과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논총, 24(4), 113-136.
  3. 강영애, 최승담(2016). 메시지 프레이밍이 환경적으로 책임 있는 방문객 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40(5), 217-232.
  4. 고계성, 이영진, 고미영(2011). 제주도 해양관광개발에 대한 영향인식과 지지도 관계분석-편익과 비용차원 관점적용. 관광학연구, 35(9), 139-161.
  5. 고동완, 김현정(2003). 지역사회 애착과 관광개발에 대한 태도 관광학연구, 27(3), 97-114.
  6. 고호석(2013). 지역축제의 인지된 효과가 지역사회 애착도 및 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 지역산업연구, 36(1), 265-284.
  7. 권송이, 송명규(2017). 지역사회애착과 시민의식이 친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평택시를 사례로. 환경정책, 25(3), 195-219.
  8. 김영국, 우은주(2018). 투어리스트피케이션(Touristification)과 삶의 질(Quality of Life)에 대한 영향관계 규명. 관광레저연구, 30(7), 161-178.
  9. 김주진, 신우진(2020). 도서지역 물리적 연결이 관광개발 영향 인식과 주민 지지도 관계에 미치는 영향: 완도군 보길도 명품어촌테마마을 조성 사업을 사례로. 국토계획, 55(2), 44-57.
  10. 김혜영, 류시영(2009). 해양관광지 개발에 따른 영향지각이 지역주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연구저널, 23(2), 21-36.
  11. 류동균, 박경심, 김태훈, 주영환(2016). 국립공원 탐방객의 개인적 규범에 따른 친환경행동의도와 국립공원 관리정책지지도 차이분석. 관광연구저널, 30(1), 197-210.
  12. 배병렬(2004). 구조방정식모델을 위한 SIMPLIS 활용과 실습. 서울:청목.
  13. 박양우, 손원성(2010). 축제이미지-자아이미지 일치성이 관광객 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축제 관여도를 매개변수로. 관광연구, 25(4), 201-225.
  14. 박인규, 전희원(2013). 농산촌 수변공간 관광개발이 주민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김천시 부항댐 수변공간 관광개발 지역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9(4), 131-150.
  15. 박주영 (2022). 관광개발 편익-비용지각이 개발갈등과 개발수용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해관계가 있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관광연구, 37(3), 45-69.
  16. 박주영, 오상훈(2019).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인식과 관광객에 대한 태도 연구: 관광개발 지지의사 매개효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1(12), 21-43.
  17. 서세진, 서용건(2017). 제주 올래에 대한 장소 애착심이 친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탐라문화, 54, 209-233.
  18. 손선미(2011). 충남서해안주민의 지역내 이벤트와 주변지역 이벤트의 개최영향에 대한 인식과 태도 차이. 이벤트컨벤션연구, 7(1), 57-75.
  19. 손은호, 박덕병(2010). 관광영향인식이 지역주민의 지지에 미치는 영향. 농촌경제, 33(5), 59-77.
  20. 손은호, 박덕병(2009). 농촌관광개발이 지역주민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농어촌관광학회지, 16(3), 63-82.
  21. 송기현(2010). 생태관광축제 영향요인의 지역주민 태도와 관광개발지지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송래헌, 윤유식(2019). 지역주민의 관광개발태도에 따른 공동체 의식과 관광개발 지지도 복합차이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7(3), 213-224.
  23. 신동주, 강유진(2016). 지역주민의 애착도가 관광개발영향인식, 혜택,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폐특법 대상지인 강원도 남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관광연구, 31(1), 113-129.
  24. 신동주(2010). 남북한 공동 해양관광개발의 방향과 정책지원 방안. 산학경영연구, 23(1), 87-106.
  25. 양승필(2012). 생태관광 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 영향요인, 지각된 혜택, 개발 지지도, 참여의도간의 관계연구. 관광연구, 27(2), 319-339.
  26. 양승필, 서용건(2015). 관광개발에 대한 갈등요인, 갈등수준, 주민협력 및 개발 지지도간 영향 연구: 제주지역 카지노 관광개발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30(2), 309-329.
  27. 양재장, 김수옥, 함기영, 이용기(2013). 친환경 제품 구매자의 환경 가치, 신념 그리고 개인적 규범이 친환경행동에 미치는 영향: VBN 이론을 중심으로. 환경정책, 21(3), 53-80.
  28. 오정학, 윤유식(2009). 지역애착심과 관광개발선호, 평가, 만족, 인구학적 특성과 관광개발 지지, 효과인식의 영향 관계. 관광연구, 24(5), 275-295.
