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 산업기술보호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 주요 현황 및 직무 경로 분석을 중심으로

A Survey fo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 Focusing on key status and job path analysis

  • 김미희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산업융합보안학 협동과정) ;
  • 정유한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과학기술정책융합학과)
  • 투고 : 2023.11.27
  • 심사 : 2023.12.26
  • 발행 : 2023.12.31

초록

특정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전문성을 보유한 전문인력의 관리는 국가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이슈라 할 수 있다. 최근 산업기술보호 전문인력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정책 근거 자료의 부족으로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 본 연구에서는 산업기술보호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인력을 대상으로 적정성(규모), 적절성(역량), 인력 수요와 공급 및 직무 경로 관련 실태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관련 인력에 대한 일반 현황 확인과 더불어 직무 경로 분석의 구체화 등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산업기술보호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기초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판단된다.

The management of professional manpower with expertise in performing specific tasks can be said to be a very important issue at the national level. Recently, interest in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experts continues to expand, but difficulties are growing due to the lack of policy evidence. Considering these points, this study conducted a fact-finding survey on personnel in charge of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nd through this,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job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for related job performers.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fostering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experts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Clark, R. C., Buiding Expertise: Cognitive methods for training and performance improvement. Washington D.C.: International Society for Performance Improvement, 2003.
  2. Heijden, B.I.J.M. & Brinkman, J.G., Simulating lifelong professional growth by guiding job characteristics,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4(2), 173-198, 2001.
  3. 오헌석.김정아, '전문성 연구의 주요 쟁점과 전망', 기업교육과인재연구, 9(1), 143-168, 2007.
  4.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 '무역안보 기능 강화를 위해 무역안보정책관 신설', 2020.04.28.
  5. 산업통상자원부, 제4차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종합계획(안), 2021.
  6.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 내부자료, 2023.11.
  7. 한국산업기술보호협회, 산업기술보호 전문인력 양성 및 육성정책연구, 2012.
  8. 산업자원부,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기본계획(안)', 2007.
  9. 지식경제부, 제1차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종합계획(안), 2013.
  10.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종합계획(안), 2015.
  11. 산업통상자원부, 제3차 산업기술의 유출방지 및 보호에 관한 종합계획(안), 2019.
  12. 강주영.이환수, '산업보안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융복합 교육 방안', 한국산업보안연구, 5(2), 85-116, 2015.
  13. 김삼주.정유한, '산업체 수요 기반 산업보안 교과과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남지역 산업보안 담당자 인식도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산업보안연구, 10(3), 169-186, 2020. https://doi.org/10.33388/kais.2020.10.3.169
  14. 이민형.최판암, '산업보안활동과 보안인력 전문성이 기술유출방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408-423, 2015.
  15.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술인력 수급 실태조사 보고서', 2022.
  1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전략기술 R&D 인력실태조사', 2023.
  17.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공공부문 연구인력의경력분석과 심화방안', 2010.
  18. Lee, H., and B. Choi, "Knowledge Management Enablers, Process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 Integrative View and Empirical Examination,"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20(1), 179-228, 2003. https://doi.org/10.1080/07421222.2003.11045756
  19. 구철모.최정일, '조직의 흡수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경영학연구, 37(3), 515-536,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