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ultivation Support System of Ginseng as a Red Ginseng Raw MaterialduringtheKoreanEmpire andJapaneseColonialPeriod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의 홍삼 원료삼 경작지원 시스템

  • Dae-Hui Cho (GimpoPaju Ginseng Agricultural Cooperative Association, Ginseng Resources Research Inst., Korean Ginseng Corp)
  • 조대휘 (김포파주인삼농업협동조합, 한국인삼공사 R&D본부 인삼자원연구소)
  • Received : 2022.12.24
  • Accepted : 2023.01.15
  • Published : 2023.03.02

Abstract

Because red ginseng was exported in large quantities to the Qing Dynasty in the 19th century, a large-scale ginseng cultivation complex was established in Kaesong. Sibyunje (時邊制), a privately led loan system unique to merchants in Kaesong, made it possible for them to raise the enormous capital required for ginseng cultivation. The imperial family of the Korean Empire promulgated the Posamgyuchik (包蔘規則) in 1895, and this signaled the start of the red ginseng monopoly system. In 1899, when the invasion of ginseng farms by the Japanese became severe, the imperial soldiers were sent to guard the ginseng farms to prevent the theft of ginseng by the Japanese. Furthermore, the stateled compensation mission, Baesanggeum Seongyojedo (賠償金 先交制度), provided 50%-90% of the payment for raw ginseng, which was paid in advance of harvest. In 1895, rising seed prices prompted some merchants to import and sell poor quality seeds from China and Japan. The red ginseng trade order was therefore promulgated in 1920 to prohibit the import of foreign seeds without the government's permission. In 1906-1910, namely, the early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ginseng cultivation was halted, and the volume of fresh ginseng stocked as a raw material for red ginseng in 1910 was only 2,771 geun (斤). However, it increased significantly to 10,000 geun between 1915 and 1919 and to 150,000 geun between 1920 and 1934. These increases in the production of fresh ginseng as a raw material for red ginseng were the result of various policies implemented in 1908 with the aim of fostering the ginseng industry, such as prior disclosure of the compensation price for fresh ginseng, loans for cultivation expenditure in new areas, and the payment of incentives to excellent cultivators. Nevertheless, the ultimate goal of Japanese imperialism at the time was not to foster the growth of Korean ginseng farming, but to finance the maintenance of its colonial management using profits from the red ginseng business.

홍삼이 19세기에 청나라로 대량 수출되면서 개성에 대규모로 홍삼 원료삼 재배 단지가 조성되었다. 개성 상인 간 특유의 민간주도형 대부 제도인 시변제(時邊制) 는 인삼 재배에 필요한 막대한 비용을 조달할 수 있게 하였다. 대한제국 황실은 1895년에 포삼규칙(包蔘規則)을 공포하였는데 이것이 홍삼 전매제의 효시이다. 1899년 일본인들에 의한 삼포 침탈이 심해지자 황실은 일본인들에 의한 인삼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군대가 경비를 하고, 원료삼 수납대금의 50~90% 정도를 수확 전에 미리 지급하는 국가 주도형 배상금 선교제도(賠償金 先交制度)를 운영하였다. 1895년 종자 가격이 상승하자 일부 상인들이 중국과 일본의 저질 종자를 수입하고 판매하게 되었다. 이에 1920년 공포한 홍삼전매령에서는 정부 허가 없이 외국 종자 수입을 금지하게 되었다. 일제강점기 초기인 1906년~1910년의 인삼경작은 폐농 수준이 되어 1910년도 홍삼 원료 수삼 수납량은 불과 2,771근에 불과하였으나 1915~1919년과 1920~1934년까지 각 기간 중 연평균 수삼 수납량은 각각 약 11만 근, 15만 근 수준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홍삼 원료 수삼 생산량 증가는 1908년부터 실시된 수삼 배상가격 사전 공시, 신규면적 재배 비용 융자, 우수경작인 장려금 지급 등 다양한 삼업 육성정책에 기인한 것이다. 그러나 당시 일제의 궁극적 목표는 한인 삼포주의 육성이 아니라 홍삼 사업의 이익금으로 식민지 경영유지 비용을 마련하려 했던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21년도 (사)고려인삼학회 연구비 지원에 의해 이루어졌음.

References

  1. 조선총독부. 「홍삼 전매법 실시 이후 삼정시설 요령」 (1915).
  2. 탁지부 사세국 삼정과 편. 「한국삼정요람」 (1908).
  3. 탁지부 사세국 삼정과. 「제1회 삼정보고」 (1908). 「승정원일기 제289책」 15책 442쪽 (숙종8년 4월 13일).
  4. 대한제국 관보 개국 504년 9월 6일 (내각기록국관보과, 1895)
  5. 양정필. 「근대 개성상인과 인삼업」 (푸른역사, 2022).
  6. 양정필. 「19세기~20세기 초 개성상인의 삼업자본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7. 이철성. 「조선후기 대청무역사 연구」 (국학자료원, 2000).
  8. 전매청. 「한국전매사제1권」 (고려서적주식회사, 1980).
  9. 전매청. 「한국전매사제2권」 (삼성인쇄주식회사, 1981).
  10. 최문진 편. 「개성인삼개척소사」 (경성 조선산업연구회, 1941).
  11. 구도영. 「근세 동아시아 세계 약용식물 인삼의 가공과 유통 - 조선의 대명 진헌 인삼을 중심으로」, 「의사학」 29(3) (대한의사학회, 2020).
  12. 박현규. 「동의보감의 중국 전래 시기와 동의보감 활용에 관한 고찰」, 「한중인문학연구」 44 (2014).
  13. 박현규. 「일본에서의 조선 허준 동의보감 유통과 간행」, 「일본연구」 29 (2018).
  14. 양상현. 「대한제국기 내장원의 인삼 관리와 삼세 징수」, 「규장각」 19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996).
  15. 양정필. 「근현대 개성상인의 경제조직 시론」, 「역사문제연구」 20 (역사문제연구소, 2008).
  16. 양정필. 「대한제국기 개성지역 삼업 변동과 삼포민의 대응」, 「의사학」 18 (대한의사학회, 2009).
  17. 양정필. 「한말 개성상인의 삼업 경영과 그 성격」, 「사학연구」 94 (한국사학회, 2009).
  18. 양정필. 「1910-20년대 개성 상인의 백삼 상품화와 판매 활동」, 「의사학」 20 (대한의사학회, 2011).
  19. 오성. 「한국문화사, 인삼의 경작과 홍삼 가공업」, 「우리역사넷」 (국사편찬위원회, 2007).
  20. 이철성. 「조선후기 고려홍삼 무역량의 변동과 의미」, 「인삼문화」 1 (고려인삼학회, 2019).
  21. 上田榮次郞. 「本邦及韓國に於ける 赤腐病の硏究成績」, 「農試報告」 35 (1909).
  2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삼정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6798, (2022년9월3일열람).
  23. 한국인삼공사, 한국인삼연구원 소개, https://www.kgc.co.kr/rnd/rnd-introduction/research-institute.do
  24. 위키백과, 이용익. https://ko.wikipedia.org/wiki/이용익 (2022년 9월 3일 열람).
  25. 중앙일보, 「(1066)제37화 고려인삼(5)/임현영」 (1974, 6.21) www.joongang.co.kr/article/print/1379310
  26. 황성신문 1899년 8월 29일자.