  29. 왕난, 황향희(2020). 사회교환이론에 기반한 중국 북경시민의 지역사회애착도가 국가이미지 및 관광개발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8(2), 67-78.
  30. 윤동환, 한승훈(2020). 관광지 매력성, 환경책임행동, 그리고 장소애착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무등산권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4(3), 33-46.
  31. 윤설민, 박창규, 이충기(2013). 여수엑스포에 대한 관광영향, 혜택 및 지지도 간 영향관계 연구-지역주민의 사전-사후조사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7(9), 207-229.
  32. 윤지인, 김지혜(2018). 신환경패러다임에 근거한 한강공원방문객의 환경인식, 장소애착, 친환경행동의도 관계검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3), 121-132.
  33. 윤현, 주징, 윤희정(2022). 세계자연유산 관광자의 기후변화 인식과 관광정책지지, 친환경 행동과의 구조적 관계.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6(7), 5-19.
  34. 윤현희, 이진호(2013). 농촌관광마을의 지각된 가치가 장소애착과 친환경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농어촌관광연구, 20(1), 53-71.
  35. 윤화영, 김동석(2008). 산촌지역 생태관광 개발에 대한 주민의식과 참여에 관한 연구-경기도 남양주시 운길산지역과 강원도 원주시 황둔리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3), 280-288.
  36. 이양림, 김영미(2018). 관광개발지지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관광레저연구, 30(7), 357-380.
  37. 임기성(2013). 지역 주민의 지역사회 애착과 관광영향인식이 관광개발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울산 일산유원지를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9(1), 43-63.
  38. 장모나(2021). 지역사회 애착도와 관광영향 인식이 친환경 행동의도와 관광개발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지역사회를 사례로.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장준호(2012). 관광개발영향에 대한 지역주민태도 차이 연구-인근. 비인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관광연구, 27(3), 337-355.
  40. 전희원, 문상정(2006). 환경운동 관여수준에 관한 관광개발 영향지각이 지역주민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감포관광단지개발 지역주민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20(1), 89-104.
  41. 정승환, 최영재, 정혜진(2019). 지역주민의 지역애착이 축제의 혜택, 손실 및 지지도에미치는 영향; 시흥갯골축제에 방문한 시흥시민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28(4), 177-192.
  42. 정승훈(2014).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인식과 개발 지지도 관계 분석: 제주도 관광권역을 중심으로. 탐라문화, 47, 253-277.
  43. 정승훈(2019). 제주도 지역주민의 관광개발 영향 인식과 개발지지 관계. 이벤트컨벤션연구, 35, 183-206.
  44. 정유리, 정성문, 강신겸(2017). 도시관광지 주민의 지역애착도가 관광개발 지지에 미치는 영향: 광주 근대역사문화마을 양림동을 대상으로. 관광연구저널, 31(7), 21-38.
  45. 조광익, 김남조(2002). 관광의 영향이 지역주민의 태도와 관광개발에 미치는 구조 효과 분석. 관광학연구, 26(1), 31-51.
  46. 조성균(2012). 충주세계무술축제의 축제이미지가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축제관여도의 조절효과.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7(2), 65-78.
  47. 최문용, 양승훈(2019).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 및 스타가 지역에 거주하는 시청자의 공동체 의식과 긍정적인 관광개발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가: 어촌마을을 배경으로 하는 TV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호텔관광연구, 21(4), 74-86.
  48. 최영희, 이원철, 이훈(2005). 동굴관광지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 및 영향요인: 지역애착과 태도이론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14(1), 193-215..
  49. 최윤석, 김인신, 정호권(2014). 지역주민의 지역정체성이 해양관광개발에 대한 환경적 지속가능성 인식, 친환경행동 및 관광개발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생성감의 조절효과와 함께. 관광레저연구, 26(9), 397-414.
  50. 하종철, 김현지(2022). 세계중요농업유산기반의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애착도, 관광영향인식, 관광개발참여 및 관광개발지지 간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34(3), 183-205.
  51. 한석호, 유은정(2022). 지역주민의 지속 가능한 관광개발 지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사회적 교환이론과 장소애착의 종합. 관광레저연구, 34(2), 63-82.
  52. 한승훈, 윤동환(2020). 지역주민의 지역애착이 관광개발 태도와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광역시 어등산 관광개발 사업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4(9), 21-35.
  53. 한진성, 문현철, 윤지환(2018). 제주도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인식과 지속적 관광개발 지지의사 간 관계에서 지역애착도의 조절효과. 관광학연구, 42(10), 93-109.
  54. 황경후, 송상헌, 정철(2016). 해양관광개발에 대한 영향인식과 효과인식이 지역애착과 개발지지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논총, 28(1), 105-132.
  55. 헤드라인 제주(2022). 제주경제, 관광으로 크게 성장했으나 환경훼손으로 사회적 비용커져. https://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6474
  56. Andereck, K. L., and C. A. Vogt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attitudes toward tourism and tourism development options. Journal of Travel Research, 39, 27-36.
  57. Antil, J. H. (1984). Socially responsible consumers: Profile and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y. Journal of macromarketing, 4(2), 18-39.
  58. Bagozzi, R., and Y. Yi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s, 16, 74-94.
  59. Bassellier, G., I. Benbasat and B. H. Reich (2003). The Influence of Business Managers' IT Competence on Championing IT.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4(4), 317-336.
  60. Fiske, A. P. (1992). The four elementary forms of sociality: framework for a unified theory of social relations. Psychological review, 99(4), 689.
  61. Fornell, C., and D. F. Larcker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62. Gefen, D., and D. Straub (2000). The relative importance of perceived ease of use in IS adoption. J. Assoc. Information Systems, 1, 1-30.
  63. Gross, M. J., and G. Brown (2008). An empirical structural model of tourists and places: Progressing involvement and place attachment into tourism. Tourism management, 29(6), 1141-1151.
  64. Harrill, R. (2004). Residents' attitudes toward tourism development: A literature review with implications for tourism planning. Journal of Planning Literature, 18(3), 251-266.
  65. Huang, C. C., Y. M. Wang, T. W. Wu, and P. A. Wang (2013).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Antecedents and Performance Consequences of Using the Moodle Platform.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Education Technology, 3(2), 217-221.
  66. Jin, S., and T. Liu (2017). Study on tourist carrying capacity of sustainable tourism---by taking Qingliang Mountain in the south-eastern china as an example. In IOP Conference Series: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Vol. 64, No. 1, p. 012052). IOP Publishing.
  67. Kuvan, Y., and P. Akan (2005). Residents' attitudes toward general and forest-related impacts of tourism: The case of Belek, Antalya. Tourism Management, 26, 691-706.
  68. Lee, J. S. H., and C. O. Oh (2018). The causal effects of place attachment and tourism development on coastal residents'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Coastal management, 46(3), 176-190.
  69. Lee, T. H. (2013). Influence analysis of community resident support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Tourism Management, 34, 37-46.
  70. Lee, T. H., and F. Jan (2019). The low-carbon tourism experience: A multidimensional scale development.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Research, 43(6), 890-918.
  71. McCool, S. F., and S. R. Martin(1994). Community attachment and attitudes toward tourism development. Journal of Travel research, 32(3), 29-34.
  72. Nunkoo, R., and D. Gursoy (2012). Residents' support for tourism: An identity perspective. Annals of Tourism Research, 39(1), 243-268.
  73. Ramkissoon, H., L. D. G., Smith and B. Weiler (2013). Testing the dimensionality of place attachment and its relationships with place satisfaction and pro-environmental behaviours: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Tourism management, 36, 552-566.
  74. Stylidis, D., Biran, A., J. Sit and E. M. Szivas (2014). Residents'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The role of residents' place image and perceived tourism impacts. Tourism Management, 45, 260-274.
  75. Su, L., and S. R. Swanson (2017). The effect of destination social responsibility on tourist environmentally responsible behavior: Compared analysis of first-time and repeat tourists. Tourism Management, 60, 308-321.
  76. Vandenberg, R. J., and C. E. Lance (2000).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 Measurement Invariance Literature: Suggestions, Practices, and Recommendations for Organizational Research.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3(1), 4-70.
  77. Vong, T. N., Lai, K., and Y. Li(2016). Sense of Place: Affective Link Missing Between Casino Impact Perception and Support for Casino Development?. Asia Pacific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1(sup1), S76-S100.
  78. Wiley, C. G., S. M. Shaw and M. E. Havitz (2000). Men's and women's involvement in sports: An examination of the gendered aspects of leisure involvement. Leisure sciences, 22(1), 19-31.
  79. Yu, C. P., S. T., Cole and C. Chancellor (2018). Resident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in rural midwestern (USA) communities: Perceived tourism impacts and community quality of life perspective. Sustainability, 10(3), 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